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테마 스케쥴

2022.04.02(토)~04(월), 싸이월드 오픈 예정, CGV 영화 관람료 인상 예정,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시행 예정

by goodpoint77777 2022. 4. 3.
728x90
반응형

월요일-4월-4일

 

 

4월 2일 토요일
1. 한중일 및 아세안+3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 결과 발표 예정
2. 신세계그룹, 랜더스데이 개최 예정
3. 싸이월드 오픈 예정
4. 에프에스티 보호예수 해제

* 야구 일정
14시
한화(김민우) VS 두산(스탁) <잠실>
LG(플럿코) VS KIA(양현종) < 광주>
롯데(반즈) VS 키움(안우진) <고척>
SSG(폰트) VS NC(루친스키) <창원>
삼성(뷰캐넌) VS KT(쿠에바스) <수원>




4월3일 일요일
1. 한미정책협의단 출국 예정
2. 국무총리 후보자 최종 발표 예정
3. 아시아나항공, 하와이 노선 운항 재개 예정
4. 비씨엔씨 보호예수 해제
5. 노을 보호예수 해제

* 야구 일정
14시
한화 VS 두산 <잠실>
LG VS KIA <광주>
롯데 VS 키움 <고척>
SSG VS NC <창원>
삼성 VS KT <수원>




4월 4일 월요일


1. 중국, 대만 증시 휴장


2. 러시아, 22억 달러 규모 국채 이자 및 원금 만기일(현지시간)


3.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시행 예정


4. CGV, 영화 관람료 인상 예정


5. 한샘, 가구품목 가격 인상 예정



6. 썸에이지 추가상장(유상증자)



7. 지더블유바이텍 추가상장(CB전환)



8. 두산중공업 추가상장(BW행사)



9. 누보 보호예수 해제



10. 美) 2월 공장주문(현지시간)


11.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현지시간)


12. 유로존)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현지시간)


13. 독일) 2월 무역수지(현지시간)


14. EPL) 토트넘 VS 뉴캐슬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4월 2일 토요일
1. 한중일 및 아세안+3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 결과 발표 예정
2. 신세계그룹, 랜더스데이 개최 예정
3. 싸이월드 오픈 예정
4. 에프에스티 보호예수 해제

* 야구 일정
14시
한화(김민우) VS 두산(스탁) <잠실>
LG(플럿코) VS KIA(양현종) < 광주>
롯데(반즈) VS 키움(안우진) <고척>
SSG(폰트) VS NC(루친스키) <창원>
삼성(뷰캐넌) VS KT(쿠에바스) <수원>

4월3일 일요일
1. 한미정책협의단 출국 예정
2. 국무총리 후보자 최종 발표 예정
3. 아시아나항공, 하와이 노선 운항 재개 예정
4. 비씨엔씨 보호예수 해제
5. 노을 보호예수 해제

* 야구 일정
14시
한화 VS 두산 <잠실>
LG VS KIA <광주>
롯데 VS 키움 <고척>
SSG VS NC <창원>
삼성 VS KT <수원>

4월 4일 월요일
1. 중국, 대만 증시 휴장
2. 러시아, 22억 달러 규모 국채 이자 및 원금 만기일(현지시간)
3.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시행 예정
4. CGV, 영화 관람료 인상 예정
5. 한샘, 가구품목 가격 인상 예정
6. 썸에이지 추가상장(유상증자)
7. 지더블유바이텍 추가상장(CB전환)
8. 두산중공업 추가상장(BW행사)
9. 누보 보호예수 해제
10. 美) 2월 공장주문(현지시간)
11.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현지시간)
12. 유로존)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현지시간)
13. 독일) 2월 무역수지(현지시간)
14. EPL) 토트넘 VS 뉴캐슬



 

- 코스피시장 -

4/1 KOSPI 2,739.85(-0.65%) 인플레이션 우려(-), 러-우크라 협상 불확실성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에 큰 폭으로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2,745.85(-11.80P, -0.43%)로 하락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빠르게 낙폭을 확대해 2,729.68(-27.97P, -1.0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낙폭을 만회했고 정오 무렵 2,744선 위로 올라서기도 함. 오후 들어 재차 낙폭을 키워 2,735선 아래로 밀려나기도했지만, 장 후반 일부 낙폭을 만회해 결국 2,739.85(-17.80P, -0.65%)로 장을 마감.

러-우크라 협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美 2월 PCE 물가 지수 급등 등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및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 증시에도 부담으로 작용.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기관은 5거래일만에 순매도,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다만, 위드 코로나 기대감 등에 리오프닝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낙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

밤사이 연방준비제도(Fed)가 주로 참고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가 4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모습. 미국의 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6.4% 상승해 1982년 1월(6.9%) 이후 40년1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도 전년동월대비 5.4% 상승하면서 1983년 4월(5.5%) 이후 38년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이에 뉴욕 3대 지수는 모두 1.5% 넘게 하락.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불확실성도 지속되는 모습.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 간 평화 협상이 오는 1일 온라인 형식으로 재개될 것으로 알려졌지만,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내 군사 활동 축소 입장을 밝힌 가운데에도 여전히 수도 키이우(키예프) 등에 대한 공격이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에 비우호적인 국가들은 4월1일부터 가스 구매 대금을 루블화로 결제하도록 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으며, 이에 러시아 가스 의존도가 높은 독일, 프랑스 등은 “협박”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음. 아울러 외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군 헬기가 접경지역에 있는 러시아 석유 저장시설에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중국 상하이 봉쇄령이 연장됐다는 소식도 부담으로 작용. 상하이시는 황푸강 동부 푸둥 지역의 봉쇄 기간을 10일 더 연장키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28만273명(국내 28만225명, 해외유입 48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1,229명, 사망자는 360명을 기록. 이날 정부는 오는 4일부터 2주 동안 사적모임 제한 인원을 현행 8명에서 10명으로 확대하고,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오후 11시에서 자정까지 1시간 연장하는 새로운 거리두기 방안을 확정했음. 아울러 2주간 코로나19 유행이 확연히 감소세로 전환하고, 위중증 환자와 의료체계가 안정적으로 관리된다면 '실내 마스크 착용' 등 핵심수칙을 제외한 모든 조치 해제를 검토하겠다고 밝힘.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상승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은 하락하는 등 대부분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7,827억, 724억 순매도, 개인은 8,457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5,585계약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3,211계약, 2,481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3.4원 상승한 1,215.5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2.1bp 상승한 2.784%,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8bp 상승한 3.007%를 기록.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 LG에너지솔루션(-3.17%), LG전자(-2.49%), POSCO홀딩스(-1.71%), SK하이닉스(-1.69%), LG화학(-1.69%), 삼성SDI(-1.51%), NAVER(-1.47%), 셀트리온(-1.46%), 현대차(-1.39%), 카카오뱅크(-1.36%), 삼성물산(-1.32%), 삼성바이오로직스(-0.85%), KB금융(-0.82%), 삼성전자(-0.72%), 카카오(-0.47%), 신한지주(-0.12%) 등이 하락. 반면, 현대모비스(+0.93%), 기아(+0.27%) 등이 상승했고, SK이노베이션은 보합 마감.

업종별로도 하락 업종이 우세. 전기전자(-1.33%), 의약품(-1.14%), 철강금속(-1.06%), 제조업(-0.86%), 비금속광물(-0.85%), 의료정밀(-0.85%), 은행(-0.79%), 기계(-0.55%), 운수장비(-0.54%), 종이목재(-0.51%), 금융업(-0.49%), 건설업(-0.34%) 등이 하락. 반면, 섬유의복(+3.23%), 통신업(+0.99%), 음식료업(+0.83%), 전기가스업(+0.66%), 화학(+0.39%)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739.85P(-17.80P/-0.65%)

 

반응형

 

 


 

- 코스닥시장 -

4/1 KOSDAQ 940.57(-0.42%) 인플레이션 우려(-), 러-우크라 협상 불확실성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인플레이션 우려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에 큰 폭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40.49(-4.04P, -0.43%)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워 936.86(-7.67P, -0.8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축소해 941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오후 장중 942.22(-2.31P, -0.24%)에서 고점을 형성했고, 장 막판 낙폭을 다소 키워 940.57(-3.96P, -0.42%)로 장을 마감.

인플레이션 및 경기 둔화 우려 지속, 러-우크라 협상 불확실성 지속, 中 상하이 봉쇄 연장 소식 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외국인과 기관은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개인 순매수 속 위드 코로나 기대감 등에 화장품, 엔터 등 리오프닝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낙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169억, 490억 순매도, 개인은 1,719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에코프로(-3.15%), 위메이드(-2.80%), 동진쎄미켐(-2.80%), 리노공업(-2.38%), 씨젠(-1.96%), 에코프로비엠(-1.86%), 셀트리온헬스케어(-1.69%), LX세미콘(-1.31%), 셀트리온제약(-0.92%) 등이 하락. 반면, 에스엠(+5.27%), JYP Ent.(+2.44%), CJ ENM(+1.83%), 펄어비스(+1.81%), 카카오게임즈(+0.89%), 엘앤에프(+0.66%), 스튜디오드래곤(+0.22%), HLB(+0.16%), 천보(+0.09%)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종이/목재(-1.78%), 반도체(-1.65%), 비금속(-1.50%), 출판/매체복제(-1.14%), 음식료/담배(-1.14%), 통신장비(-1.00%), 일반전기전자(-1.00%), 인터넷(-0.93%), 기계/장비(-0.91%), IT H/W(-0.87%), 기타서비스(-0.80%), 제약(-0.77%), 유통(-0.70%)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오락/문화(+1.96%), 의료/정밀 기기(+1.33%), 방송서비스(+1.20%), 통신방송서비스(+0.92%), 운송장비/부품(+0.38%), 정보기기(+0.34%)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940.57P(-3.96P/-0.42%)

 


테마시황

 

▷위드 코로나기대감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 면세점, 카지노,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육계, 패션/의류 등 테마 상승. 항공/여행 테마는 美 역대 최대비축유 방출 예정 소식에 국제유가 급락 소식도 호재로 작용.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기대감에 화장품 테마 상승.

▷러시아-우크라 평화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에 사료/비료/농업 테마 상승.

▷北 핵실험 재개 우려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인수위, 원전 생태계 복원 필요 업무보고 소식 등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이 외에 자전거, 도시가스, 캐릭터상품, 통신, 골프,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드론,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의료기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영향 속 반도체 관련주 하락.

▷테슬라 中 상하이 공장 생산 재개 연기 및 美 전기차 업체 주가 부진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하락.

▷위드 코로나 기대감 속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일부 재택근무/스마트워크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하락.

▷구리가격 전고점 근접 속 전일 상승했던 전선/비철금속 테마 하락.

▷이 외에 해운, 전자결제(전자화폐),철도, 철강 주요종목, 종합 물류, 해운, MLCC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리오프닝 관련주

위드 코로나 기대감 등에 상승

▷정부는 오는 4일부터 2주 동안 사적모임 제한 인원을 현행 8명에서 10명으로 늘리며,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오후 11시에서 자정까지 1시간 연장할 예정. 일각에서는 2주 후인 18일부터는 사실상 거리두기 폐지가 될 것이라는 관측 속 이번에 확정한 거리두기 조정안이 마지막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음. 앞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공약으로 영업시간 24시간보장, 방역패스 완전철폐를 제시했으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영업시간을 밤 11시로 제한하는 현행 방침에 대해 사실상 폐지를 건의한 바 있음. 김부겸 국무총리는 "향후 2주간 위중증과 사망을 줄여나가면서 의료 체계가 안정적으로 관리된다면, 남아있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조치를 과감하게 개편하겠다"고 밝힘.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美 역대 최대 비축유 방출 예정 소식에 급락.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7.54달러(-6.99%) 하락한 100.28달러에 거래 마감. 이와 관련, 바이든 대통령은 전일(현지시간) 유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향후 6개월간 하루 100만 배럴의 비축유를 방출하기로 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제주항공, 진에어, 대한항공, 레드캡투어, 노랑풍선 등 항공/여행 테마, 토니모리, 파라다이스 등 면세점/카지노 테마 및 TJ미디어, 알비더블유, 에스엠, 하이브,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엔터테인먼트, 마니커, 하림 등 육계 테마 등이 상승. 반면, 디엔에이링크, 셀리드, SK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오로직스 등 코로나19 관련주들은 하락.


화장품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기대감에 상승

▷금일 정부는 오는 4일부터 2주 동안 사적모임 제한 인원을 현행 8명에서 10명으로 늘리며,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은 오후 11시에서 자정까지 1시간 연장할 예정이라고 발표. 이어 2주간 코로나19 유행이 확연히 감소세로 전환하고, 위중증 환자와 의료체계가 안정적인 수준을 보인다면, '실내 마스크 착용' 등 핵심수칙을 제외한 영업시간, 사적모임, 대규모 행사 등 모든 조치 해제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에 따라, 이번 거리두기 개정안을 마지막으로 '야외(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잇츠한불, 리더스코스메틱, 토니모리, 컬러레이, 에이블씨엔씨, 한국화장품제조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사료/비료/농업 등

러시아-우크라 평화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에 상승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 간 평화 협상이 오는 1일 온라인 형식으로 재개될 것으로 알려졌지만,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모습.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내 군사 활동 축소 입장을 밝힌 가운데에도 여전히 수도 키이우(키예프) 등에 대한 공격이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미 국방부 고위 당국자는 키이우와 북부 체르니히우, 하르키우 남쪽 이지윰, 돈바스 지역 등 4곳에 러시아 공습이 집중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키이우를 에워쌌던 러시아군의 20%가 다른 곳으로 이동했지만, 이는 철수가 아닌 재배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외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군 헬기가 접경지역에 있는 러시아 석유 저장시설에미사일 공격을 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개전 이후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본토를 공격한 것은 이번이 처음임. 아울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곡물가격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곡물 저장고도 공격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한편, 미국 정부는 31일(현지시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러시아의 항공, 해운 및 전자 분야 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를 발표함. 재무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러시아 최대 반도체 생산업체인 미크론을 포함해 초소형전자부품 최대 수출업체 등 21개 기업과 관계자 13명을 새로운 제재 명단에포함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선진, 사조동아원, CJ제일제당, 롯데정밀화학, 남해화학, TYM 등 사료/비료/농업 테마가 상승. 아울러,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대성홀딩스, 중앙에너비스 등 도시가스, LPG 테마도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北 핵실험 재개 우려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31일 5명의 美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최근 지하 핵 실험장 건설 활동과 터널 굴착을 재개했다며, 상업용 위성사진에서도 풍계리 핵실험장 지표면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고 보도. 이에 美 정부는 추가 도발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으며, 북한이 도발할 경우 국제사회의 추가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음.

▷이와 관련, 기산텔레콤, 쌍용정보통신, 한일단조, 빅텍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일부 원자력발전

인수위, 원전 생태계 복원 필요 업무보고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윤석열 당선인이 참석한 가운데, 원자력발전 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한 지원 방안과 규제 완화 매커니즘 등을 논의했다고 밝힘. 인수위원회 경제2분과는 원전 비중을 적정 수준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원전 산업 생태계 복원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자재 선발주를 통한 조기 일감 창출과 맞춤형 연구개발(R&D) 지원 강화, 범정부 수출지원단 운영을 통한 원전 수출 지원 강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고 밝힘.

▷또한, 차기 윤석열 정부는 한국과 미국, 프랑스 3파전 양상인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자력발전소(원전) 사업 수주를 위해 ‘드림팀’을 띄울 것으로 예상되며, 중소 원전 기자재 기업 대책도 당장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체코 정부와 체코전력공사는 앞선 3월17일(현지시간) 두코바니 원전 1기 추가를 위한 본입찰을 개시했으며, 올 11월엔 입찰서 접수를 마쳐야 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한신기계, 한국전력 등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영향 속 하락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유가 급락에도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러-우크라 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에 큰 폭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약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9.62(-2.27%) 하락한 3,429.00을 기록. AMD(-8.29%), 인텔(-3.64%), ASML(-2.43%), TSMC(-2.31%) 등이 하락.

▷바클레이즈(Barclays)는 반도체 업체인 AMD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하향하고, 목표주가도 148달러에서 115달러로 하향. 이는 전일 종가(119.22달러)보다 3.5% 낮은 수준임. 이와 관련, 바클레이즈는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 추세와 유행성 폐쇄로 인한 게임·PC 시장에 대한 위험을 보고 있다"며 "1인당·가구당 PC 수가 증가해야 한다는 주장을이해하지만 추세가 이러한 수준에서 시장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분석.

▷한편,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반도체 냉각수의일종인 쿨런트 전세계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3M 벨기에 공장이 환경 규제로 무기한 가동 중단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짐. 쿨런트는 반도체제조공정에 필수적인 물질로 다른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이상 1~3개월 후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등 주요 반도체 기업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기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DB하이텍, SK하이닉스, 마이크로컨텍솔, 유진테크, 에스에프에이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2차전지/전기차

테슬라 中 상하이 공장 생산 재개 연기 및 美 전기차 업체주가 부진 등에 하락

▷외신에 따르면, 코로나19 봉쇄로 가동이 중단됐던 테슬라 中 상하이공장 재가동이 취소된 것으로 알려짐.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2단계 폐쇄조치를 단행하면서 재차 가동 일정이 미뤄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테슬라 상하이 공장은 모델3와 모델Y를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해 테슬라 글로벌 판매량의 절반이 넘는 48만 여대를 생산한 핵심 시설임.

▷지난밤 美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및 러-우크라이나 협상 불확실성 지속 등으로 하락한 가운데, 테슬라(-1.50%), 루시드 그룹(-4.15%), 리비안(-3.40%) 등 美 주요 전기차기업들도 동반 하락.

▷이와 관련, 금일 후성, 신흥에스이씨,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 씨아이에스, 코스모화학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 마감.


쌍방울 그룹주 쌍방울그룹, 쌍용차 인수 타진 소식에 급등
▷최근 에디슨모터스(전 쎄미시스코)의 쌍용차 인수합병(M&A)이 무산된 가운데, 쌍방울 그룹에 따르면 특장차 제조회사 광림을 중심으로 쌍용차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쌍방울그룹 관계자는 “내부에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인수작업을 준비했다”며 “이르면 다음주 중 매각주간사인 EY한영에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할 것”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한국거래소는 광림에 쌍용차 인수보도 관련 사실 여부 및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했음.
▷한편, 쌍방울그룹은 작년 이스타항공 인수를 추진했지만 성정에 밀려 고배를 마신 바 있어 이스타항공 인수때 마련했던 자금과 다양한 금융기법을 활용해 쌍용차를 인수한다는 계획으로 전해짐.
▷이 같은소식에 광림과 쌍방울이 동반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계열사인 나노스도 상한가, 비비안은 급등세를 기록. 아울러 특수관계사인 아이오케이,미래산업도 급등세를 보임. 또한, KH 그룹이 쌍용차 인수 컨소시엄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에 KH 필룩스, KH E&T, KH 일렉트론, KH E&T, 장원테크 등 KH 그룹주들과, 광림과 차세대 특장차 개발 업무협약(MOU)를 맺은 바 있는 이엔플러스도 시장에서 부각.
▷반면, SM그룹 쌍용차 인수 기대감 등에 최근 급등세를 보였던 남선알미늄은 급락세를 보임.
[종목] : 비비안, 광림, 쌍방울, 나노스
미래아이앤지
(007120)

450원
(+7.91%)
NH농협은행과 9.42억원 규모 SUMMIT시스템 유지보수 계약 체결에 강세
▷NH농협은행과 9.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07%) 규모 공급계약(SUMMIT시스템 유지보수) 체결(계약기간:2022-04-01~2023-03-31) 공시.
F&F
(383220)

780,000원
(+4.70%)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대신증권은 전일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532억원, 1,323억원(분할 전 기준, 매출액 yoy +59%, 영업이익 yoy +89%)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3월 중국 심천, 상해 등 주요 동시 봉쇄가 계속되고 있으나, 출하 시점에 매출이 인식되는 중국 수출 매출 특성상 도시 봉쇄 영향은 1-2분기에 나뉘어 반영되는데다 1분기 영향 자체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아울러 중국 정부 예고대로 4월 5일 상해 봉쇄조치가 해제될 경우 주가는 1분기 호실적을 반영하며 빠르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00,000원[유지]
롯데정밀화학
(004000)

82,800원
(+4.55%)
1분기 사상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전 사업부문의 실적 개선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87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47.4% 증가하며, 전 분기에 이어 창사 최대 분기 실적을 재차 경신할 것으로 전망.
▷케미칼부문염소계열의 주요 제품인 ECH/가성소다는 실적 호조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케미칼부문 암모니아 계열도 전분기대비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그린소재부문도 판가 인상과 더불어 수출주에 우호적인 환율 효과가 지속되면서 견고한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국내 가성소다 수요는 작년 128만톤에서 2025년 160만톤으로 연평균 5% 이상 성장할 전망이며, 세계 클로르알카리 수급 또한 2017년까지 타이트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7,000원[유지]
화성산업
(002460)

21,250원
(+3.16%)
542.70억원 규모 복현시영아파트 소규모재건축사업 수주에 상승
▷복현시영아파트 소규모재건축사업조합과 542.7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9%) 규모 공급계약(복현시영아파트 소규모재건축사업) 체결 공시.
CJ제일제당
(097950)

379,500원
(+2.71%)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 매출액은 6조7,055억원(+9% yoy, -4% qoq), 영업이익은 4,129억원(+7% yoy, +75% qoq)으로 종전 영업이익 추정치 3,762억원, 컨센서스 영업이익 3,806억원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2월 이후 이어진 장류, 신선식품류, 국탕찌개류, 냉동식품류, 가공햄, 가공밥류의 가격 인상을 반영해 국내 가공식품의 2021년 대비 2022년 매출액 성장률 추정치를 +5%에서 +8%로, 국제 곡물 가격 급등 영향으로 연중 계약단가 조정이 예상되어 소재식품 매출액 성장률 추정치를 +5%에서 +12%으로 상향 조정하여 전체 식품 매출액 성장률 추정치를 +8%에서 +11%로 상향 조정했다고 밝힘.
▷아울러 대두박 가격 강세 영향으로 사료용 아미노산의 견조한 수요가 올해에도 지속될 전망이며, 국제 곡물 가격 상승 영향에 따른 사료 판가 상승을 가정하여 전체 바이오의 2021년 대비 2022년 매출액 성장률 추정치를 +1%에서 +9%로 상향 조정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50,000원[유지]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153,000원
(-2.55%)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속 소폭 하락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830억원(-26% y-y), 영업이익은 318억원(-41% y-y)으로 보수적으로 전망. 이는 바이오 릴라이언스 등 노바백스 백신의 품질보증(QA) 업무를 하고 있는 외주 기업의 일정지연 때문으로 기존 1분기 추정 매출 1,511억원 대비 차액 680억원 가량은 전부 2분기에 인식될 것으로 전망. 다만, 올해 매출액은 1조3,109억원, 영업이익은 5,723억원으로 기존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한편, 목표주가 하향 이유에 대해 무위험수익률 가정이 기존 1.5%에서2.0%로 상향(리스크 프리미엄은 동일)되어 자기자본비용이 8.2%로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60,000원 → 235,000원[하향]
한샘
(009240)

81,700원
(-4.11%)
1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 전망 등에 하락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5,310억원(-4.0%, YoY), 영업이익은 155억원(-38.4%, YoY)으로 시장 예상치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계절적 비수기와 맞물려 2021년 하반기부터 이어지고 있는 주택매매거래 감소, 원재료(PB, MDF 등) 가격 상승, 매출 부진에 따른 고정비 부담 확대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12,000원[유지]
▷한편,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오는 4일부터 침대·소파 책장 등 가구 품목가격을 전체적으로 4% 올린다고 밝힘.

대신밸런스제8호스팩
(336570)

4,580원
(+29.93%)
합병 대상 원텍, 상장예비심사 승인 속 거래재개 첫날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합병 대상 업체 원텍이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공시. 이에 지난해 10월14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해 10월의료기기 제조업을 영위하는 원텍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키로 결정한 바 있음.
이수앱지스
(086890)

8,230원
(+21.93%)
알츠하이머 신약 'ISU203' 독점적 실시권 확보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혁신 신약(First in Class)으로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 신약 'ISU203'의 원활한 개발과 라이센싱을 위해 공동개발자 경북대와 전용실시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와경북대 의학과 배재성교수, 수의학과 진희경교수 연구팀은 'ISU203'을 공동으로 개발해 왔고, 이에 따라 특허권 지분 역시 양측이 각각 50%씩 소유하고 있지만, 동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ASM 항체 기반 알츠하이머 신약 기술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게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시장은 근본적 치료 약물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미충족 수요가 높은 분야여서, 작년 학회 발표 이후시장의 많은 관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ISU203'의 임상 진입 시간을 단축하고자, 작년 11월 글로벌 CDMO 전문 회사인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Genscript Probio)와 위탁 연구 개발 계약을 체결해 현재 세포주 개발 및 공정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고 밝힘.
제일제강
(023440)

2,560원
(+8.47%)
반도체 냉각수 최대 공장 생산중단 소식 속 그래핀을 이용한 산업 공정용 냉각수 개발 추진 사실 부각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반도체 냉각수의 일종인 쿨런트의 전 세계 생산량 80%를 차지하는 3M 벨기에 공장이 환경 규제로 무기한 가동 중단에들어간 것으로 알려짐. 쿨런트는 반도체 제조공정에 필수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쿨런트의 생산 부족으로 인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등 주요 기업들의 반도체 생산라인이 3개월 안에 멈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그래핀을 이용한 산업 공정용냉각수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지투파워
(388050)

35,250원
(+7.47%)
신규 상장 첫날 강세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6,400원을 상회한 32,8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강세로 마감함. 한편, 동사는 EMS(에너지관리시스템)의 일종인 CMD(상태감시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등의 제조 및 설치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수배전반,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PCS), ESS 등이 있음. 특히, 수배전반 매출 비중이 높으며, 크게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전동기 제어반, 내진형 배전반 등이 있음.
데브시스터즈
(194480)

67,100원
(+7.02%)
마진율 개선 전망 및 신작 모멘텀 등에 강세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마케팅비 및 인건비 감소에 따른 마진율 개선이 전망되는 가운데, 1분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776억원(-26.4% YoY), 215억원(-8.8%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OP 마진은 27.7%로 2021년의 15.3% 대비 약 12%p 개선이 전망된다고 밝힘.
▷아울러 4월 중순 신작 쇼케이스와 5월 중 시작될 쿠키런: 킹덤의 유럽 마케팅이 단기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쇼케이스를 통해 신작 출시 일정 공개 및 미공개 신작 정보 공개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4,000원 → 93,000원[상향]
가온미디어
(078890)

13,900원
(+5.70%)
올해 50억 자사주 취득 계획 등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계획 발표에 상승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3개년 주주환원정책 계획 공시. 동사는 올해 연간 5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취득할 예정이며, 2023년~2024년에는 전년도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20%~30% 수준에서 자기주식을 취득할 계획이라고 밝힘. 또한, 현금배당은 2022~2024 사업연도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20% 수준 이상에서 배당총액을 결정할 계획으로 주식배당은 2022~2024 사업연도 주식배당률 2~5% 수준에서 배당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언급.
마이더스AI
(222810)

1,655원
(+5.41%)
美 자회사, 60억원 규모 카나비스(마리화나) 생산 전문 기업 지분 취득 결정에 상승
▷자회사 MIM USA,Inc., 지분추가 확보를 통한 경영안정성 확보 및 카나비스(대마)관련 사업 확대목적으로 Melrose Facility Management, LLC 출자증권을 60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100.00%, 취득예정일:2022-04-01)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현지 카나비스(마리화나) 생산 전문 기업인 Melrose Facility Management, LLC의 카나비스 재배시설 및 추출시설의 증축을 진행해 생산능력(CAPA)을 대폭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자회사 MIM USA,Inc., 60억원(자기자본대비 13.22%) 규모 동사 전환사채권 처분 결정(처분예정일:2022-04-01) 공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88330)

13,150원
(+3.54%)
올해 기업 가치 재평가 기대감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022년에 기업 가치 재평가 포인트가다수 포진돼있다고 분석. 특히, BBT-176 임상 데이터와 BBT-877 임상 속행 가능성 확인뿐만 아니라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BBT-401의 하반기중간 발표와 연내 임상 2a상 종료도 예상되어 있다고 밝힘. 아울러 우수한 사업개발 역량을 보유한만큼 파트너십 체결 가능성도 유효하다고설명.
▷여기에 EGFR 이중 돌연변이 저해제 BBT-207과 신규 도입한 특발성 폐섬유증 물질 BBT-301도 연말까지 IND 신청 예정이며, IND 승인을 받게 된다면 임상 진입 파이프라인을 최대 5개 보유하게돼 기업 체급이 한 단계 성장할 것으로 전망.
박셀바이오
(323990)

46,800원
(+2.86%)
반려견 전용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 개발 참여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반려동물 전주기 산업화 기술 개발 사업의 신규 과제에 선정돼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고 밝힘. 이번 사업은 반려동물 맞춤형 의약품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것으로, 반려견의 악성종양에 대한 CAR-NK 세포치료제 및 개 항-TIGIT 차단항체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총 사업비 30억원 규모로 4년에 걸쳐 진행되며, 공주대학교가 주관기관(책임자 김상기 교수)으로, 경상국립대학교,성균관대학교(삼성서울병원), 동사 등이 공동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짐.
파세코
(037070)

19,000원
(+2.15%)
3월 창문형 에어컨 판매량, 전년동기대비 4배 급증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달 창문형 에어컨이 전년동기대비 4배 이상 팔렸다고 밝힘. 이는 올해도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여름이 오기 전 제품을 미리 구비해 두려는 소비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동사의 관계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되는 창문형 에어컨 원조 브랜드라는소비자들의 강한 신뢰에 힘입어 올해에도 큰 사랑을 받고 있는 것에 감사 드린다"며 "작년과 같은 물량 부족 대란을 겪지 않고 성수기 원활한 물량 공급을 위해 1월부터 듀얼인버터와 싱글인버터 라인업을 먼저 생산 개시했다"고 밝힘.
우리기술투자
(041190)

9,550원
(+2.14%)
두나무 지분 일부 매각 추진 속 주주환원 정책 활용 기대감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그동안 보유해 온 두나무 지분 중 일부 매각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달 중 보유 지분 중 최대 6,000억원 상당의 지분을 국내외 프라이빗에쿼티(PE)에 매각해 현금화하고, 해당 재원을 주주환원 정책에 활용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지난 30일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동사는 "두나무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며, "실현손익을 자사주 매입, 주주배당 등 주주환원정책에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한편, 우리기술투자는 지난 2015년 두나무 주식 256만5,00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두나무 기업가치를 13조원~20조원대로 가정할 경우 동사의 두나무 지분가치는 1조500억원~1조5,000억원대로 추정되고 있음.
메디포스트
(078160)

22,950원
(+2.00%)
美 FDA, 무릎골관절염 치료제 'SMUP-IA-01' 국내 1상 인정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FDA로부터 주사형 무릎골관절염 치료제 SMUP-IA-01의 국내 임상 1상 데이터를 인정 받아, 1상을 생략하고 바로 2상 진행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미국 FDA와의 Pre-IND 미팅 결과, 동종줄기세포치료제임에도 불구하고 2상 진행이 가능해짐에 따라 임상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게 됐으며, 미국에서 임상 2상을 생략하고 3상 추진이 가능하게 된 카티스템에 이은 두 번째 쾌거라고 설명.
▷아울러 일본에서도 코로나19로 잠정 중단됐던 O자형 다리교정술(HTO)을 병행하는 카티스템 임상 2상을 재개했을 뿐만 아니라, 카티스템을 단독 시술하는임상 3상도 개시하면서 일본시장 진출도 본격화 됐다고 밝힘.
넥스턴바이오
(089140)

4,195원
(-2.89%)
총 14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속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산타클로스 투자목적 컨소시엄(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등 대상 3,655,351주(13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830원, 상장예정:2022-06-21) 공시.
▷아울러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제이피투자조합 대상 260,756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835원, 상장예정:2022-04-28) 공시.
시티랩스
(139050)

787원
(-5.29%)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사유 추가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사유 추가 공시.
▷한편,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와 70.2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18%) 규모 공급계약(2022년~2023년 서울청 국도 ITS운영관리 용역) 체결(계약기간:2022-04-01~2023-12-31) 공시.
신영스팩5호
(323280)

2,480원
(-6.42%)
태성과 상장예비심사 승인 속 거래재개 첫날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태성과의 상장예비심사결과 통지(승인) 공시. 이에 지난 1월14일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 1월 PCB 제조장비의 개발, 제조및 판매업체인 ㈜태성을 흡수합병키로 결정한 바 있음.
아이진
(185490)

10,400원
(-9.17%)
관리종목지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사외이사수 미달에 따른 관리종목지정 공시.
▷한편, 동사는 전일홈페이지 공지문을 통해 "이번 관리종목 지정 사유는 지난해 대규모 유상증자로 인해 일시적 자산총계가 증가한 상황에서, 사외이사가 이사총 수의 4분의 1 이상에 미치지 못해 발생했다"고 밝힘. 이어 "사외이사를 선임하게 되면 해소일 다음날 즉시 관리종목 해제가 가능한 사안" 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에 임시주총을 개최해 사외이사를 선임할 것"이라고 밝힘.
휴젤
(145020)

120,700원
(-13.23%)
메디톡스, 균주 및 제조공정 도용 관련 美 ITC 제소 소식에 급락
▷메디톡스는 언론을 통해 휴젤이 자사 균주및 제조공정을 도용했다며 휴젤·휴젤아메리카·크로마파마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소했다고 밝힘.
▷메디톡스는 "휴젤이 자사보툴리눔 균주와 제조공정 등 영업비밀을 도용해 보툴리눔 톡신 제제를 개발 및 생산했으며, 해당 의약품을 미국에 수출하려 한다"고 언급하며, "ITC가 휴젤의 불법 행위 조사에 착수해야 하며, 해당 보툴리눔 톡신 제품에 대한 수입금지 명령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음. 또한, 이미 미국으로 수입된 휴젤 제품에 대해서도 판매금지 명령, 마케팅 및 광고의 중지를 요청했다고 밝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