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테마 스케쥴

2022.03.30(수), 한미일 합참의장, 하와이 회동 예정(현지시간), 삼성전자"언박스&디스커버" 개최 예정, 넷마블, 프로야구 2022 출시 예정, 서울커피 엑스포 개최 예정

by goodpoint77777 2022. 3. 29.
728x90
반응형

수요일-3월-30일

 

 

3월 30일 수요일


1. 美) 4분기 GDP 확정치(현지시간)


2. 美) 3월 ADP취업자 변동(현지시간)


3.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한미일 합참의장, 하와이 회동 예정(현지시간)


7. 삼성전자, "언박스&디스커버" 개최 예정


8. 제주항공, 부산~사이판 노선 운항 재개


9. 넷마블, 프로야구 2022 출시 예정


10. 서울커피 엑스포 개최 예정


11. 韓-美, 반도체 산업 공급망 강화 및 산업·통상 협력 논의


12. 산업부, 수소·전기차, 친환경 분야 등에 사업재편계획 승인 예정


13. 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14. 선진뷰티사이언스 추가상장(무상증자)

  • 동사는 1988년 6월 설립되었으며, 화장품 원료와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나노기술, 캡슐화/복합화기술 등 폭넓은 분야의 광범위한 기술을 바탕으로 마이크로 비드, 자외선차단소재, 스킨케어소재를 생산하고 있음.
  • 2019년 6월 장항산업단지에 제2공장을 완공하여 FDA로부터 NAI(무결점) 등급으로 패스하였으며, 이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 소재 공장으로는 아시아에서 일본을 제외하고 첫 번째 FDA 승인 사례임.


15. 경남제약 추가상장(유상증자)


16. 유앤아이 추가상장(유상증자)


17. 한국비엔씨 추가상장(유상증자)


18. 대한전선 추가상장(유상증자)



19. 지더블유바이텍 추가상장(CB전환)


20.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21. 롯데관광개발 추가상장(CB전환)


22. 애니플러스 추가상장(CB전환)


23. 조광ILI 추가상장(CB전환)



24. 이엠앤아이 보호예수 해제



25.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6.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7. 유로존) 3월 경기체감지수(현지시간)


28. 독일)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현지시간)


29. 독일) 2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30. 영국) 벤 브로드벤트(BOE) 부총재 연설(현지시간)


31. 日) 2월 소매판매(예비치)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3월 30일 수요일


1. 美) 4분기 GDP 확정치(현지시간)
2. 美) 3월 ADP취업자 변동(현지시간)
3.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한미일 합참의장, 하와이 회동 예정(현지시간)
7. 삼성전자, "언박스&디스커버" 개최 예정
8. 제주항공, 부산~사이판 노선 운항 재개
9. 넷마블, 프로야구 2022 출시 예정
10. 서울커피 엑스포 개최 예정
11. 韓-美, 반도체 산업 공급망 강화 및 산업·통상 협력 논의
12. 산업부, 수소·전기차, 친환경 분야 등에 사업재편계획 승인 예정
13. 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14. 선진뷰티사이언스 추가상장(무상증자)
15. 경남제약 추가상장(유상증자)
16. 유앤아이 추가상장(유상증자)
17. 한국비엔씨 추가상장(유상증자)
18. 대한전선 추가상장(유상증자)
19. 지더블유바이텍 추가상장(CB전환)
20.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21. 롯데관광개발 추가상장(CB전환)
22. 애니플러스 추가상장(CB전환)
23. 조광ILI 추가상장(CB전환)
24. 이엠앤아이 보호예수 해제
25.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6.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7. 유로존) 3월 경기체감지수(현지시간)
28. 독일)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비치(현지시간)
29. 독일) 2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30. 영국) 벤 브로드벤트(BOE) 부총재 연설(현지시간)
31. 日) 2월 소매판매(예비치)

 

 

 



- 코스피시장 -

3/29 KOSPI 2,741.07(+0.42%) 러-우크라 협상 기대감(+), 유가 하락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유가 하락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745.62(+16.06P, +0.59%)로 상승 출발. 장초반 상승폭을 키워 2,754.18(+24.62P, +0.9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축소하는 모습. 오전중 2,74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고, 오후 들어 2,733.22(+3.66P, +0.13%)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다소 확대한지수는 결국 2,740선을 회복하며 2,741.07(+11.51P, +0.42%)로 장을 마감.

러시아-우크라이나간 평화 협상 기대감이 커진 데다 유가하락 속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부 완화되며 나스닥지수를 비롯해 美 3대 지수가 상승한 점이 국내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다만, 中 상하이 봉쇄 우려 등에 중국 증시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며 상승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

29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간 5차 회담을 앞두고 러시아가 더 이상 휴전 협상에서 우크라이나의 탈나치화를 요구하지 않을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며 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주요 외신에 따르면, 양국은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을 포기하는 대신 유럽연합(EU)에 가입하는 방향으로 러시아와 휴전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휴전 문서초안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주요 명분이었던 '비무장화'와 '탈나치화', 러시아가 협상 과정에서 요구해왔던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사용을 위한 법적인 보장 등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짐.

최근 급등세를 보이던 국제 유가가 급락세를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 밤사이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7.94달러(-6.97%) 급락한 105.96달러에 거래 마감. 中 상하이 봉쇄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 전망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등이 국제 유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

한편,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34만7,554명(국내 34만7,513명, 해외유입 41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1,215명, 사망자는 237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하락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은 상승하는 등 대부분상승.

수급별로는 기관이 3,272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832억, 84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2,202계약, 509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1,837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5원 하락한 1,219.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4.7bp 하락한 2.700%,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9bp 하락한 2.972%를 기록.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삼성SDI(+1.69%), SK하이닉스(+1.69%), 셀트리온(+1.49%), 삼성물산(+1.35%), 현대차(+1.15%), LG에너지솔루션(+1.03%), 현대모비스(+0.95%), NAVER(+0.75%), 삼성전자(+0.72%), 삼성바이오로직스(+0.61%), 기아(+0.56%), 신한지주(+0.49%), 카카오(+0.48%) 등이상승. 반면, KB금융(-0.98%), 카카오뱅크(-0.50%), SK이노베이션(-0.24%), POSCO홀딩스(-0.17%) 등은 하락. LG화학, LG전자는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다소 우세. 비금속광물(+2.36%), 전기전자(+0.82%), 제조업(+0.55%), 화학(+0.53%), 운수창고(+0.50%), 서비스업(+0.50%), 유통업(+0.49%), 의약품(+0.47%), 증권(+0.36%), 금융업(+0.33%) 등이 상승. 반면, 전기가스업(-2.74%), 건설업(-2.70%), 기계(-2.03%), 섬유의복(-0.74%), 통신업(-0.39%), 보험(-0.31%), 은행(-0.25%), 철강금속(-0.21%)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741.07P(+11.51P/+0.42%)

반응형

- 코스닥시장 -

3/29 KOSDAQ 937.83(+1.16%) 러-우크라 협상 기대감(+), 유가 급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러-우크라 협상 기대감 및 유가 하락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32.86(+5.75P, +0.62%)으로 상승 출발. 장초반 930.34(+3.23P, +0.35%)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키우는 모습. 935선 부근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던 지수는 장 후반 상승폭을 더욱 키워 결국 장중 고점인 937.83(+10.72P, +1.16%)으로 장을 마감.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국제 유가 급락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등에 나스닥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이 투자 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밤사이 테슬라가 급등세를 보이면서 시총 상위 2차전지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28억, 847억 순매수, 개인은 2,029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 10위권 종목들은 일제히 상승. 천보(+6.01%), 엘앤에프(+5.05%), 에코프로비엠(+2.40%) 등 2차전지관련주들이 강세를 나타냈고, 카카오게임즈(+4.84%), 셀트리온헬스케어(+1.87%), 셀트리온제약(+1.44%), HLB(+0.84%), 펄어비스(+0.50%), 위메이드(+0.40%), CJ ENM(+0.31%) 등이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제약(+2.52%), 종이/목재(+2.03%)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비금속(+1.88%), 일반전기전자(+1.82%), 인터넷(+1.79%), IT 부품(+1.58%), 화학(+1.53%), 컴퓨터서비스(+1.50%), 소프트웨어(+1.44%), 음식료/담배(+1.43%), 통신장비(+1.43%), IT S/W & SVC(+1.42%), 기타서비스(+1.40%), 유통(+1.36%), 디지털컨텐츠(+1.36%), 제조(+1.28%)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건설(-1.24%), 금속(-1.23%), 운송(-0.76%), 기타 제조(-0.22%) 등 일부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37.83P(+10.72P/+1.16%)


테마시황

 

▷정부, 산업용대마 재배단지 조성 검토 소식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美 하원, '디지털 달러' 발행안 발의 소식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2분기 중국 외부 변수 해소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시멘트 수급 대란 우려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美 전기차 업체 테슬라 주가 강세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신정부 출범 속 규제 환경 양호 전망 등에 통신장비/5G 테마 상승.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 코스피 상장예비심사 청구 소식에 일부 마켓컬리 관련주 상승.

▷비트코인 가격 상승 영향 등에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 지속 등에 페인트,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 상승.

▷尹 당선인, 인수위 간사단 회의 "저출산·인구절벽·양극화 해법 강구" 관련 발언 속 출산장려정책 테마 상승.

▷이 외에 자동차 대표주, 줄기세포, 항공/저가 항공사, 전자결제(전자화폐), 탈모 치료 관련주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현지시간으로 29일 러시아-우크라이나 5차 평화협상을 앞두고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사료, 비료, 농업, 비철금속 테마 하락.

▷건자재 가격 급등 속 건설경기 회복 제약 우려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하락.

▷이 외에 항공기부품,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우주항공산업, 도시가스, 강관업체, 전력설비, 조선, 철강 주요종목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마리화나(대마)정부, 산업용 대마 재배단지 조성 검토 소식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산업용(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하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대규모 재배 단지 조성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짐. 이는 환각 물질이 적은 산업용 대마를 마약류관리법에서 분리해 산업화하겠다는 구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관계 부처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산업용 대마 생산 전 주기 안전 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추진하고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전 관리 제도가 완비되면 규제를 완화하고 신속한 상용화를 위해 대규모 시설 재배 단지 조성을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마이더스AI, 우리바이오, 넥스트BT, 화일약품, 아이큐어, 노터스, EDGC 등 마리화나(대마) 테마가 상승.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美 하원, '디지털 달러' 발행안 발의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미국 하원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아닌 다른 형태의 디지털 달러에 대한 법안을 발의한 것으로 전해짐. 28일(미국시간) 스티븐 린치(매사추세츠) 하원의원은 '전자화폐 및 보안 하드웨어 법안(ECASH)'을 발의했으며,다른 민주당 의원인 추이 가르시아(일리노이), 라시다 탈리브(미시간), 아이아나 프레슬리(매사추세츠), 알마 아담스(노스캐롤라이나)도 이번 법안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짐. 이번 법안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새로운 디지털 달러를 개념증명(PoC)을 거친 뒤 대중에게 파일럿 테스트를진행하며, 이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를 갖춰야 함.

▷스티븐 린치 의원은 "재무부의 디지털 달러 파일럿 테스트는현재 조 바이든 대통령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구상하는 CBDC 설계를 보완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한네트, 케이씨티, 케이씨에스 등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가 상승.


화장품2분기 중국 외부 변수 해소 기대감 등에 상승

▷전일 유안타증권은 화장품 업종에 대해 코로나19 확산에도 국내 수요는 개선되고 있으나, 중국과 관련한외부 변수가 기업의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힘. 다만, 실적 약세 우려를 주가는 현재 반영하고 있다며, 중국의 6.18 쇼핑 페스티벌을 대비한 면세 수요가 5월 전후로 나타나며 2분기를 전환점으로 중국의 외부 변수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

▷특히, 상반기의 경우 상대적으로 영업 상황이 견고한 ODM 업체들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하반기에는 브랜드 업체들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 토니모리, 잇츠한불,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시멘트/레미콘시멘트 수급 대란 우려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연탄 가격이 폭등하면서 시멘트 대란이 현실화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28일 기준 시멘트 재고량은 65만 톤으로 장기 보관으로 시멘트가 굳어 판매할 수 없는 재고를제외하면 사실상 재고량은 35만 톤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음. 특히, 봄 건설 성수기 때 전국 하루 출고량이 20만 톤인 점을 감안할 시, 이틀 물량도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고려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성신양회, 홈센타홀딩스 등 시멘트/레미콘 테마가 상승.


2차전지/전기차

美 전기차 업체 테슬라 주가 강세 등에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간 협상 기대감 및 국제유가가 하락 등으로 지난밤 美 증시가 상승한 가운데, 美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 주가가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테슬라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8.03% 급등한 1,091.84달러로 거래를 마감. 이와 관련, 테슬라는 전일(현지시간) 공개된 美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주식 배당의 형태로 주식분할을 할 수 있게 발행 주식 수 증가를 승인해달라고 주주들에게 요청하겠다”고 밝힘. 다만, 주식분할을 언제 어떤 비율로 할 지 같은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는 않았음.

▷대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 강화 및 미국 EV 시장 개화로 미국 현지에 가장 공격적으로 투자 중인 LG에너지솔루션의 최대 수혜가 예상된다며, 내년 매출액 25.4조원(YoY+30%), 영업이익 1.9조원(YoY+6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한편, 경기 하락 국면에서 기대수익률이 낮아진 경기민감주(가치주)보다 성장주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 러-우크라 전쟁에 따른 니켈 가격 급등세가 멈춘 점도 시장에서 부각.

▷이 같은 소식에 엘앤에프, 천보,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통신장비/5G(5세대 이동통신)

신정부 출범 속 규제 환경 양호 전망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보고서를 통해 통신서비스 업종의 4월 투자매력도를 '매우 높음'으로 유지한다고 밝힘. 이미 5G/6G를 기반으로 한 4차산업 육성을 주장한 바 있고 정권 성격상 인위적 통신요금 인하를 권고할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에 신정부에서도 통신산업 육성 정책이 나올 수 밖에 없어 규제 환경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고, KT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이 통신주 동반상승을 이끌 것으로 전망.

▷또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사실상 통신주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이고 신정부 출범으로 요금 인하 우려가 소멸될 것으로 보여 통신주 Multiple 정상화가 예상되며, 마케팅비용이 예상보다 적게 집행되고 있어 1분기 실적 시즌을 맞이하여 통신사 실적이 양호하게 발표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망사용대가가 접속료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어 향후 IoT에서 통신사 사업기회가 커질 전망.

▷한편, SK텔레콤은 전일 언론을 통해 델 테크놀로지스(델)와 함께 5G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플랫폼을 출시한다고 밝힘. 양사는 5G MEC 플랫폼을 글로벌 통신사나 5G 전용망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해외 기업, 공공기관 등에 공급할 예정으로 고객사가 5G MEC 플랫폼을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컨설팅, 인프라 구축, 유지보수 서비스 등 종합적인 솔루션까지 제공한다는 목표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에치에프알, 텔레필드, 오이솔루션, 에이스테크, 이노와이어리스 등 통신장비 및 5G(5세대 이동통신) 테마가 상승.


마켓컬리 관련주마켓컬리 운영사 컬리, 코스피 상장예비심사 청구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식품 전문 이커머스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가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컬리는 지난해 10월 기업공개(IPO) 대표 주관사에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JP모간을 선정하고 상장을 준비해왔으며, 당초 올해 상반기에 상장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김슬아 대표의 낮은 지분율로 인한 경영권 불안 우려를 해소해야 한다고 한국거래소가 요구하면서 상장 준비가 예정보다 길어진 것으로 알려짐.

▷기업이 상장 예심을 청구한 후 실제 상장하기까지 평균 4개월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컬리는 올해 하반기에 코스피시장 입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태경케미컬, 지어소프트, SK네트웍스 등 일부 마켓컬리 관련주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비트코인 가격 상승 영향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글로벌 암호화폐 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금일 한때 4만8,000달러를 돌파하는등 상승세를 보였으며, 오후 4시경 4만7,500달러를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5,720만원 부근에서 거래중.

▷최근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 상승은 러시아가 종전을 준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지정학적 긴장감이 완화된 데다 ‘테라’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회사가 비트코인을 대량 매집한 영향으로 해석되고 있음. 골드만삭스는 현지시간으로 21일 월스트리트 대형 은행 중에서 처음으로 비트코인 가격에 연동된 파생상품인 '비트코인 차액결제옵션' 거래를 시작했음.

▷이 같은 소식에 인바이오젠, 다날, 갤럭시아머니트리 등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한편, 갤럭시아머니트리는 지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동사의 대표이사로 역임한 바 있는 고진 회장이 이번주 인선을 마치고 정식 출범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TF 팀장에 임명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사료/비료

러시아-우크라이나 5차 평화협상을 앞두고 하락

▷현지시간 29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의 협상단이 터키에서 5차 평화협상을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시장에서는 협상 기대감이 부각되는 모습. 외신에 따르면 양국은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을 포기하는 대신 유럽연합(EU)에 가입하는 방향으로 러시아와의 휴전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다만, 러시아는 현재 우크라이나와의 협상에 진전이 없다며,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담 계획은 아직 없다고 밝힘.

▷이러한 소식 속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애드바이오텍, 한일사료 등 사료, 누보, 효성오앤비 등 비료 테마가 하락.

 

 


만도
(204320)

49,450원
(+8.56%)
1분기 호실적 전망 및 주요 고객사 생산량 회복 기대감 등에 강세
▷다올투자증권(구 KTB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실적은 부품업체 중 가장 차별화된 실적이 예상된다며, 매출액은 1.65조원(YoY +10%), 영업이익은 657억원(YoY -8.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인 570억원을 약 15%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한국, 미국, 중국에 집중된 Mix의 매출 구조, 글로벌 EV업체에 대한 높은 매출 집중도 때문이라고 분석.
▷또한, 주요 고객사인 현대·기아차와 글로벌 전기차(EV)업체의 1분기 생산량회복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글로벌 팬데믹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도 불구하고 주력 고객사인 현대·기아·글로벌EV업체의 생산 회복세가 뚜렷하다며, 동사의 동반 외형성장이 기대된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 → STRONG BUY[상향], 목표주가 : 66,000원 → 70,000원[상향]
한진칼
(180640)

63,100원
(+6.23%)
호반건설, 2대주주 등극 예정 소식 등에 강세
▷전일 호반건설은 KCGI가 보유한 동사 지분 13.97%(940만주)를취득키로 결정했다고 공시(예정일자:2022-04-04). 단순투자 목적으로 거래가 마무리되면 콜옵션을 포함해 동사 지분 17.43%를 확보하게 되며, 호반건설은 동사의 2대주주로 등극할 예정.
▷업계에 따르면, 호반건설이 반도건설 등 기존 연합군과 연합할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호반건설이 지분인수 배경을 단순투자 목적이라고 공시했고 경영분쟁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인 것으로 알려짐.
에스엘
(005850)

24,700원
(+5.56%)
주가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현재 주가가 저평가 상태라고 분석. 이와 관련, 연초 이후 주가가 25% 하락하면서 현재 P/E 7배, P/B 0.7배까지 반영해 왔고, 고객사들의 생산 회복 시 동사의 물량 효과와 함께 믹스개선 효과(고가 차종 및 전기차)를 기대할 수 있어 회복의 강도가 쎌 것으로 분석. 이에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관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임.
▷한편, 주요 고객사들의 생산부진과 전년 동기의 높은 기저 등의 영향으로 1분기 매출액/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39% 감소한 7,326 억원/349억원(영업이익률 4.8%, -2.9%p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8,000원 → 32,000원[하향]
남성
(004270)

3,020원
(+4.14%)
감사의견 '적정' 감사보고서 제출 속 상승
▷금일 감사의견 '적정'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오리온
(271560)

88,400원
(+3.88%)
1~2월 과자매출 증가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1~2월 꼬북칩, 촉촉한초코칩, 카스타드 등의 대용량 규격 제품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60% 이상 성장했다고 밝힘. 특히, 꼬북칩, 오!감자, 썬 등 대용량 지퍼백 스낵은 지난해에만 100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올해 1~2월은 전년동기대비 62% 성장했으며, 카스타드 30개입과 촉촉한초코칩 28개입 등 대용량 제품은 1~2월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각각 50%, 38%씩 대폭 늘어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며 대용량 과자를 계획적으로 구매해저장해두고 먹는 수요가 대폭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기존 인기 제품들을 중심으로 대용량 제품을 확대해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힘.
삼성에스디에스
(018260)

135,500원
(+2.65%)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3.92조원(+27.9% YoY), 영업이익은 2,407억원(+10.9% YoY)을 기록하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11%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IT서비스 부문 마진 회복과물류 사업 호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현재 동사의 밸류에이션은 올해 예상실적 기준 PER 14배에 불과한 박스권 하단의 주가 수준이라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00,000원[유지]
SK
(034730)

246,500원
(+2.49%)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 정책 발표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이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안내 공시. 2025년까지 기업가치 목표 및 투자전문회사로서의 역할 감안, 주주환원정책 강화로 경상 배당수입의 30% 이상 기본배당, 매년 시가총액의 1% 이상 자사주 매입(~25년) 등을 추진한다고 밝힘.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실적 정상화 및 비상장 자회사의 가치 현실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동사의 지난해 연결실적은 매출액 98조3,250억원(전년대비 +21.7%), 영업이익 4조9,356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했다며,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 흑자전환과 주요 자회사 이익증가로 실적이 정상화됐다고 밝힘. 올해에도 첨단소재, 바이오 사업과 주요 자회사실적 개선세가 이어지며 연결기준 전년대비 매출액 18.2%, 영업이익 20.6% 증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3년 상장이 예정된 SK팜테코는 올해 Pre IPO를 통해 지분가치가 현실화될 전망이며, SK에코플랜트도 2023년 상장을 준비 중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65,000원[유지]
한국전력
(015760)

22,550원
(-2.80%)
2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동결에 소폭 하락
▷동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4~6월 연료비 조정단가를 0원/kWh(킬로와트시)로 확정했다고 공지했음. 이는 동사는 2분기 연료비 조정단가를 33.8원/kWh으로 산정하고, 분기별 조정상한을 적용해 3.0원/kWh으로 지난16일 정부에 제출한 바 있지만, 정부가 전일 2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적용 유보 의견을 통보한 데 따른 것임.
▷이와 관련, 동사는 국제 연료 가격 상승 영향으로 2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조정요인이 발생했으나 코로나19 장기화와 높은 물가상승률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할 필요성과 지난해 12월에 확정돼 오는 4월부터 적용되는 2022년 기준연료비 및 기후환경 요금 인상분을 고려한 것이라고 밝힘.

 



룽투코리아(060240)
6,700원(+29.84%)

자회사 타이곤모바일, 열혈강호 글로벌 사전예약자 300만명 돌파 소식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타이곤모바일이 서비스 예정인 '열혈강호 글로벌'의 사전예약자가 3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힘. 앞서 '열혈강호 글로벌' 사전예약자 수는 지난 24일 100만명을 돌파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사전예약 3주라는 단기간에 사전예약자 300만 명을 돌파한 것은 게임업계에서도 이례적인 일이라 매우 놀랍다"며, "5년 넘게 국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오며 큰 인기를 모아온 '열혈강호'를 활용해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에서도 인기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힘.


제이앤티씨(204270)
6,860원(+10.82%)

차량용 커버글라스 사업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차량용 커버글라스의 신규 수주 성공과 매출 확대 등 자동차 커버글라스 사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밝힘. 자동차용 커버글라스 사업은 2020년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 전기차용 초대형 커버글라스 제조 판매를 시작으로 본격화됐으며, 2021년 미국 럭셔리 전기차 브랜드의 1개 차종을 추가 수주했고, 최근 최고급스포츠카 브랜드 차량에 공급될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를 신규 수주함에 따라 현재 총 3개 차종에 대한 수주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세계 최초로 초대형 차량용 곡면 커버글라스를 성공적으로 양산한 기술력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선두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한다"며, "차량용 커버글라스 사업은 수주 시 약 5~10년간 장기간 공급이 확정되므로 안정적인 매출 기반 및 수익성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밝힘.


EDGC(245620)
4,600원(+10.44%)

美 조달시장 첫 수출 소식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미국 조달시장의 문을 연 YTS GLOBAL GROUP으로부터 미국 보훈처(VA FSS)에 공급 할 수 있는 PO(Purchase Order : 구매발주서)를 공식 접수했다고 밝힘. 미 연방 조달청 PO는 엄격한 검증 요건 및 VA FSS(VA Federal Supply Schedule Service)의 구매 절차를 통과해야 받을 수 있는 세계 최대 시장의 공식적 진입을의미하며, 구매자와 판매자가 서로 합의한 품목,수량,가격 등의 내용을 서면으로 확인하는 계약서로 통용 되는 것으로 알려짐.
▷미국 조달청은 연간 1,000조원대 세계 최대 바이어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최대 10년 이상의 장기 거래를 보장받는다는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동사는 향후 5년에서 10년 동안의 Medical Device(TENS)의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저주파자극기 1,000만개, 6억달러(한화 약 7,344억원)이상의 매출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정부, 산업용 대마 재배단지 조성 검토 소식 속 캐나다 업체를통한 대마초 신규사업 추진 사실 부각도 동사에 긍정적으로 작용.


디와이디(219550)
2,900원(+10.27%)

20억원 규모 주식회사 아이디엔디 전환사채권 취득 결정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20억원(자기자본대비 11.68%) 규모 주식회사 아이디엔디 전환사채권 취득 결정(취득예정일:2022-03-28) 공시.


고바이오랩(348150)
19,950원(+8.72%)

100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강세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이마트 대상 544,960주(1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8,350원, 상장예정:2022-04-20) 공시.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337930)
8,580원(+8.20%)

골프브랜드 마이컬러이즈 인수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골프의류 브랜드 '마이컬러이즈'를 인수한다고 밝힘. 마이컬러이즈는 제이앤제이 인터내셔널 컴퍼니에서 전개하는 프렌치 스타일의 골프웨어 브랜드임.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인도어를 넘어 아웃도어 스포츠 라인까지 본격 확장하는 모멘텀이 될 것이며, 브랜드 가치 제고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젝시믹스 브랜드력과 마이컬러이즈가 쌓아왔던 골프웨어 관련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 대표 골프브랜드로 키우겠다"고 밝힘.


버킷스튜디오(066410)
4,890원(+7.83%)

최대주주, 유상증자 참여를 통한 지분율 확대 등에 강세

▷전일 동사는 유상증자결정 정정 공시를 통해 이니셜1호투자조합과 더블유디제이1호조합이 400억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다고 밝힘. 유상증자를 통해 이니셜1호조합 등 최대주주 지분율은 44.70%에서 53.22%로 증가할 예정.
▷아울러 강지연 대표는 전일 전자공시를 통해 동사와 인바이오젠 주식을 각각 2만1770주, 3만4000주씩 총 2억원 규모를 취득했다고 밝힘. 강지연 대표는 언론을 통해 "이번 장내 매수는 당사 주가가 저평가 돼있다는 판단에 따라 기업가치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단행했다"며, "현재 추진하고 있는 신규 사업의 확장과 더불어 메타버스·NFT 관련 4차산업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힘.
▷이에 금일 동사의 주가가 강세를 보였으며, 자회사 인바이오젠의 주가도 상승세를 기록.


뷰웍스(100120)
41,500원(+5.06%)

올해 고성장 전망 등에 상승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9년 사업을 시작한 Dynamic Detector(동영상 디텍터: 치과용 X-ray에 사용) 부문에서 고정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2022년에도 15~20% 수준의 성장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이는 글로벌 덴탈산업의 성장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며, 동사뿐만 아니라 치과용 X-ray 디텍터의 기업의 전반적인 성장흐름이 진행되고 있어 안정성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2022년에는 유럽 등의 지역으로 고객선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추가적인 성장모멘텀도 기대된다고 전망.
▷아울러 산업용 디텍터(NDT: 오일 or 가스 파이프라인 검사, 폭발물 검사 등, 방산업체 등이 고객)에 대한 기대감도 높으며, 2022년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확장(현재 2개 라인업 보유에서 2개정도 더 추가될 계획, 공항용 보안 검색대 신규 추진 등)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에도성장흐름이 기대된다고 전망.


에이비엘바이오(298380)
27,000원(+4.85%)

이중항체 항암제 ABL001 제1b상 임상시험 결과 성공 발표에 상승

▷동사는 공시를 통해 이중항체 항암제 ABL001의 제1b상 임상시험 결과, 모든 ABL001+Irinotecan군, ABL001+Paclitaxel군에서 DLT가 발생한 시험대상자는 없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대표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1b상에서 ABL001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담도암 및 췌장암 환자 대상유효성을 확인하게 돼 고무적”이라며 “향후 미충족 수요가 높은 담도암 및 췌장암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공고히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


바이젠셀(308080)
29,250원(+4.84%)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호주 현지법인 설립 소식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호주 현지법인인 'ViGenCell Australia Pty Ltd.' 설립과 함께 해외시장진출에 나선다고 밝힘. 이와 관련, 호주는 임상 인프라가 잘 갖춰져 신속하게 임상진입을 할수 있고, 향후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의 허가를 받을 때에도 임상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
▷한편, 동사는 호주 법인 설립을 통해 동사의 범용치료제 플랫폼인 바이메디어와 바이레인저의 글로벌 임상 및 라이선스아웃에 주력하고, 호주법인 설립 후 4분기에 해외임상 시험계획(IND)을 신청하고 향후 임상계획을 단계별로 밟아가며 글로벌 기술수출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짐.


카카오게임즈(293490)
80,200원(+4.84%)

오딘, 대만 흥행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지난 28일 오후 대만 앱스토어에서 동사의 '오딘: 신반'(奥丁: 神叛)이 인기 순위 1위에 오른 것으로 전해짐. 정식 출시 전에 진행한 사전 다운로드만으로 인기 순위 최정상 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글로벌 진출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음. 한편, 대만 현지에서 오딘은 게이머들의 '최대 기대작'으로 꼽히고 있으며, 지난 1월 오딘의 '타이베이 국제 게임쇼' 참여에 이어 2월 말, 비공개 테스트(CBT)를 진행하며 현지 기대감을 키운 바 있음.


쿠콘(294570)
55,700원(+4.50%)

마이데이터 사업 수혜에 따른 올해 실적 호조 기대감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717억원(+16.7% YoY), 영업이익은 207억원(+23.1% YoY)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이와 관련, 삼성카드, 우리카드, BNK, KB저축은행 등이 동사의마이데이터 솔루션을 도입했고, 마이데이터 사업자 허가를 받지 못한 금융회사나 서비스 인력 구축이 어려운 업체들은 동사와의 업무 협력이증가할 수밖에 없어 지속적인 수혜가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주요 투자포인트로는 국내 독보적인 데이터 수집 능력으로 데이터서비스 부문에선 마땅한 경쟁자가 없고, SaaS 산업 특성상 높은 영업레버리지 효과가 가능하며, 영업이익률은 2019년 15.1% → 2020년 21.9% → 2021년 27.4%로 가파른 상승을 보이고 있는 점이라고 언급.


바이오에프디엔씨(251120)
19,200원(+3.23%)

와이바이오로직스와 식물세포 기반 항체 활용 신약 연구 협력 소식에 상승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언론을 통해동사와 연구개발 상호교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와이바이오로직스의 항체 기술과 동사의 식물세포기반 항체 기술을 활용한 항체 신약 개발 연구, PD-(L)1의 식물세포 기반 플랫폼 기술 적용 생산 및 개발사업화 등 분야에서 협업할 예정이라고 언급.


비즈니스온(138580)
12,350원(+2.92%)

1분기 분기 최고 실적 경신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적시 적소에 지속적인 M&A를 통해 성장을 추진함에 따라 지난해(연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335억원, 90억원으로 전년대비 81.9%, 64.2% 증가하며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넛지파트너즈를 인수로 스마트빌 매출은 2020년 114억원에서 작년 42.5% 증가한 162억원으로 증가했고, ㈜플랜잇파트너스 인수를 통해 빅데이터 사업 매출은 2020년 54억원에서 2021년에 158.0% 증가한 140억원까지 성장했다고 분석. 또한, ㈜글로싸인을 통해 전자계약 관련 매출도 2020년 10억원에서 2021년 23억원으로 138.0% 증가했다고 밝힘.
▷아울러 2022년 1분기 예상실적(연결기준)은 매출액 97억원, 영업이익 2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액 12.5%, 영업이익은 21.7% 증가하며 분기 최고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특히, 시프티 인수를 통해 스마트빌 매출이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예상.


네오이뮨텍(950220)
7,340원(+2.80%)

넥타 테라퓨틱스 임상 실패, NT-I7 개발과 연관 없다는 소식 등에 소폭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동종업계 경쟁기업인 넥타 테라퓨틱스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밝힘. 넥타의 Bempeg의 실패 원인으로는 Keytruda 단독으로 잘 조절되는 melanoma 1차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한 점, 독성 이슈로 0.006mpk 용량에서 추가 증량이 어려운 부분(R2PD=MTD), Treg이 증가하고 Teff가 사멸됨으로써 약효가 감소된 것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분석.
▷반면, 동사는 4월8~13일(현지시간) 개최되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에서 'NT-I7'과 새로운 병용 물질의 전임상 연구 초록 2건을 포스터로 발표할 예정으로 동사의 NT-I7은 IL-7에 HyFc 적용했고 IL-7의 경우, IL-2과 달리 안전성이 높고 Treg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며, 올해 발표될 주요 임상시험 결과에 따라 큰 폭의 성장을 이루게 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날 주가 급락의 원인으로 넥타의 임상 실패가 지목되는 것에 대해 ”IL-7과 IL-2는 T세포에 미치는영향 및 지속기간에서 차이가 있다”며 관련 우려는 지나친 해석이라고 밝힘. 또한, “종양반응적 T세포의 부재를 넥타의 인터루킨2(IL-2) 임상 실패에 대한 원인으로 보기 어렵고, IL-2의 실패를 IL-7의 개발과 연관짓기에는 더욱 무리가 있다"고 설명.


제노포커스(187420)
6,320원(+2.43%)

자회사 지에프퍼멘텍, 지난해 실적 호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지에프퍼멘텍이 지난해 매출액 161억원, 영업이익 37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힘. 전년 대비 매출액은 160%, 영업이익은 315% 증가한 것이며, 동사의 미생물 개량 기술과 생산최적화 기술을 접목하여 2019년 흑자전환 후 성장 중이라고 설명. 특히, 실적에서 주목할 점은 미생물 기반의 화장품 소재 단일 품목만으로 매출액 100억원을 초과 달성했다는 점이며, 지에프퍼멘텍에서 생산하는 파이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은 피부 표피에서 세라마이드와 함께 피부세포의 성장 증식, 피부 항상성 유지 등 피부 건강을 조절하며 아토피 같은 만성염증을 동반하는 피부질환에 효과적이고, 항균작용이 탁월해 코스메슈티컬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고 밝힘.

 


CBI(013720)
2,680원(-5.13%)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철회 2건)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