본문 바로가기
주식 시장 간단 브리핑/상승 종목&하락종목

2022.06.22(수),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블루베리NFT,성보화학,현대사료,케이옥션...

by goodpoint77777 2022. 6. 22.
728x90
반응형

 


- 코스피시장 -

6/22 KOSPI 2,342.81(-2.74%)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지난밤 뉴욕증시가 반발매수세 유입 및 기술주·에너지 업종 강세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417.11(+8.18P, +0.34%)로 상승 출발. 장초반 2,418.05(+9.12P, +0.3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하락 전환했고,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서도 부진한 흐름을 보이다 장 후반 낙폭을 더욱 키웠고, 결국 장중 저점인 2,342.81(-66.12P, -2.74%)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재차연저점을 경신하며 급락 마감. 외국인은 나흘 연속 순매도, 기관은 나흘만에 순매도를 기록.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장중 美 주요지수 선물이 동반 하락했고, 반도체·IT 업황 부진 우려 등이 증시 전반에 악재로 작용. 반도체·IT 업황에 영향을 크게 받는 대만 증시도 2% 넘게 급락 마감. 아울러, 수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고유가 등의 영향으로 무역 적자가 누적되고 있는 점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

3분기 D램 가격 하락 전망 및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목표주가 하향 등으로 삼성전자(-1.54%), SK하이닉스(-3.15%)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마감.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3분기 D램 가격은 전분기 대비 평균 3~8% 가량 하락할 것으로 전망.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IT 제품 수요가 감소하며 재고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 모건스탠리는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목표주가를 83달러에서 56달러로 하향 조정. D램 및 NAND 가격 하락 속 시장의 실적 컨센서스 추정치가 너무 높다며, 올해 마이크론의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 대비 25% 하회할 것으로 전망.

무역협회 '2022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수출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7,039억 달러, 수입은 16.8% 증가한 7,185억 달러, 무역수지는 147억 달러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하반기에도 고유가 영향 등으로 수입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전망하면서 2008년 무역적자(132억 달러) 규모보다 더 큰 규모의 무역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8,992명, 위중증과 사망자는 64명, 11명을 기록. 질병관리청은 금일 브리핑에서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다고 밝힘.

일본, 홍콩,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동반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05억, 835 억 순매도, 개인은 3,75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492계약, 787계약 순매도, 기관도 9계약 순매도.

원/달러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3.7원 상승한 1,297.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4.1bp 하락한 3.522%, 10년물은 전일 대비 9.3bp 하락한 3.682%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1틱 오른 103.43 마감. 외국인이 3,704계약 순매수, 금융투자와 연기금 등은 1,767계약, 1,087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81틱 오른 110.39 마감. 금융투자, 은행이 각각 1,165계약, 1,139계약 순매수, 투신도 526계약 순매수, 반면 외국인은 3,472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삼성SDI(-6.12%), 카카오뱅크(-5.82%), SK이노베이션(-5.23%), NAVER(-4.38%), KB금융(-4.23%), SK(-4.19%), LG전자(-4.18%), POSCO홀딩스(-3.19%), SK하이닉스(-3.15%), LG에너지솔루션(-2.91%), 카카오(-2.84%) 등이 하락. 반면, 셀트리온(+1.3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하락. 건설(-4.97%), 은행(-4.92%), 의료정밀(-4.37%), 비금속광물(-4.27%), 화학(-4.21%), 섬유/의복(-4.02%), 기계(-3.74%), 서비스(-3.35%), 증권(-3.33%), 철강/금속(-3.31%), 운수창고(-3.31%) 등이 큰 폭으로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342.81P(-66.12P/-2.74%)

반응형

 

 


 

- 코스닥시장 -

6/22 KOSDAQ 746.96(-4.03%)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지난밤 뉴욕증시가 반발매수세 유입 및 기술주·에너지 업종 강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83.21(+4.91P, +0.63%)로 상승 출발. 장 초반 785.23(+6.93P, +0.8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이내 하락 전환했고,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서도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다 장 후반 낙폭을 더욱 키웠고, 746.94(-31.36P, -4.0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746.96(-31.34P, -4.03%)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급락, 연저점 재차 경신.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아시아 장중 美 주요지수 선물 하락, 반도체·IT 업황 우려 등이 증시전반에 악재로 작용.

금일 국내에서 원숭이두창 첫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에 블루베리 NFT(+29.98%), 미코바이오메드(+29.93%),녹십자엠에스(+26.02%), HK이노엔(+11.34%) 등 원숭이두창 테마가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14억, 600억 순매도, 개인은 1,25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모든 종목이 하락. 카카오게임즈(-9.14%), JYP Ent.(-8.75%), LX세미콘(-7.42%), 솔브레인(-7.41%), 씨젠(-6.34%), 동진쎄미켐(-5.10%), CJ ENM(-4.52%), 펄어비스(-4.43%), 천보(-4.27%), 위메이드(-3.99%) 등이 큰 폭으로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오락문화(-6.15%), 통신장비(-6.12%), 반도체(-5.92%), 디지털컨텐츠(-5.74%), 비금속(-5.62%), 소프트웨어(-5.49%), IT S/W & SVC(-5.41%), 출판/매체복제(-5.17%), 건설(-5.17%), IT H/W(-5.15%), 운송장비/부품(-4.91%), 종이/목재(-4.90%), 금속(-4.64%) 등이 하락. 반면, 음식료/담배(+0.87%)는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46.96P(-31.34P/-4.03%)


테마시황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에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세계 식량위기 우려 지속 등에 일부 사료/비료/농업 테마 상승.

▷반면, 3분기 D램 가격 하락 전망 및 美 마이크론 목표주가 하향 등에 반도체 관련주 하락.

▷한국은행 금리인상, 빅스텝 가능성 제기 등에인터넷 대표주/게임/NFT 등 기술주 관련 테마 하락.

▷누리호 발사 기대감 소멸에 따른 차익 매물 출회에 우주항공산업 테마 하락.

▷철광석 가격 급락과 중국 철강 가격 하락폭 확대에 따른 이익 감소 우려 등에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테마 하락.

▷대출금리 인하 압박 등에 은행 테마 하락.

▷국내 증시 급락 속 증권 테마 하락.

▷한편,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한 가운데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했으며, 밥솥, 여행, AR/VR, 영화, 스마트카, 재난/안전(지진 등), 리비안(RIVIAN) 관련주, 토스관련주, 핵융합에너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리모델링/인테리어, 자전거, 음원/음반, 드론, 국내 상장 중국기업, 그래핀 등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원숭이두창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에 상승
▷금일 질병관리청은 브리핑을 통해 21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해 의심 증상을 보인 내국인 A씨에 대해 유전자증폭(PCR) 검사와 유전자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확진자로 판정했다고 밝힘. 아울러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국내에서 첫 확인됨에 따라, 이날 위기평가회의를 개최해 위기상황을 분석·평가한 후 위기상황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음.

▷한편, 윤석열대통령은 국내 첫 원숭이 두창 발병과 관련해 해외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하라고 지시했음. 또한, 필요 시 현재 확보하고 있는 백신과 치료제가 의료현장에 신속하게 보급될 수 있도록 만반의 대비를 하고, 원숭이두창용 항바이러스제 도입을 조속히 마무리하라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 속 미코바이오메드, 녹십자엠에스, 블루베리 NFT, HK이노엔 등 원숭이두창 테마가 상승.
사료/비료/농업 세계 식량위기 우려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이에 따른 곡물가 상승 우려, 생산량 감소 전망 등에 세계 식량위기 우려가 고조되고 있음. 지난 2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식량 수출제한 조치에 따른 공급망 교란과 영향' 보고서를 통해 올 들어 세계 각국이 내린 식량·비료 수출제한 조치가 57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힘. 수출제한 조치를 내린 나라는 34개국이며 조치 내용은 수출금지 42건, 수출허가제 10건, 관세 5건 등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2월24일) 이후 시행된 조치는 45건으로 전체의 78.9%였으며, 품목별로 보면 소맥이 18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대두유(10건) 팜유(7건) 옥수수(6건) 등이 뒤를 이었음.

▷특히, 세계 각국의 식량 수출 제한 조치가 국내 물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출 제한 조치 이후 국내 비료와 곡물, 유지 가격은 각각 80%, 45%, 30%씩 상승했으며, 같은 기간 국내 사료(13.6%,) 가공 식료품(6.1%,) 육류 및 낙농품(6.0%)의 가격 상승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

▷이와 관련 현대사료, 누보, 효성오앤비, 성보화학 등 일부 사료/비료/농업 테마가 상승. 한편, 현대사료는 액면분할 후 변경상장으로 금일 거래재개.
반도체 관련주 3분기 D램 가격 하락 전망 및 美 마이크론 목표주가 하향 등에 하락
▷전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3·4분기 D램 가격은 전분기 대비평균 3~8% 가량 하락할 것으로 전망.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 정보기술(IT) 제품 수요가 감소하며 재고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 D램은 한국 메모리반도체 기업들이 70% 이상 차지할 만큼 초강세를 보이는 분야로 D램 가격이 하락하면 기업 실적에도 악재로 작용. 올해 1·4분기 기준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43.5%의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으며, SK하이닉스는 27.3%로 2위를 기록하고 있음.

▷글로벌 증권사들이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목표주가를 하향한 점이 부정적으로 작용. 외신에 따르면, 모건스탠리가 전일(현지시간) 美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대해 투자의견을 Equal Weight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83달러에서 56달러로 하향했다고 전해짐. DRAM 가격이 소폭 하락하고 NAND 가격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현재 시장에 형성되어있는 실적 컨센서스 추정치가 너무 높다며, 올해 마이크론의 실적은 시장컨센서스보다 25%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어 내년에는 시장 컨센서스보다 46% 낮을 것으로 전망. 또한, 미즈호증권도 NAND와 D램 칩 가격 추세가 하반기에도 여전히 부정적이라며, 美 반도체 업체인 퀄컴의 목표주가를 185달러에서 168달러로 하향했고 Skyworks, Qorvo, 마이크론 등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편입 종목들을 대상으로 목표주가를 하향했음.

▷신한금융투자는 삼성전자에 대해 매크로 불확실성 및 IT 수요 둔화 등에 2분기 실적은 매출액 76.4조원(-1.8%, 이하 QoQ), 영업이익 14.4조원(+1.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15.2조원) 및 당사 기존 추정치(14.9조원)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에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8.3만원에서 7.8만원으로 하향조정. SK증권은 전일 SK하이닉스에 대해 중국 시장과 동유럽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가진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들의 판매 악화로 모바일용 DRAM, NAND 수요도 타격을 입고 있으며, 하반기 메모리 가격 전망에도 다소 부정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6만원에서 13만원으로 하향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SK하이닉스, 삼성전자, DB하이텍, 한미반도체, 두산테스나, 하나마이크론, 네패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인터넷 대표주/게임 등 한국은행 금리인상, 빅스텝 가능성 제기 등에 하락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전일 물가안정 목표 운영 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여러 가지 고려상황이 있지만 물가 오름세가 지속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추세가 진정될 때까지, 꺾일 때까지는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한다는 것은 변함없는 포워드 가이던스"라고 밝힘. 이어 "6~7월에는 5월보다 물가상승률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커졌다"며 "6%를 넘어가느냐에 대해 말하긴어렵지만 5월 생각했던 물가상승률보다는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힘. 이에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고 빅스텝 또한 단행될 것이란 전망이 더 커지고 있는 모습. 5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시점에서 시장은 올해 기준금리 최대 상단을 연 2.50%로 봤지만, 현재는 최대 연 3.00%까지 올라간 상황임.

▷한편, 美 Fed가 7월 FOMC 회의에서 자이언트스텝(75bp)을 단행한다는 가정하에 한국은행이 빅스텝(50bp)을 단행하더라도 韓·美 기준금리는 역전되는 상황이 발생함.

▷이 같은 소식 속 금리 인상에 따라 벨류에이션 부담이 큰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가 하락. 아울러, 스코넥, 카카오게임즈, 액션스퀘어, 아프리카TV, 컴투스홀딩스 등 게임/NFT 등의 테마도 하락.
우주항공산업 누리호 발사 기대감 소멸에 따른 차익 매물 출회에 하락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전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인공위성을 계획된 궤도에 안착시켰다고 공식 확인했음. 누리호는 전일 오후 4시에 발사돼 성능검증 위성과 위성 모사체 분리를 성공적으로 마쳤으며,이에 따라 누리호 위성 모사체와 성능검증 위성은 지표면에서 700㎞ 안팎의 고도에서 초속 7.5km 안팎의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고 밝힘. 누리호의 성공적 발사로 대한민국은 세계 7번째로 1톤(t) 이상의 실용적인공위성을 우주 발사체에 실어 자체 기술로 쏘아올린 우주 강국반열에 오르게됐음.

▷이 같은 소식에도 시장에서는 앞서 누리호 발사 기대감으로 상승한 데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AP위성, 비츠로테크, 퍼스텍, 제노코,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등 우주항공산업 테마가 하락.
철강 주요종목/철강 중소형 철광석 가격 급락과 중국 철강 가격 하락폭 확대에 따른 이익 감소 우려 등에 하락
▷NH투자증권은 하반기 중국의 경기 부양 기대에도 철강 가격 하락과 이익 감소 우려가 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 특히, 국내 철강시장에서는 고로사의 6월 유통향 열연 출고 가격이 동결되었으나, 유통 가격은 하락세이며, 상반기 양호한 이익에도 불구하고 주요 철강 기업의 주가는 철강 가격 하락과 이후의 이익 감소우려를 반영하는 중이라고 설명.

▷한편, 철광석 가격은 6월20일 톤당 110달러(중국수입호주산/CFR/Fe61.5%)로 전일 대비 8.1% 급락. 이는 1주전 대비 17.9% 하락한 것이며, 상반기 고점인 3월8일 159.9달러 대비 31.0% 하락한 것임. 강점탄 가격은 톤당 376달러(호주산/FOB)로 약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던 3월15일 670.5달러 대비 43.9% 하락. 6월20일 중국 유통시장에서 열연 가격은 전일 대비 5.6% 급락했고, 냉연 4.1%, 후판 4.6%, 철근 4.9% 하락.

▷이와 관련 POSCO홀딩스, 현대제철, 동국제강, 포스코스틸리온, 대한제강, 동양에스텍, 아주스틸 등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가 하락.
은행 대출금리 인하 압박 등에 하락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금리 상승 시기에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이 크게 가중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금융기관이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 지난 20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장들과 진행한 간담회에서 은행의 지나친 이익 추구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

▷이러한 가운데, 일부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인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전일케이뱅크는 대출금리를 최대 0.41%P 인하한다고 발표했으며 NH농협은행도 24일부터 전세대출 상품의 우대금리를 0.1%P 확대하기로 결정했음. 다른 주요 시중은행들도 재량으로 깎을 수 있는 우대금리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대출금리 인하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일각에서는 일부 은행이 시행 중인 한시적 금리 인하 대상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KB국민은행은 지난 4월5일부터 주택담보대출을 최대 0.45%P, 전세대출은 최대 0.55%P 인하해 취급하고 있는 가운데, 신용대출 등으로 적용 대상을 확대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음.

▷이러한 소식 속 KB금융, 하나금융지주, 카카오뱅크, JB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가 하락.

진원생명과학(011000)
10,800원(+4.35%)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글로벌 임상 2상 시험대상자 등록 완료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개발 중인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GLS-1027(제누졸락)의 글로벌 임상 2상 시험대상자 등록이 완료되었다고 밝힘. GLS-1027은 코로나19 감염으로 입원한 환자가 중증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는 경구용 저분자 면역조절제로 현재 미국,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한국에서 GLS-1027의 글로벌 임상 2 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
▷동사 박영근 대표는 GLS-1027의 글로벌 2상 임상시험 대상자 등록을 완료함으로써 코로나19 치료의 매우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며, 임상시험 결과를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폐 염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경구용 치료제로서의 개발이 기대된다고 밝힘.


현대일렉트릭(267260)
22,200원(+3.98%)

美 원전용 변압기 수주 등에 상승

▷전일 업계에 따르면, 동사가 원전용 1,100MVA급 초고압 변압기 1기를 미국드레스덴 원전에 내년 10월까지 공급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1,100MVA 제품은 국내 기업이 미국에 수출한 원전용 변압기 가운데 가장 큰 규모라고 알려짐. 북미 원전 시장이 다시 열리면서 동사는 이번 수주를 계기로 추가 기자재 계약을 진행한다는 계획으로, 특히, 한국 정부의 원전 확대 기조와 수출 지원을 통해 원전 기자재 수출도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원전 분야 납품 실적을늘려 적극적인 시장 개척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힘.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계 업종 내에서 꾸준히 증익 싸이클을 누리며 성장할 것이라고 밝힘. 고유가에 따른 중동, 인프라 투자의 미국, 수주 회복의 조선 삼박자가 어우러진다며, 1분기에 9,000억원을 수주하며 4월까지 누적 1.4조원을 수주해 올해 수주 목표인 1,826백만달러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 또한, 수주 마진도 좋다며, 중동은 2018~2019 적자 이후 중동 초고압 시장에서 선별 수주가 지속되고, 미국의 증전기/변압기 PPI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다고 설명.
▷원자재 가격 상승 중이지만 이를 판가에 잘 전가 중으로 북미도 작년 4분기의 원자재 상승을 반영한 이후 1분기에 하이싱글 마진을 기록해 판가 인상을 확인했다고 밝힘. 중동의 고유가에 따른 투자, 북미의 인프라투자, 조선의 발주 강세가 중장기 지속될 전망이어서, 2023~2024년의 이익 성장 가능성이 뚜렷하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9,000원[신규]


셀트리온(068270)
156,000원(+1.30%)

애리엇 반 스트리엔 마켄 대표, 바이오시밀러 제품 급증 전망 속 소폭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최근 방한한 애리엇 반 스트리엔 마켄 대표가 "블록버스터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잇달아 만료되고 있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강자인 한국 기업들은 큰 기회를 맞았습니다"라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짐. 스트리엔 마켄 대표는 인천 청라국제도시에 아시아 최대 의약품 물류센터를 지은 배경을 이같이 설명했음. 동사와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국내 바이오기업이 출시할 바이오시밀러 제품이 급증할 것이라고 판단한것으로 전해짐.
▷한편, 연간 11조원가량 팔리는 바이엘의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의 특허는 미국에서 2023년, 유럽에선 2025년 만료되며, 국내에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를 개발 중인 곳은 동사와 삼성바이오에피스, 알테오젠 등임.


한라(014790)
3,910원(-3.93%)

710.8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45%) 규모 공급계약 해지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기린로지역주택조합과 체결한 710.8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45%) 규모 공급계약(전주 기린로 지역주택조합 주상복합 신축공사) 해지 공시.


LG전자(066570)
87,200원(-4.18%)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하향 전망 등에 하락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IT Set 업체로서 인플레이션 영향이 더욱 부정적이며, 원자재 가격 및 물류비 상승, 구매력 하락에 따른 Set 수요 감소로 반영되고 있고, 환율의 수혜가 제한적이라고 밝힘. 이에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8,148억원(QoQ -57%, YoY -7%), 단독 영업이익은 5,486억원(QoQ -64%, YoY -26%)으로 예상되고, 기존 추정치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특히 TV가 부진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팬데믹 홈엔터테인먼트 특수 소멸,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유럽 수요 급감등으로 시장이 침체 양상을 보이고 있고, 업계 유통 재고가 많은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 → 150,000원[하향]


아모레퍼시픽(090430)
126,500원(-10.28%)

중국 락다운 영향에 따른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급락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중국 주요도시 봉쇄로로컬과 면세 채널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올해 2분기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올해 2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액 1조261억원(-12.8%YoY, -11.9%QoQ), 연결 영업이익 581억원(-36.3%YoY, -63.2%QoQ)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2분기 중국 매출액은 23.4%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며 설화수는 현지 방역 강화에 따른 주요 도시 매장 영업 제한 영향으로 10% 역성장하고, 이니스프리도 매장 축소 및 소비 심리 약화로 60%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다만, 시장 정상화 시점에 실적 개선의 단서가 되는 현지 브랜드 수요가 확인되면 주가 우상향 모멘텀으로 작용될 것으로 전망.
▷목표주가 : Marketperform[유지], 투자의견 : 180,000원 → 160,000원[하향]


현대사료
(016790)

35,150원
(+29.94%)
액면분할 후 변경상장 첫날 상한가
▷주식분할 결정에 따라 지난 6월7일부터 거래정지 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 4월 유통주식수 확대를 목적으로 1주당 가액 500원을 100원으로 분할하는 주식분할을 결정한 바 있음.
케이옥션
(102370)

27,600원
(+29.88%)
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2-07-06, 상장예정:2022-08-01) 공시.
원준
(382840)

136,900원
(+13.99%)
포스코케미칼과 442억원 규모 포항 1단계 양극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 공급계약 체결 등에 급등
▷주식회사 포스코케미칼과 4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1.18%) 규모 공급계약(포항 1단계 양극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6-21~2023-08-31) 공시.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엘앤에프를 제외하고 포스코케미칼, LG화학, 대주전자재료, SK머티리얼즈 등 모든 2차전지 양극재/음극재 소재 회사들을 대상으로 레퍼런스(납품이력)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21년말 기준 수주잔고는 1,500억원으로 21년 매출 621억대비 2.4배의 빅 점프라고 언급.
▷현재 글로벌 양극재 및 음극재 시장은 2025년까지 평균 3배(양극재 3.5배, 음극재 2.5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동사의 기술력/포트폴리오 확대 방향성을 감안하면 높은 PER 부여는 타당하다고 분석. 22년 실적 기준 현재주가수준이 적정해 보일 수 있지만, 23년 지속 고성장 가능성을 미루어 봤을때 적정시총은 5,000억중반~8,000억까지 산출 가능하다고 설명.
▷투자의견: Attention[신규]
라온피플
(300120)

12,850원
(+10.30%)
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보통주 1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2-07-20, 상장예정:2022-08-10) 공시.
경남제약
(053950)

2,495원
(+3.53%)
종속회사 경남제약스퀘어, '노머니마켓'서 레모나 초도 물량 완판 소식에 상승
▷종속회사 경남제약스퀘어는 언론을 통해 새로 론칭한 B2E 형식의 유통 플랫폼 '노머니마켓'에서 판매한 레모나의 초도 물량을 완판했다고 밝힘. 레모나 초도 물량 완판을달성한 경남제약스퀘어는 노머니마켓에 추가 물량 공급을 준비 중으로 자사 제품과 마스크 판매 및 타사 제품도 함께 판매할 예정이라고 언급.
▷한편, 지난 15일 새롭게 론칭한 노머니마켓은 바이 투 언 형식의 유통 플랫폼으로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매하고 소비자들의 구매 및 활동 보상을 대체불가능토큰(NFT)으로 지급하는 형식임.
알로이스
(297570)

1,690원
(+3.05%)
하반기 실적 개선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북미 및 남미 시장에서의 매출 고성장이 전사 외형 성장을 견인하며 1분기 호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하반기에도 실적 개선세가 지속돼 연간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고 밝힘. 월드컵 등 스포츠 이벤트로 인한 하반기 수요 강세와 3분기 예정인 신제품 출시, 코로나로 중단됐던 해외 박람회 개최로 인한 실적 개선세도 뚜렷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동사의 주력 제품인 안드로이드 OTT Box는 영상 콘텐츠를 디코딩해 TV 등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영상을출력해주는 장치로 오픈 마켓(일반 소비자 시장)이 주력 시장이라며, 여러 인터넷 회선에서 교차 사용하는 등 기술적 우위를 통해 타사 제품대비 고가 전략으로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
덴티스
(261200)

7,700원
(+1.99%)
올해 호실적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900억으로 YoY +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수출 470억(21년 226억)/ 국내 430억(21년 318억)이 예상되는데 수출은 미국 140억(1분기 35억)/ 이란 100억대 (1분기 25억)/유럽 50억대로 이 3개 지역이 주로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영업이익은 162억(전년5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또한, 국내 덴탈 업종 PEER인 디오, 덴티움, 오스템임플란트는 PER 12배 수준인 가운데, 동사의 현재 주가는 PER 10배 수준이라고 밝힘. 이어 매출이 현재 전망 900억을 넘어갈 경우 마진은 18%이상일 수도 있어서 이 경우 PER은 9배대로 하락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Attention[유지]
랩지노믹스
(084650)

5,660원
(+0.89%)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키트 유럽 CE 인증 소식 속 강보합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키트(LabGun COVID-19 Ag Nasal Kit)가 유럽 CE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해당 제품은 전문가 검체 채취 방식으로 델타, 오미크론 등 변이를 포함한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15분 이내에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짐.
▷동사는 신속항원검사키트의 미국 시장 진출도 가속화할예정이며, 현재 미국에서는 전문가용 키트와 홈 키트의 임상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박셀바이오
(323990)

39,550원
(+0.76%)
하반기 Vax-NK 2a상 중간 결과 발표 기대감 속 강보합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하반기 Vax-NK 2a상 중간결과 발표가 기대된다고 밝힘. 현재 1 cycle(5회) 투여를 2 cycle로 용법을 변경해 임상 2a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5월 기준 10번째 환자를 등록 완료해, 첫 환자의 완전 관해(CR)를 확인했다고 설명. 아울러 22년 하반기 중간 결과 발표 예정으로 임상 2a상 결과에 따라 임상 2b상 진입 또는 조건부 허가 신청과 해외 라이선스 아웃을 동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진행성 간암을 대상으로 진행중인 ‘Vax-NK/HCC’ 임상2a상 12번째 환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로 예정했던 임상 예비연구결과 발표를 오는 3 분기에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유틸렉스
(263050)

9,370원
(+0.75%)
암 항원 특이적 세포 독성 T 세포 관련 美 특허 취득 속 강보합
▷CANCER ANTIGEN-SPECIFIC CYTOTOXIC T CELLS(암 항원 특이적 세포 독성 T 세포) 관련 美 특허권 취득 공시. 동사는 본 특허를 활용해 여러 암항원에 반응하는 킬러T세포치료제 연구개발및 임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본 특허기술 토대의 임상을 확대하고 상용화 추진을 계획중임.
네패스아크
(330860)

28,400원
(-7.64%)
30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아이비케이키움사업재편 사모투자 합자회사 등 대상 3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34,570원, 전환청구일:2023-06-30 ~ 2052-05-30) 공시.
카카오게임즈
(293490)

50,700원
(-9.14%)
자회사 상장에 따른 멀티플 희석 우려 등에 약세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오딘 개발사이자 연결 종속회사인 라이온하트스튜디오가 이르면 연내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며, 캐시카우 개발 자회사의 상장에 따른 디스카운트 우려 등에 다른 대형 게임주 대비 주가의 낙폭이 컸다고 분석. 오딘이 전사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0~70% 수준으로 파악되며, 핵심 자회사 상장이 모회사 주가 할인으로 이어지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다만, 지난 20일 출시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가 초기 매출 1위에 오르며 장기 흥행 기반을 마련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며, 올해 2분기 전사 매출액 3,479억원(YoY +168.6%), 영업이익 638억원(YoY +688%), 이익률 18.3%로 사상 최대 분기이익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분석.
▷목표주가 : BUY[유지], 투자의견 : 100,000원 → 90,000원[하향]

 

 





 

 

 

 

 

 

 

 

 

 

 

 

 

 

 



블루베리 NFT(044480)
3,555원(↑29.98%)

1

국내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에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성보화학(003080)
4,665원(↑29.94%)

1

세계 식량위기 우려 지속 등에 일부 농업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현대사료(016790)
35,150원

(↑29.94%)

1

일부 사료 테마 상승 속 액면분할 후 변경상장 첫날 상한가


미코바이오메드(214610)
18,450원(↑29.93%)

1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에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케이옥션(102370)
27,600원(↑29.88%)

1

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녹십자엠에스(142280)
12,400원(+26.02%)

국내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에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급등


누보(332290)
3,515원(+16.58%)

세계 식량위기우려 지속 등에 일부 비료/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강원에너지(114190)
5,790원(+14.65%)

정부, 원전산업 지원방안 발표 속 시장에서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원준(382840)
136,900원(+13.99%)

포스코케미칼과 442억원 규모 포항 1단계 양극재 생산용 열처리 장비 공급계약 체결 등에 급등


차백신연구소(261780)
10,450원(+11.53%)

국내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 속 시장에서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HK이노엔(195940)
43,700원(+11.34%)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에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급등


라온피플(300120)
12,850원(+10.30%)

주당 1주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우진비앤지(018620)
2,070원(+10.11%)

세계 식량위기 우려 지속 등에 일부 사료/비료/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지투파워(388050)
34,350원(+9.92%)

정부, 원전산업 지원방안 발표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시노펙스(025320)
3,430원(+8.72%)

국내 첫 원숭이두창 의심환자 발생 소식 속 원숭이두창 백신 부작용 치료법인 혈장치료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