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
6/17 KOSPI 2,440.93(-0.43%) Fed 자이언트스텝 속 경기 침체 우려(-), 외국인 순매도(-), 中 증시 상승 및 반발매수세 유입(+)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자이언트스텝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및 경제지표 부진 등에 급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409.72(-41.69P, -1.70%)로 약세 출발. 장 초반 2,396.47(-54.94P, -2.2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축소. 오후 들어 2,441.34(-10.07P, -0.4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2,440.93(-10.48P, -0.43%)에서 거래를 마감.
Fed 자이언트스텝 속 경기침체 우려 및 경제지표 부진 등으로 美 증시가 급락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고, 외국인이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하락 마감. 전일 10거래일만에 순매수를 보였던 외국인은 금일 다시 7,000억 가까운 순매도를 보이면서 코스피지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다만, 중국정부의 경기부양책 모멘텀 지속 등으로 中 상해종합지수가 상승했고, 아시아 장중 美 주요 지수 선물 상승, 최근 코스피지수 낙폭 과대 인식등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낙폭을 대부분 만회한 채 거래를 마감. 금융투자를 중심으로한 기관의 매수세와 개인 순매수 등이 코스피지수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
Fed가 6월 FOMC에서 75bp 금리 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스위스 중앙은행과 영국의 영란은행등도 긴축 행렬에 동참했음. 파월 의장은 FOMC 이후 기자회견을 통해 "지금 상황에서볼때 7월 회의 때는 50bp 혹은 75bp 금리 인상을 할 것같다"고 발언하는 등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의지를 수차례 피력. 아울러, 美 경제지표가 둔화되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모습. 美 5월신규주택 착공실적, 5월 신규주택 착공허가 건수, 6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 등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 美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자 수도 계절조정 기준 전주대비 3,000명 감소한 22만9,000명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보다 부진.
지난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6% 넘게 폭락했고, 삼성전자(-1.81%), SK하이닉스(-1.03%) 등 반도체 대표주들이 하락. 삼성전자는 지난 2020년 11월 초 이후 1년 7개월여 만에 6만원 아래서 거래를 마감.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198명, 위중증과 사망자는 각각 82명, 9명을 기록. 정부는 금일 코로나19 확진자 '격리의무 7일'을 4주간 연장한다고 밝힘.
일본, 대만이 하락했고, 중국, 홍콩이 상승하는 등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6,926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2,747억, 3,576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2,530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545계약, 1,043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7원 상승한1,287.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7bp 상승한 3.745%, 10년물은 전일 대비 2.8bp 상승한 3.795%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틱 오른 103.61 마감. 외국인과 은행이 각각 3,353계약, 797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3,845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0틱 내린 109.82 마감. 금융투자가 3,335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2,695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POSCO홀딩스(-1.87%), 삼성전자(-1.81%), 현대차(-1.73%), 기아(-1.42%), KB금융(-1.33%), LG전자(-1.27%), 신한지주(-1.23%), NAVER(-1.04%), SK하이닉스(-1.03%), LG화학(-1.03%), 현대모비스(-0.98%) 등이 하락. 반면, SK이노베이션(+5.13%), 삼성바이오로직스(+3.10%),셀트리온(+2.00%), SK(+1.31%), 삼성SDI(+1.28%), 삼성물산(+0.9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이 우세. 전기/전자(-1.18%), 철강/ 금속(-1.15%), 유통(-1.09%), 운수창고(-1.01%), 증권(-0.90%), 종이/목재(-0.83%), 금융(-0.71%), 은행(-0.71%), 전기가스(-0.59%), 비금속광물(-0.56%) 등이 하락. 반면, 의료정밀(+2.87%), 섬유/의복(+2.58%), 통신(+2.04%), 의약품(+2.02%), 화학(+0.41%), 음식료(+0.14%) 등은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40.93P(-10.48P/-0.43%)
- 코스닥시장 -
6/17 KOSDAQ 798.69(-0.43%) Fed 자이언트스텝 속 경기 침체 우려(-), 기관 순매도(-), 반발매수세 유입(+)
지난밤 뉴욕증시가Fed 자이언트스텝 속 경기 침체 우려 부각 및 경제지표 부진 등에 급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87.97(-14.18P, -1.77%)로 약세 출발. 장 초반 780.96(-21.19P, -2.6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축소. 장 후반 798.85(-3.30P, -0.41%)에서 장중 고점을형성한 후 결국 798.69(-3.46P, -0.43%)에서 거래를 마감.
Fed 자이언트스텝 속 경기 침체 우려 및 경제지표 부진 등으로 美 증시가급락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 특히, 지난밤 나스닥지수는 4% 넘게 급락. 금일 코스피지수는 기관 순매도 등으로 하락 마감.
다만,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외국인과 개인의 순매수, 중국 증시 상승, 美 주요 선물지수 상승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장 막판으로갈수록 낙폭을 줄인 채 거래를 마감.
美 기술주 급락 속 카카오게임즈(-2.09%), LX세미콘(-1.29%), 원익IPS(-1.57%), 동진쎄미켐(-1.48%) 등 시총 상위 게임/반도체 관련 종목 하락. 반면, 알테오젠(+10.74%)이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개발 기대감 등에 급등했고, 천보(+1.69%), 에코프로(+1.73%) 등 일부 2차전지 테마는 양호한 흐름을 보였음.
수급별로는 기관이 1,111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08억, 55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스튜디오드래곤(-3.87%), CJ ENM(-2.71%), 씨젠(-2.11%), 카카오게임즈(-2.09%), JYP Ent.(-1.82%), 솔브레인(-1.69%), 원익IPS(-1.57%), 동진쎄미켐(-1.48%), LX세미콘(-1.29%) 등이 하락. 반면, 알테오젠(+10.74%), 위메이드(+1.76%), 에코프로(+1.73%), 천보(+1.69%), 셀트리온제약(+1.64%), 셀트리온헬스케어(+1.63%), 엘앤에프(+0.84%)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운송(-2.71%), 방송서비스(-2.09%), 통신방송서비스(-2.04%), 통신서비스(-1.94%), 반도체(-1.73%), 기타제조(-1.71%), 비금속(-1.59%), 오락문화(-1.52%), 컴퓨터서비스(-1.15%), 통신장비(-1.09%), IT H/W(-0.95%), 음식료/담배(-0.82%), 출판/매체복제(-0.81%) 등이 하락. 반면, 유통(+0.79%), IT부품(+0.09%), 기타서비스(+0.06%), 금속(+0.04%), 의료/정밀기기(+0.03%)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98.69P(-3.46P/-0.43%)
테마 시황
▷러-우크라 평화협정 가능성 부각 속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이 커지면서 건설기계 테마 상승.
▷LNG 운반선 수주 가격 상승 속 저가 수주 우려 완화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올해 이익 성장 기대감 등에 통신 테마 상승.
▷유럽 천연가스 가격 상승세 지속 등에 도시가스, LPG 테마 상승.
▷삼성SDI, 테슬라 규격 원통형 배터리 생산 예정 소식에 일부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정부, 폐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표원 표준화 작업 착수 소식에 일부 폐배터리 관련주 상승.
▷원숭이두창 관련 WHO 긴급회의 개최 소식 속 일부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이 외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터치패널, 북한 광물자원개발, 셰일가스, 전자파, 전선, 정유, 4대강 복원, 바이오시밀러, 남-북-러 가스관사업, 리비안 관련주, NI(네트워크통합), 철도, 제습기, 백신여권, 희귀금속(희토류 등)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락 등에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화물연대 파업 철회에도 파업 여파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 시멘트/레미콘 테마 등 하락.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여행, 면세점, 영화, 백화점 등 일부 소비 테마 하락. 은행, 손해보험, 생명보험 등 금융 테마도 하락.
▷누리호 발사 무산 여파 지속 속 우주항공산업 테마 하락.
▷전일 유럽중앙은행, 1~1.5조 유로 규모 디지털 유로 발행 예상 등에 부각됐던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하락.
▷글로벌 식량 위기 우려 지속 등에 최근 강세를 보이던 사료, 농업, 비료, 음식료업종 등 테마 러-우크라 평화협정 가능성 부각 속 하락.
▷이 외 증시 하락 속 증권 테마가 하락했고, 밥솥, 홈쇼핑, 전자결제(전자화폐), 아이폰, 광고, 소매유통, 엔터테인먼트, 키오스크, 종합상사, LED장비, 케이블 TV SO/MSO, 자율주행차, 제대혈, 크래프톤 관련주, 웹툰, 리츠(REITs),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야놀자 관련주, 페인트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건설기계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정 가능성 부각 속 상승
▷현지시간 16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루마니아 정상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한 가운데, 터키 매체에 따르면,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봉쇄 관련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회담 개최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짐. 에드로안 터키 대통령은 "튀르키예(터키의 새 국호)는 우크라이나 곡물의 수출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논의할 것"이라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한편, 각국 정상과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회동에서 우크라이나의 EU 가입 절차 신속 처리 문제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EU 지도부는 우크라이나의 신속 가입을 돕기 위해 절차를 최대한 간소화해 후보국 지위를 부여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이 커지면서 현대에버다임, 혜인, 현대건설기계 등 건설기계 테마가 상승.
조선LNG 운반선 수주 가격 상승 속 저가 수주 우려 완화 등에 상승▷전일 언론에 따르면, 국내 조선 3사의 주력 선종이자 가장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수주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2억4,000만달러(약 3,080억원) 고지를 밟았으며, 선가 상승에도 LNG선 수주 규모도 증가한 것으로전해짐.
▷올해 국내 조선 3사인 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현대삼호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이 최근 수주한 대형 LNG 선 공시를 전수조사한 결과, 각 사가 수주 시점에 공시한 환율을 바탕으로 산출한 달러 환산 척당 수주가액은 평균 2억2,208만달러로 2014년이후 최고치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대우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테마가 상승.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전일 박두선 사장과 포스코 기술연구원 최종교 전무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고망간강 소재 LNG 연료탱크를 초대형 원유운반선에 설치하는 탑재식을 진행했다고 밝힘.
통신올해 이익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신한금융투자는 지난 15일 리포트를 통해 2022년 3사 합산 영업이익이 4.57조원(+13.1%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5G 가입자 수 증가에 따른 ARPU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비용 부담도 제한적이라고 분석. 이처럼 2022년 통신 3사의 확실한 이익 성장이 기대되며, 하반기 통신사들의 완만한 주가 상승을 예상.
▷IBK투자증권은 16일 리포트를 통해 5G를 비롯한 유무선 통신과 방송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 전용회선, 데이터 센터 등 주력 사업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 아울러 가입자 모집 마케팅 환경이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비용 집행으로 실적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설명. 또한, 최근 경제 상황이 수익에 미칠 영향도 제한적이라고 밝힘.
▷한편, KB증권은 SK텔레콤에 대해 강화된 배당 정책, 무선업종 마케팅 경쟁 완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 기업간거래(B2B) 사업의고성장이 기대된다고 전망.
▷이와 관련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테마가 상승.
도시가스/LPG(액화석유가스)
유럽 천연가스 가격 상승 지속 등에 상승
▷전일(현지시간) 유럽 천연가스 가격의 기준이 되는 네덜란드 TTF 거래소의 7월 천연가스 선물가격이 전거래일 대비 3.35% 상승해 124.364 유로를 기록. 이는 이번주 들어 약 50% 가량 상승한 수치임.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 가스프롬이 14, 15일 연이틀 러시아와 독일을 연결하는 발트해 관통 가스관 노르트 스트림의 공급량을 대폭 줄이겠다고 발표한 영향이지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또한, 도시가스요금 인상 기대감도 긍정적으로 작용. 산업통상자원부와 가스공사에 따르면, 내달부터 민수용(주택용ㆍ일반용) 가스요금의 원료비 정산단가가 메가줄(MJ·가스 사용 열량 단위)당 1.90원으로 기존보다 0.67원 인상될 예정.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美 이란 제재 소식 등에 전거래일보다 2.28달러(+1.98%) 상승한 117.59달러에 거래 마감. 美 재무부는 전일(현지시간) 이란산 석유화학제품이 기존 제재를 회피해 중국이나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로 판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같이 제재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중앙에너비스, 대성산업, 흥구석유 등 도시가스/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상승.
원숭이두창원숭이두창 관련 WHO 긴급회의 개최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외신에 따르면 원숭이두창이 국제 보건을 위협할 수 있는 감염병인지 결정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는 다음주 긴급 회의를 가질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원숭이두창이 정확히 어떤 이유로 유례없는 확산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명확히 조사하고 명칭도 변경될 것으로 알려짐. 또한 WHO는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발생한 환자의 체액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발견된 이후 성적 접촉에 의한감염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지난 15일 기준 전 세계 원숭이두창의 감염자 수는 2,000명을 돌파했으며 발생 국가는 38개국으로 확대되었음. 일부 감염자는 정액에서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확인되고 있으며 이로인해 WHO는 원숭이두창의 주된 감염 병로는 긴밀한 신체 접촉이라고 우선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원숭이두창은 아프리카 풍토병으로 기존에는 주로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만 감염이발생했지만 이번 감염의 85%는 이례적으로 유럽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러한 소식 속 블루베리 NFT, 미코바이오메드등 일부 원숭이두창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삼성SDI, 테슬라 규격 원통형 배터리 생산 예정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SDI가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중대형 원통형 배터리 시장에 진출하는 것으로 전해짐. 삼성SDI는 충남 천안공장에 원통형 배터리를 양산할 수 있는 파일럿 라인 증설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으며, 개발 중인 제품은 NCA 양극재가 적용될 것으로 알려짐. 이는 LG에너지솔루션이 내년에 양산하는 4680 배터리(지름 46mm, 길이80mm)와 같은크기이거나, 비슷한 길이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삼성SDI는 완성차업체들이 다양한 모양의 배터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원통형 배터리 시장에 뛰어든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천안공장 파일럿 라인 신설을 통해 내년 상반기 샘플 생산을 계획중인 것으로 전해졌음.
▷한편, 최근 삼성전자와 삼성SDI 등 삼성그룹 핵심 계열회사들이 빠르게 커지고 있는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TF(태스크포스)를 발족했다는 소식도 전해진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에이에프더블류, 코스모화학, 삼진엘앤디, 상신이디피 등 일부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폐배터리 관련주정부, 폐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표원 표준화 작업 착수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발표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정부는 폐플라스틱, 폐배터리 재활용 등 순환경제 기반구축에 적극 나선다고 전해짐.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까지 전기차 배터리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으로 관련 표준화 작업이 본격화될것으로 전망.
▷국표원은 배터리를 재활용해 리튬, 니켈 등 원료 공급난을 완화하고 표준화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지난 15일전기차 배터리 분야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표준화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고 전해짐. 이번 회의에서 표준화 대응방안 및 국내·외 규제현황에 대해 논의했으며, 유럽이 2030년 이후 폐배터리 재활용 비율 규제를 예고한 가운데, 배터리에 재활용원료 사용 비율을 리튬 4%, 니켈 4%, 코발트 12% 이상 쓰도록 의무화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코스모화학, 하나기술, 파워로직스 등 일부 폐배터리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락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자이언트스텝 단행 등 고강도 긴축 정책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커지면서 급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폭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0.68(-6.23%) 폭락한 2,566.86를 기록. 인텔(-3.39%), AMD(-8.12%), 퀄컴(-7.79%), ASML(-7.36%), 엔비디아(-5.60%) 등이 하락.
▷Fed는 전일(현지시간) 시장 예상대로 연방기금금리(FFR) 목표치를 0.75%포인트 인상한 가운데, 스위스 중앙은행(SNB)과 영국 영란은행 (BOE) 등 다른 주요 중앙은행들도 긴축 행렬에 동참했음. 아울러 美 경제 지표가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3분기 DRAM, NAND 고정가격이 각각 mid-single QoQ, high-single QoQ 하락할 것으로 전망. 주요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의 2분기 DRAM bit growth 가이던스는 15% QoQ 증가였으나 이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하고, 3분기 DRAM과 NAND 수요 역시 기대보다 부진할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어 하반기 수요 부진 여파로 메모리 반도체 업종의 12M Fwd 어닝 추정치가 10~20%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성엔지니어링, 유진테크, 가온칩스, 다믈멀티미디어 등 반도체 관련주 등이 하락. 특히, 삼성전자는 6만원선이 붕괴되며 또 다시 52주 신고가를 기록.
SK증권 (001510) 811원 (+14.87%) |
우리금융그룹, 동사 인수 추진 기대감 부각에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우리금융이 동사 지분 인수를 위해 J&W파트너스와 물밑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금융권 관계자에 따르면 "기존 인수 대상에 올랐던 유안타증권은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SK증권이 유력한데 최근 물밑접촉이 시작된 것으로 전해진다"고 밝힘. ▷한편, 현재 상태에서 경영 프리미엄 최고수준인 3분 2가량으로 책정해 주당 약 470원을 얹으면, 우리금융이 J&W파트너스의 지분을 인수할 수 있을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3월 말 기준 J&W파트너스의 보유주식 9,260만9,439주로 추산할 시 J&W파트너스의 주식만 대략적으로 1,088억원에 인수가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
|
일진전기 (103590) 7,020원 (+9.18%) |
총 1,535.37억원 규모 HV(고압)케이블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싱가포르 전력청(SPGroup)과 949.4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18%) 규모 공급계약(싱가포르 전력청 HV (고압) 케이블 공급(NDC312)) 체결(계약기간:2022-06-16~2025-02-28) 및 585.9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28%) 규모 공급계약(싱가포르 전력청 HV (고압) 케이블 공급(NDC322)) 체결(계약기간:2022-06-16~2025-11-14) 공시. | |
SK그룹주 | SK그룹 확대경영회의 개최 속 247조 규모 투자 구체화 기대감 등에 상승 |
▷금일 SK그룹이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상반기 최대 전략회의인 '2022 확대경영회의'를개최한 가운데,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조대식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김준 SK이노베이션부회장, 유정준 SK E&S 부회장, 장동현 SK 부회장 등 30여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짐. ▷이날 저녁까지 이어지는 확대경영회의에서는 상반기 경영 현황이 점검되고, 미래 대응 전략들이 논의될 예정이며, 특히 SK그룹이 지난달 발표한 BBC 중심 투자계획에 관한 세부 실행방안이 구체적으로 거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를 통해 SK그룹은 2026년까지 5년간 BBC(Battery, Bio, Chip)를 중심으로 247조원 규모를 투자할계획임. ▷이에 금일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C, SK아이이테크놀로지, SK 등 SK그룹주가 상승. [종목] : SKC, SK텔레콤, SK, SK이노베이션, SK아이이테크놀로지 |
|
삼양식품 (003230) 98,800원 (+4.88%) |
계열사 삼양애니, 더 샌드박스와 메타버스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의 미디어커머스 계열사 삼양애니는 언론을 통해 글로벌 메타버스 게이밍 플랫폼 '더 샌드박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파트너십으로 양사는 삼양식품 브랜드 및 콘텐츠 지적재산(IP)을 활용해 대체불가토큰(NFT) 상품을 기획하고 제작할 예정이며, 삼양식품 랜드를 메타버스에 선보일 예정. 또한, 향후에도 더 샌드박스와 다양한 협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계획임. ▷이와 관련 삼양애니 관계자는 "삼양식품이 60년간 축적해 온 브랜드 및 콘텐츠 IP 자산을 글로벌 NFT와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확장으로 전 세계 소비자들과 함께 어울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밝힘. |
|
아모레퍼시픽 (090430) 139,500원 (+3.33%) |
中 시장 회복 기대감 등에 상승 |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중국 시장 여건이 회복 중이라고 분석. 특히, 중국 상해지역 락다운 영향은 6월1일을 기점으로 완화 추세로 가고 있으며, 5월부터 상해지역 내 물류센터가 정상적으로 운영되면서 이커머스수요를 대응하기에 충분했을 것으로 판단. ▷아울러 설화수 중심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국내외 매장 효율화와 인건비 등 경영비용 감축 효과로 마진 레벨의 하한선이 상향되는 점은 지속성 있는 투자 포인트이며, 럭셔리 브랜드 설화수가 자음생 세럼 출시 등으로 전사 실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고, 국내와 중국 업황 회복 시 동사의 하반기 이익 레버리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30,000원[유지] |
|
코스모신소재 (005070) 58,800원 (+2.98%) |
올해 실적 호조 및 전구체 사업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
▷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매출액/영업이익은41%/58% YoY 증가한 4,300억원/344억원, 영업이익률 8.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2022년 기준 NCM 양극재 2만톤 CAPA을 확보중이며, 현재 주요 고객사는 삼성과 LG이고, SK도 고객으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는 전구체 사업도 준비해 신제품 R&D에 속도를 낼 것이며 전구체 공장은 올해 완공해서 내년 하반기 생산을 계획중라고 설명. 모회사 코스모화학이 코발트제련과 리사이클링 사업을 하여 수직계열화를 할 것이라고 언급. |
|
휠라홀딩스 (081660) 28,200원 (-5.37%) |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하락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841억원(+6% YoY), 1,652억원(-5%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중국 수수료를 제외한 순수 국내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율은 각각 yoy -5%, yoy -29% 로 예상. 이는 2분기 전체 국내 소비는 양호했으나, 국내외 저가 채널 정리와 홀세일 매출 비중을 낮추면서 매출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기때문이라고 분석. ▷아울러 미국법인 매출액은 글로벌 공급망 붕괴 영향이 지속과 판매 채널 재정비 영향으로 USD 기준 yoy -15%의 역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 영업이익은 매출 감소와 중장기 전략 수행을 위한 현지 신규 인력 채용으로 1분기와 마찬가지로 소폭 적자 예상.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7,000원[유지] |
레몬 (294140) 4,880원 (+29.96%) |
전기차 고체 전지 전해질 지지체 개발 성공 소식에 상한가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세계 최고 수준의 고강도, 열 안정성, 박막화의 전기자동차용 고체 전지 전해질 지지체의 개발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전고체 전지는 전기 저장이 필요한전지 내부의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현재 주류인 리튬이온 전지보다 성능이 높다고 알려져 있고 전기자동차의 사용에도 주목되어 다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김광진 동사 대표이사는 “나노섬유의 장점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한 결과로, 이번 고체전지 전해질 지지체의 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라며, “세계 최고의 양산 및 개발 능력을 갖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최고의 나노소재전문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밝힘. |
|
하이딥 (365590) 1,940원 (+29.77%) |
갤럭시워치5 터치 IC 공급 확정 소식 등에 상한가 |
▷CTT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갤럭시워치3까지 적용된 터치 IC 는 지니틱스가 대부분 납품했지만, 2H21 출시된 갤럭시워치4부터는 동사가 전량 독점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2H22 출시될 갤럭시워치5에도 동사가 터치 IC 독점 공급이 확정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 갤럭시워치4부터 Flexible OLED가 적용되면서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 간 거리가 기존 Rigid OLED 대비 1/20 으로 줄어 디스플레이의 노이즈가 터치센서에 많은 영향을 주기 시작한 가운데, 노이즈를 줄이고 안정적인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터치 솔루션이 필요했는데, 이를 동사가 해결했다고 밝힘. ▷아울러 고객사는 이미 스마트워치에서 동사의 기술력을 인정했기에 모바일로 확장하는 것은 시간문제이며, 이르면 하반기 중으로 동사의 터치 IC를 적용한 모바일 모델이 선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4Q22부터 초도 물량 납품에 따른 매출 인식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 ▷투자의견 : STRONG BYT[신규], 목표주가 : 3,620원[신규] |
|
범한퓨얼셀 (382900) 47,950원 (+16.95%) |
신규상장 첫날 급등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40,000원을 상회한 41,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장초반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이내 상승전환하며 급등 마감. 한편, 동사는 수소연료전지 기술 개발 및 제품 생산 전문업체로, 잠수함용 연료전지, 건물용 연료전지,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 등을 영위. | |
디딤 (217620) 1,805원 (+12.81%) |
K콘텐츠 신사업 추진 기대감에 급등 |
▷동사는 전일 공시를 통해 오는 8월19일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한다고 밝힘. 이번 임시 주주총희 부의 안건은 만화, 소설, 에니메이션, 영상 등 K콘텐츠 관련 제작 및 판매업 등 총 9개 항목의 사업목적을 추가한다는내용임. ▷아울러 동사는 최근 총 240억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을 공시한 가운데, 전환사채 발행 목적은 "K콘텐츠와 K푸드의 해외 진출과타법인 지분 취득"이라고 밝힌 바 있음. |
|
알테오젠/에이비엘바이오/레고켐바이오 |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개발 기대감 등에 급등 |
▷언론에 따르면, 최근 스위스 바이오텍인 ADC 테라퓨틱스가 올해 유럽혈액학회(EHA)에서 재발성·불응성 호지킨 림프종에 대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인 '카미단루맙 테시린(camidanlumab tesirine)'의 긍정적인 임상 2상결과를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임상 결과 70.1%의 객관적반응률(ORR)을 보였으며, 33.3%는 완전관해(CR)를 달성한 것으로 전해짐. ▷이에업계에서는 최근 임상종약학회(ASCO)에서 스타 유방암 치료제로 떠오른 '엔허투'를 비롯해 카미단루맙 테시린까지 좋은 결과를 내놓으면서, ADC에 대한 투자 및 연구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국내 한 전문가는 "ADC의 경우 해외 기업뿐 아니라 국내에서도개발 중인 기업이 많다"며, "최근 침체된 국내 바이오 업계의 분위기를 조금이라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ADC 약물을 활용한 치료제를 개발중인 알테오젠, 레고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특히, 알테오젠은 바이오 USA서 'ALT-B4'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힌 점도 지속 호재로 작용. [종목] : 레고켐바이오, 알테오젠, 에이비엘바이오 |
|
제룡전기 (033100) 6,510원 (+10.34%) |
195.02억원 규모 변압기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와 195.02억원(최근매출액대비 40.0%) 규모 공급계약(미국 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 3상 PAD 변압기 22종) 체결(계약기간:2022-06-17~2023-12-31) 공시. | |
모다이노칩 (080420) 3,445원 (+9.54%) |
소니·혼다, 전기차 사업 합자회사 설립 소식 속 과거 소니 납품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흡수합병 사실 부각에 급등 |
▷전일 외신에 따르면, 일본 소니그룹과 혼다기연공업이 전기차 판매와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합자회사 ‘소니·혼다모빌리티 주식회사'를 설립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소니·혼다모빌리티는 2022년중 법인이 설립될 예정으로, 전기차 판매와 서비스 제공은 2025년부터 이루어질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과거 소니의 납품회사였던 이노칩테크놀로지를 흡수합병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툴젠 (199800) 68,100원 (+8.10%) |
유전자가위 美 특허 소송 승리 기대감 등에 강세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미국에서 진행중인 유전자가위관련 특허 소송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전해짐. 최근 두 번째 로펌을 선임하면서 법무팀도 강화한 가운데, 특히 해당 특허분쟁이 오히려 동사가 크리스퍼·카스9의 원천 특허를 갖고 있음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모멘텀이라고 될 것이라고 설명. ▷김영호동사 대표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한 사업을 하다보면 크리스퍼·카스9뿐 아니라 다양한 기술이 모두 필요하게 되는데 동사는 1·2·3세대 유전자가위 기술을 모두 개발해 특허권을 갖고 있는 회사"라며, "어느 한 분야에 한정돼 있지 않고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특허와 관련한 모든 사업분야의 권리를 갖고 있는 아시아 유일의 플랫폼 기업으로서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밝힘. ▷한편, 현재 진행중인 유전자가위 관련 소송의 쟁점은 3세대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카스9을 누가 먼저 발명했는가에 대한 것으로, 2012년 10월 크리스퍼·카스9 진핵세포 원천특허를 출원한 동사는 CVC, 브로드와의 저촉심사에서 각각 ‘시니어파티’로 인정된 바 있음. 선발명 증명책임은 CVD, 브로드 등 '주니어파티'에만주어지는 것으로 알려짐. |
|
나이벡 (138610) 24,200원 (+7.32%) |
바이오 USA서 '염증성장질환 치료제(NIPEP-IBD)' 자금 지원 확약 성과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바이오 USA에서 글로벌 제약사들과 후속 논의를 성공적으로 마친 가운데 '염증성장질환 치료제(NIPEP-IBD)' 개발과 관련해 '자금 지원 확약'을 받는 성과를 올렸다고 밝힘. 지난 13일부터 진행된 바이오 USA에서 대표적인 약물 전달 플랫폼 'NIPEP-TPP' 적용을 위해 협업을 진행해온 글로벌 제약사와 후속 연구 단계에 대한 기술 협업 논의를 마쳤으며, 글로벌 임상 1상이 임박한 '폐섬유증 치료제(NP-201)'와 더불어 '염증성장질환 치료제(NIPEP-IBD)'는 다수의 바이오 사들이 관심을 보여 후속 단계 논의 등을 골자로 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힘. 특히, 염증성장질환 치료제는 글로벌 임상 1상을 계획 중으로 향후 진행할 추가 실험에 대한 재정 지원 확약을 받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 | |
이씨에스 (067010) 4,225원 (+6.16%) |
케이티와 94.01억원 규모 롯데홈쇼핑 콜센터 통화인프라 투자사업 시설공급 계약에 강세 |
▷(주)케이티와 94.01 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1.7%) 규모 공급계약(롯데홈쇼핑 콜센터 통화인프라 투자사업 시설공급) 체결(계약기간:2022-06-16~2022-09-30) 공시. | |
헬릭스미스 (084990) 23,350원 (+6.14%) |
7월 중순 엔젠시스 당뇨병성 신경병증 임상 3-2상 중간결과 발표 소식 속 강세 |
▷동사 김선영 대표는 언론과의인터뷰를 통해 동사가 개발중인 유전자치료제 엔젠시스(VM202) 임상 3-2상에 대한 중간결과가 다음달 중순에 공개될 것이라고 밝힘. 엔젠시스는 동사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현재 당뇨병성 신경병증(DPN)에 대한 임상 3-2상이 진행되고 있음. ▷김선영 대표가 언급한 중간결과는 다음달 이루어질 FDA가 구성을 권고하는 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IDMC)의 중간권고를 뜻하며 이는 임상 과정에 대해 임상 지속, 임상디자인 수정, 임상 중단 등을 결정해 임상 주체에 권고하는 것으로 전해짐. |
|
네오위즈 (095660) 26,350원 (+5.40%) |
게임 중심 블록체인 프로젝트 '오아시스' 합류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게임 중심 블록체인 프로젝트 ‘오아시스(OASYS)’에 합류했다고 밝힘. 오아시스는 각각의 블록체인 생태계가 가진 기술적 한계를 넘어 상생을 도모하는 프로젝트로, 국내 게임사로는 넷마블, 컴투스, 위메이드 등이 참여 중이며 ‘반다이 남코’, ‘세가’, ‘더블점프 도쿄’, ‘크립토게임즈’ 등 일본 대표 게임 업체를 포함한 21개의 글로벌 게임사들이 참여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고 언급. | |
티움바이오 (321550) 15,850원 (+4.28%) |
면역항암물질 'TU2218' 임상기관 1→4곳 확대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과 국내서 임상중인 면역항암 신약물질 ‘TU2218’의 임상시험기관을 다음달부터 기존 1곳에서 4곳으로 확대한다고 밝힘. 동사는 TU2218 단독투여 코호트를 항암제 초기 임상으로 저명한 美 넥스트 온콜로지에서 환자모집 및 단독 요법 임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美 임상기관인 마리 크롤리 캔서 리서치와 국내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에서도 다음 달부터 환자 모집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면역항암제 TU2218 임상기관이 기존 1곳에서 4곳으로 확대 운영되면 임상진행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임상1상 용량별 시험군 중 최저용량인코호트1에서도 종양크기가 일부 감소된 ‘부분관해’라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했고, TU2218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임상 진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 |
|
아이티아이즈 (372800) 10,600원 (+3.92%) |
NICE평가정보와 공급계약(CB 온라인 AP 차세대 프로잭트) 체결에 상승 |
▷NICE평가정보(주)와 65.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71%) 규모 공급계약(CB 온라인 AP 차세대 프로잭트) 체결(계약기간:2022-06-20~2023-09-19) 공시. | |
유틸렉스 (263050) 9,760원 (+2.74%) |
동아시아 세포·유전자 치료제 국제콘퍼런스 초청 소식에 소폭 상승 |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동아시아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컨퍼런스'(CGTWEA 2022)에서 세포치료제 분야 대표 기업으로 선정돼 발표에 나선다고 밝힘. 특히, 동사의 최수영 대표는이번 행사의 의장으로 위촉됐으며, 제약·바이오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콘퍼런스를 주재할 예정임. 발표자로도 초청받아 동사의 T세포및 차세대 CAR-T 치료제 연구 현황과 성과를 발표할 예정임. | |
유바이오로직스 (206650) 15,450원 (+2.32%) |
우크라이나 콜레라 발병 우려 속 백신 생산 부각에 소폭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와 장기간 전쟁중인 우크라이나에서 콜레라 창궐이 임박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러시아에 함락된 것으로 알려진 우크라이나의 남동부 도시마리우폴에서는 이미 콜레라가 발생했다는 외신들의 보도가 잇따르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모습. ▷이에 금일 콜레라 백신을 생산하고 있는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동사 관계자는 "WHO가 우크라이나 콜레라 유행 현황을 파악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WHO가 콜레라 백신이 필요하다고 요청할 경우 콜레라 백신을 즉각 공급해 국제 방역에 일조하겠다"고 언급. |
|
THQ (192410) 5,600원 (-12.36%) |
전환사채 전환청구권 행사 등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동사는 4,016,287주 규모의 전환청구권이 행사되었다고 공시. 이는 발행주식총수 대비 12.17%이며, 전환가격은 2,455원임. 신규 상장예정일은 2022년7월1일임.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를 통해 김상기 대표이사의 소유 특정증권 등의 수 및 소유비율이 전환사채권 장외매도 등으로 2,001,163주(6.76%)에서 1,634,584(4.95%)로 366,579주(1.81%) 감소했다고 밝힘. |
|
대유 (290380) 5,100원 (-13.71%) |
14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리오컨소시엄 등 대상 140억원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5,390원, 전환청구일:2023-07-18 ~ 2025-06-18) 공시. |
레몬(294140)
4,880원(↑29.96%)
1
일부 2차전지테마 상승 속 전기차 고체 전지 전해질 지지체 개발 성공 소식에 상한가
하이딥(365590)
1,940원(↑29.77%)
1
갤럭시워치5 터치 IC 공급 확정 소식 등에 상한가
조광ILI(044060)
13,150원(+23.47%)
주당 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블루베리 NFT(044480)
2,935원(+20.29%)
원숭이두창 관련 WHO 긴급회의 개최 소식 등에 일부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에프더블류(312610)
4,155원(+18.54%)
삼성SDI, 테슬라 규격 원통형 배터리 생산 예정 소식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범한퓨얼셀(382900)
47,950원(+16.95%)
신규상장 첫날 급등
현대에버다임(041440)
8,890원(+16.67%)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협정 가능성 부각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SK증권(001510)
811원(+14.87%)
우리금융그룹,동사 인수 추진 기대감 부각에 급등
미코바이오메드(214610)
14,950원(+12.83%)
원숭이두창 관련 WHO 긴급회의 개최 소식 등에 일부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급등
디딤(217620)
1,805원(+12.81%)
K콘텐츠 신사업추진 기대감에 급등
엠아이텍(179290)
11,400원(+11.22%)
보스턴 사이언티픽, 동사 인수 추진 후 자진 상장폐지 가능성 부각에 급등
삼진엘앤디(054090)
3,570원(+11.04%)
삼성SDI, 테슬라 규격 원통형 배터리 생산 예정 소식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알테오젠(196170)
56,700원(+10.74%)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개발 기대감 속 'ALT-B4' 기술이전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지에스이(053050)
5,610원(+10.65%)
유럽 천연가스 가격 상승 지속 등에 일부 도시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제룡전기(033100)
6,510원(+10.34%)
195.02억원규모 변압기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모다이노칩(080420)
3,445원(+9.54%)
소니·혼다, 전기차 사업 합자회사 설립 소식 속 과거 소니 납품사 이노칩테크놀로지 흡수합병 사실 부각에 급등
일진전기(103590)
7,020원(+9.18%)
총 1,535.37 억원 규모 HV(고압)케이블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코스모화학(005420)
18,500원(+9.14%)
일부 폐배터리 관련주 상승 및 삼성SDI, 테슬라 규격 원통형 배터리 생산 예정 소식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주식 시장 간단 브리핑 > 상승 종목&하락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6.21(화),코스피.코스닥, 테마시황, 상승종목등..셀루메드,신화인터텍, 실리콘투, 압타머사이언스, 누보,서암기계공업,씨아이에스... (0) | 2022.06.22 |
---|---|
2022.06.20(월),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 상승종목등, 레몬, 피에스베어링, 압타머사이언스, 큐에스아이, 고려산업, AP위성, 케이씨피드,고려신용정보, 대성산업, KG ETS, 피씨엘, 희림 (0) | 2022.06.21 |
2022.06.16(목), 코스피.코스닥시황, 테마시황, 상승종목등.. (0) | 2022.06.17 |
2022.06.15(수), 코스피.코스닥시황, 테마시황, 상승종목등.. (0) | 2022.06.16 |
2022.06.14(화),코스피.코스닥시황, 테마시황, 상승종목등.. (0) | 2022.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