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테마 스케쥴

2022.04.07(목), 신규상장(키움스팩6호), 포스코강판 상호변경(포스코스틸리온), 케이티비네트워크 상호변경(다올인베스트먼트), 대원제약 추가상장(무상증자)

by goodpoint77777 2022. 4. 7.
728x90
반응형

목요일-주식-이슈

 

 

4월 7일 목요일


1. 삼성전자 1분기 잠정실적 발표 예정


2. LG전자 1분기 잠정실적 발표 예정


3.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국민연금, 주주대표소송 관련 논의 재개 예정


6.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평택 험프리스 주한미군 기지 방문 예정


7. 테슬라, 기가 텍사스 준공식 개최 예정(현지시간)


8. 2021년 자금순환(잠정)


9. KDI 경제동향


10.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11. 키움스팩6호 신규상장 예정

시장구분   코스닥 종목코드   413600
업종   금융 지원 서비스업
대표자   신가형 기업구분   중소일반
총공모주식수   3,200,000 주 액면가   100 원
상장공모   신주모집 : 3,200,000 주 (100%) 
희망공모가액   2,000 ~ 2,000 원 청약경쟁률   526.12:1 (비례 1052:1)
확정공모가   2,000 원 공모금액   6,400 (백만원)
주간사   키움증권 주식수: 800,000~960,000 주   /   청약한도: 52,000~64,000 주
수요예측일   2022.03.23  ~   2022.03.24
공모청약일   2022.03.28  ~   2022.03.29
배정공고일(신문)   2022.03.31 (주간사 홈페이지 참조)
납입일   2022.03.31
환불일   2022.03.31
상장일   2022.04.07


12. 포스코강판 상호변경(포스코스틸리온)

  • 동사는 1988년 2월 15일에 설립됐으며, 2002년 8월 16일에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 동사는 국내에 도금공장 2개 라인, 컬러공장 4개 라인, 해외에 도금공장 1개 라인, 컬러공장 1개 라인으로 총 8개의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음.
  • 2010년 1월부로 연구전담조직을 신설함. 포스코 및 RIST 와의 산학협동으로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하고 있음.


13. 케이티비네트워크 상호변경(다올인베스트먼트)

 



14. 대원제약 추가상장(무상증자)



15. 하이소닉 추가상장(유상증자)



16. 조광ILI 추가상장(CB전환)


17. 클리오 추가상장(CB 전환)



18. 노랑풍선 추가상장(CB전환/BW행사)



19. 시티랩스 보호예수 해제


20. 원준 보호예수 해제



21. 美) 2월 소비자신용지수(현지시간)


22.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3.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의사록(현지시간)


24. 독일) 2월 산업생산(현지시간)


25. 영국) 3월 할리팩스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26. 中) 3월 외환보유액


27. 日) 2월 경기동향지수(예비치)


28. 日) 3월 외환보유액



* 야구 일정
18시30분
한화 VS KIA <광주>
LG VS 키움 <고척>
롯데 VS NC <창원>
SSG VS KT <수원>
삼성 VS 두산 <잠실>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4월 7일 목요일


1. 삼성전자 1분기 잠정실적 발표 예정
2. LG전자 1분기 잠정실적 발표 예정
3.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국민연금, 주주대표소송 관련 논의 재개 예정
6.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평택 험프리스 주한미군 기지 방문 예정
7. 테슬라, 기가 텍사스 준공식 개최 예정(현지시간)
8. 2021년 자금순환(잠정)
9. KDI 경제동향
10.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11. 키움스팩6호 신규상장 예정
12. 포스코강판 상호변경(포스코스틸리온)
13. 케이티비네트워크 상호변경(다올인베스트먼트)
14. 대원제약 추가상장(무상증자)
15. 하이소닉 추가상장(유상증자)
16. 조광ILI 추가상장(CB전환)
17. 클리오 추가상장(CB 전환)
18. 노랑풍선 추가상장(CB전환/BW행사)
19. 시티랩스 보호예수 해제
20. 원준 보호예수 해제
21. 美) 2월 소비자신용지수(현지시간)
22.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3.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의사록(현지시간)
24. 독일) 2월 산업생산(현지시간)
25. 영국) 3월 할리팩스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26. 中) 3월 외환보유액
27. 日) 2월 경기동향지수(예비치)
28. 日) 3월 외환보유액

* 야구 일정
18시30분
한화 VS KIA <광주>
LG VS 키움 <고척>
롯데 VS NC <창원>
SSG VS KT <수원>
삼성 VS 두산 <잠실>


 


 

- 코스피시장 -

4/6 KOSPI 2,735.03(-0.88%) Fed 이사 매파적 발언(-), 美 국채금리 급등 및 美 증시 하락(-),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브레이너드 이사 매파적 발언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739.07(-20.13P, -0.73%)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747.85(-11.35P, -0.4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낙폭을 확대. 오후 들어 2,730.66(-28.54P, -1.03%)에서 장중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다소 줄이기도 했으나 결국 2,735.03(-24.17P, -0.88%)에서 거래를 마감.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매파적 발언에 美 국채금리가 급등했고, 美 3대 지수가 동반 하락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 EU의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 검토 등 서방의 러시아추가 제재 가능성 및 中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상해 봉쇄 조치 지속 등도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했고, 외국인이 선물시장에서 7천 계약 넘는 순매도를 보인 영향 등에 코스피지수는 사흘만에 하락 마감.

Fed 부의장 지명자인 브레이너드 이사는 연설을 통해 이르면 5월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양적 긴축에 나설 수 있다고 밝힘.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가 Fed의 "가장 중요한 임무"라며, 이르면 5월 회의에서 대차대조표를 빠른 속도로 축소하기 시작하고 금리를 연속으로 인상하면서 통화정책 긴축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언급. 아울러, 2017년부터 2년간 진행된 대차대조표 축소 시기 대비 Fed의 포트폴리오를 훨씬 더 빠르게 줄여나갈 것이라며, 월 상한선은 훨씬 더 커지고 시기는 더 짧아질 것이라고 발언.

이와 관련, 지난밤 美 국채금리가 급등했음. 특히,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한때 2.56%를 기록하며 2019년 5월 이후 최고를 기록. 에스더 조지 캔사스시티 연은총재는 5월 FOMC에서 50bp 금리 인상 논의를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았음.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은 76.6%를 기록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28만6,294명을 기록. 이는 전주 대비 13만8,000여명 가량 감소한 수치임. 위중증과 사망자는 1,128명, 371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홍콩, 대만이 하락했고, 중국이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871 억, 5,650억 순매도, 개인은 1조1,37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7,168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2,609계약, 4,647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6원 상승한 1,218.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6.2bp 상승한 2.941%, 10년물은 전일 대비 4.9bp 상승한 3.12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9틱 내린 105.43 마감. 은행과 외국인이 각각 4,242계약, 2,339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6,506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5틱 내린 115.75 마감. 금융투자가 2,979계약 순매도, 외국인은2,585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NAVER(-3.65%), SK하이닉스(-3.00%), LG전자(-2.98%), 카카오뱅크(-2.91%), SK이노베이션(-2.55%), 카카오(-2.33%), LG화학(-1.85%), 셀트리온(-1.75%), POSCO홀딩스(-1.55%) 등이 하락. 반면, 기아(+3.52%), 신한지주(+0.99%), 현대차(+0.56%), SK(+0.40%) 등은 상승.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서비스(-1.92%), 은행(-1.80%), 섬유/의복(-1.43%), 화학(-1.35%), 전기/전자(-1.31%), 제조(-0.94%), 증권(-0.93%), 의약품(-0.91%), 종이/목재(-0.88%), 유통(-0.81%), 전기가스(-0.81%), 기계(-0.75%) 등이 하락. 반면, 보험(+2.28%), 운수장비(+0.77%), 통신(+0.49%), 철강/금속(+0.21%)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735.03P(-24.17P/-0.88%)

반응형

 

 


- 코스닥시장 -

4/6 KOSDAQ 943.13(-0.98%) Fed 이사 매파적 발언(-), 美 국채금리 급등 및 美 증시 하락(-),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브레이너드 이사 매파적 발언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44.27(-8.20P, -0.86%)로 하락 출발. 장 초반 947.41(-5.06P, -0.5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키웠음. 오후 들어 939.82(-12.65P, -1.33%)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낙폭을 다소 줄였고, 결국 943.13(-9.34P, -0.98%)에서 거래를 마감.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매파적 발언에 美 국채금리가 급등했고, 美 3대 지수가 동반 하락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 美 나스닥지수는 지난밤 2% 넘게 급락 마감. 서방의 러시아 추가 제재 가능성 및 中코로나19 재확산 소식 등도 코스닥지수에 하락 요인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닥지수는 사흘만에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36억, 1,817억 순매도, 개인은 2,984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알테오젠(-6.74%), LX세미콘(-4.69%), 셀트리온제약(-3.43%), 셀트리온헬스케어(-3.26%), HLB(-3.08%), 리노공업(-3.05%), 씨젠(-2.46%), CJ ENM(-2.41%), 동진쎄미켐(-2.25%) 등이 하락. 반면, 에코프로비엠(+2.15%), 위메이드(+1.99%), JYP Ent.(+0.97%)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통신장비(-2.08%), 반도체(-2.04%), 방송서비스(-1.71%), 유통(-1.65%), 비금속(-1.63%), 소프트웨어(-1.59%), 인터넷(-1.52%), IT H/W(-1.52%), 통신방송서비스(-1.44%), 기타서비스(-1.40%) 등이 하락. 반면, 종이/목재(+0.71%), 음식료/담배(+0.53%), 일반전기전자(+0.49%)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943.13P(-9.34P/-0.98%)


 

테마 시황  
▷브레이너드美 연준 부의장 지명자 매파적 발언 속 美 국채금리 급등 및 4월 금통위 금리 인상 가능성 부각 등에 손해보험, 생명보험, 은행 등 금융 테마 상승.

▷P2E 및 NFT 연계 신작 게임 출시 기대감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국제선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 추진 소식 등에 항공, 여행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지난해 자동차 판매량, 美 빅3 추월 소식 및 주요 기업 1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상승.

▷러시아 식량 수출 감시 및 美, 러시아 추가 제재 발표 소식 등에 사료, 비료, 농업, 수산 테마 등 상승.

▷정부, 희토류 180일분 비축 계획 차질 소식 속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이 외 요소수 관련주, 폐기물처리,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남-북-러 가스관사업, 증강현실(AR), 철강 중소형, 철강 주요종목, 3D 프린터 등 일부 테마가 상승.

▷반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및 美 규제당국,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조사 착수 소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美 기술주약세 속 인터넷 대표주, IT 대표주 하락.

▷줄기세포, 보톡스, 바이오시밀러, 백신/진단시약/방역,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모더나), 코로나19(진단키트), 코로나19(화이자)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도 동반 하락.

▷이 외 증시 약세 속 증권 테마가 하락했고, SNS, 전자파, 테마파크, 폴더블폰, DMZ 평화공원, 마이크로 LED, 해저터널, 화학섬유,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아이폰, 시멘트/레미콘, 전선, 통신장비, LED장비, 마이데이터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하락.
손해보험/생명보험/은행 브레이너드 美 연준 부의장 지명자 매파적 발언 및 4월 금통위 금리 인상 전망 부각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채권금리는 브레이너드 연준 부의장 지명자 발언 등에 급등 마감. 브레이너드 지명자는 전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연속적인 금리 인상과 이르면 오는 5월에 빠른속도로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대차대조표가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축소될 것"이며, 인플레이션에 관련해서는 "필요하다면 연준이 더 강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

▷전일 韓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년여만에 4%를 기록한 가운데, 한국은행은 당분간 물가가 4%대를 나타내는 등 올해연간 소비자물가가 지난 2월 전망치(3.1%)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에 당초 한국은행이 5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지만, 이달 14일에 예정된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한편, 이달부터 보험가입자가 백내장 수술에 대해 실손보험금을 받기 위해서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 결과를 제출해야 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보험사의 위험 손해율이 개선될것으로 전망. 이는 지난해 백내장 수술로 지급된 보험금이 약 1조 원 가량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롯데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현대해상, 한화생명, 동양생명 등 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 및 우리금융지주, BNK금융지주 등 은행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P2E 및 NFT 연계 신작 게임 출시 기대감 등에상승
▷언론에 따르면, P2E(플레이투언)·NFT(대체불가능토큰) 진출을 선언한 국내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이달 중으로 자사 간판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을 대거 출시할 것으로알려짐.

▷넷마블은 P2E 신규 IP인 '골든브로스'를 한국, 중국 등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며, 테라 기반 C2X 블록체인생태계 기반을 구축 중인 컴투스는 자사 대표 IP '서머너즈 워'를 활용해 지난해 출시한 '서머너즈 워: 백년전쟁'의 신작을 출시할 예정. 또한, 네오위즈는 지난달 29일 온라인 쇼케이스를 통해 브라운더스트의 글로벌 버전인 ‘브레이브 나인’의 P2E 서버 오픈을 예고한 바 있음.

▷게임업계 관계자는 "주요 게임사가 P2E시장을 겨냥하고 있는데, 이달부터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며, "점점 해당 서비스에 뛰어드는 게임사가 늘어날 것"이라고 밝힘. 이어 "현재 국내에서는 P2E 서비스가 허용되고 있지 않은 만큼, 차기 정부의 게임 정책이어떻게 전개될지를 유심히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룽투코리아, 와이제이엠게임즈, 엠게임, 선데이토즈, 미투온, 컴투스 등 게임/모바일게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항공/여행 국제선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 추진 소식 등에 상승
▷이날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1일 개최된 코로나19 해외 유입 상황평가회의에서 연말까지 국제선 운항 규모를 2019년의 50% 수준까지 회복하는 국제선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을 추진하기로 방역 당국과 합의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국토부는 국제항공 네트워크를 총 3단계에 걸쳐 정상화 할 예정이며, 현지 방역 상황, 입국 시 격리면제 여부, 상대국 항공 정책의 개방성 등을 고려하여 빠른 여객 수요 회복이 예상되는 노선을 중심으로 항공 네트워크를 복원할 계획.

▷5~6월 1단계 계획을 시행할 예정이며, 코로나19 이전 대비 운항 규모가 8.9%로 축소된 국제선 정기편을 5월부터 매월 주 100회씩 증편할 계획.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시간당 도착 항공편 수 제한도 2년만에 10대에서 20대로 완화할 예정.

▷이 같은 소식에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모두투어, 롯데관광개발 등 여행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자동차 대표주 현대차그룹 지난해 자동차 판매량, 미국 빅3 추월 소식 등에 상승
▷최근 인터넷 자동차 전문매체 카 엑스퍼트(Car Expert)가 각각 통계를 취합해 보도한 2021년 글로벌 상위 10대 자동차 판매 기업 순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666만7,085대를 판매해 토요타(1,049만5,548대), 폭스바겐 그룹(861만100대), 르노 닛산 미쓰비시 얼라이언스(768만14대)에 이어 4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현대차그룹 다음으로는 스텔란티스(658만3,269대), GM(629만1,000대), 혼다(412만1,000대), 포드자동차(394만2,000대), 스즈키(276만3,000대), BMW(252만1,514대) 순으로 미국 자동차 산업을 대표하는 GM‧스텔란티스‧포드 등 ‘빅3’를 모두 제쳤음.

▷아울러 기아 등 주요 자동차 대표주들이 1분기 양호한 실적을 기록할것이란 전망도 긍정적으로 작용. 다올투자증권은 기아에 대해 1분기 매출액 18.3조원(전년동기대비 +10.2%), 영업이익 1조,3242억원(전년동기대비 +23.0%)을 기록해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IBK투자증권은 만도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1.56조원(+3.6% yoy), 영업이익은 585억원(-18.5% yoy)을 기록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만도, 기아, 현대차, 현대위아 등 자동차대표주가 상승세를 기록.
사료/비료/농업/수산 러시아 식량 수출 감시 및 美, 러시아 추가 제재 발표 소식 등에 상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전일(현지시간) 농업 관련 회의에서 "세계적인 식량 부족 상황에서 올해 우리는 해외 식량 공급에 신중할 필요가 있고 분명히 우리를 적대시하는 국가들로의 식량 수출은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이어 푸틴 대통령은 현재 식량 생산이 국내 수요는 완전히 충족시키고 있다면서, 정부 관리들에게 수입 대체품을늘릴 것을 주문했음. 시장에서는 현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 식량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러시아의 의도적인 수출 중단까지 가세할 경우 식량난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조 바이든 美 행정부 당국자는 "미국이 6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및 유럽연합(EU)과 협력해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발표할 것"이라며, "러시아에 막대한 비용을 부과하고 경제, 금융, 기술적으로 훨씬 더 고립시킬 것"이라고 밝힘. 러시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추가 제재가 곡물가격 인상을 부추길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한탑, 미래생명자원, 사조동아원, 누보 등 사료/비료/농업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아울러 사조오양, 동원산업 등 수산 테마도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 정부, 희토류 180일분 비축 계획 차질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자원정보서비스(KOMIS)에 따르면, 희토류 주요 품목인 산화네오디뮴 가격이 지난 1일 기준 t당 15만9,000달러로 전년 동기(9만750달러) 대비 75.2% 증가했음. 지난 2월 초 19만2,300달러까지 상승한 후 하락했지만 여전히 수요가 많아 1년 전과 비교해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이에 정부는 핵심 전략물자인 희토류의 비축 물량을 올해 최대 180일분까지 확보할 방침이었으나 원자재값 급등으로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한정된 예산에 희토류 수급을 늘리기 위해 현재 형성된 시세로는 계획한 물량을 모두 채울 수 없어 분할 확보 등 다양한 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유니온, 동국알앤에스, 유니온머티리얼 등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락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Fed 고위인사 매파적 발언 속 국채금리 급등, 러-우크라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급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5.13(-4.53%) 급락한 3,269.82를 기록. AMAT(-5.97%), 퀄컴(-5.43%), 엔비디아(-5.22%), AMD(-3.36%), 인텔(-2.17%) 등이 하락.

▷브레이너드 Fed 부의장 지명자는 전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며, "연속적인 금리 인상과 이르면 오는 5월에 빠른속도로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대차대조표가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축소될 것"이며, 인플레이션에 관련해서는 "필요하다면 연준이 더 강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 이에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보이면서 대표적 기술주인 반도체 업종에 부담으로 작용. 특히,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한때 2.56%대로 올라서며 2019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냈음.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유진테크, 하나머티리얼즈, 한미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세를 기록.
2차전지/전기차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약세 및 美 규제당국, LG에너지솔루션 전기차 배터리 조사 착수 소식에 하락
▷지난밤 美 증시가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방준비제도(Fed) 이사의 매파적 발언 속에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보이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한 가운데, 테슬라(-4.73%), 리비안(-9.33%), 루시드(-5.87%) 등 美 전기차 업체의 주가가 약세를 기록. 특히, 리비안은 전일(현지시간) 올 1분기 2,553대의 차량을 생산해 총 1,227대를 인도했다고 밝힘. 이어 공급망 제약,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코로나19 재유행, 일리노이 공장의 혹독한 겨울 날씨 등으로 올해 생산 목표를 2만5,000대로 하향 조정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인 5만대를 크게 하회한 수준임.

▷전일(현지시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 13만8,324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했다고 알려짐. 이번 조사는 제너럴모터스(GM), 메르세데스-벤츠, 현대차, 스텔란티스, 폭스바겐 등 5개 자동차 회사가 2020년부터 LG 배터리 결함 등에 따른 화재 위험을 사유로 연쇄 차량 리콜을 한 데 이은 것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LG에너지솔루션은 "리콜과 관련한 통상 절차로, 이미 美 당국의 리콜 절차와 GM 등 완성차 업체와의 합의 등을 마친 사안"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후성, 신흥에스이씨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

 


 

스킨앤스킨
(159910)

440원
(+25.00%)
최대주주 등의 자발적 의무보유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주)더편한 등 주요주주는 동사의 경영안정성과 책임경영을 위하여 보유주식에 대하여 자발적 의무보유를 결정했다고 공시. 의무보유 주식은 (주)더편한 : 121,359,223주, 한재진 : 9,200,347주, 정은영 : 7,744,400주이며, 의무보유 기간은 2022.04.05~2025.04.04(3년)임.
▷한편, 주식회사 아크가 동사와 체결한 OEM공급계약서에 따라 공급한 일회용 마스크의 공급대금을 지급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의정부지방법원에 동사에 대한 파산신청서를 제출했다고 공시.
하인크코리아
(373200)

3,100원
(+23.51%)
모바일 간편결제 사업 강화 기대감 등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지난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동사가 모바일간편결제 서비스 바로다(Baroda) 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알려짐. QR과 NFC(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접목한 '모바일 오더' 서비스를 통해 소상공인의 스마트 상점화를 도울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음.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 2월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 비오디에스링크(BODS LINK)를 인수한 데 이어, 3월29일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 컴퓨터 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서비등을 사업목적에 추가했음. 이에 동사는 스타벅스의 디지털 플라이휠(Digital Flywheel) 전략을 적용해 소상공인들의 스마트상점 시장을 노릴 계획인 것으로 전해짐.
▷한편, 바로다는 고객들이 매장에서 키오스크가 아니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주문부터 결제까지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QR코드를 이용해 바로 주문이 가능한 것이 특징임.
KG그룹주 KG그룹, 쌍용차 인수전 참여 소식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KG그룹이 최근 쌍용차 매각 주관사 EY한영회계법인에 쌍용차 인수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짐. KG그룹은 재무적투자자(FI)인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PE)와 컨소시엄을 이뤄 쌍용차 인수에 나설 계획으로 알려졌음. 한편, EY한영은 다음달 중 쌍용차 매각을 위한 재입찰을 실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이에 금일 KG케미칼, KG동부제철, KG ETS, KG모빌리언스 등 KG그룹주가 급등마감.
[종목] : KG케미칼, KG동부제철, KG모빌리언스, KG ETS
와이제이엠게임즈
(193250)

3,655원
(+12.63%)
글로벌 NFT 거래소 오픈씨 초기 투자 성공 소식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2018년 구미 크립토스(gumi Cryptos) 펀드 조합(1호)을 통해 세계 최대 NFT(대체불가토큰) 거래소 오픈씨(OpenSea)에 투자해 100배가 넘는 수익률을 낸 것으로 알려짐. 당시오픈씨의 기업가치는 1억~2억 달러 수준으로, 최근 책정된 가치는 133억 달러(약 15조원)로 전해짐. 구미 크립토스 캐피탈(Gumi Cryptos Capital, GCC)은 구미 크립토스 펀드(펀드 1호)의 수익률이 약 24.6배 났다고 공개한 바 있으며, 아직 전체 펀드가 청산되지 않은 만큼 수익률은더 올라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구미 크립토스 캐피탈이 밝힌 수익률에 따르면, 동사가 투자한 23억원은 현재까지 약 500억원의 평가 수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구미 크립토스 관련 투자는 공시된 사항이 전부”라며, “펀드사의 개별투자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고 밝힘.
아이씨케이
(068940)

3,525원
(+7.63%)
PG(결제대행) 사업 진출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셀피를 통한 IT 솔루션 사업을 위해 국내 PG사 인증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미국 파이서브(Fiserv)와 함께 쌓은 글로벌 사업 노하우를 활용해 국내 시장에서도 본격적인 탭투페이 서비스를선보이겠다"고 밝힘.
▷아울러 "세계적인 결제솔루션 기업 파이서브와의 글로벌 시장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 탭투페이 시장을 이끌 것"이라며, "보유 중인 IT 기술력과 카드사 네트워크을 활용해 신규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힘.
제일제강
(023440)

2,645원
(+6.87%)
가상자산 및 게임 NFT 기업 인수 자문단 신설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가상자산 및 게임 NFT 사업을위한 자문단을 신설하고 관련 기업의 인수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신설 예정인 자문단에는 글로벌 유명 크립토 투자사의 총괄 책임자, 스위스 크립토밸리에서 활동 중인 블록체인 전문 변호사 및 준법 감시인, 국제적 블록체인 전문 회계자문사의 파트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짐.
▷동사는 자문단의 컨설팅을 바탕으로 빠르면 이달 중 게임 NFT 관련 플랫폼 회사 인수 및 경영권 확보를 위한 투자에 나설 것으로 알려짐.
씨에스베어링
(297090)

17,250원
(+6.15%)
독일 육상풍력 설치 제한 규제 완화 기대감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현지시간 5일 독일은 부처 장관회의를 통해 육상풍력 설치를 제한하는 각종 환경과 자연보호 규제들을 현실화하는 방안에 합의한 것으로 전해짐. 독일의 육상 풍력 설치량은 전성기 시절 연 5GW 수준이었으나 규제 등으로 인해 현재 1GW대로 하락한 상태로 독일은 올해 육상풍력법을 도입할 예정이며, 2030년까지 육상풍력 시장을 연 10GW수준으로 육성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풍력발전 베어링 전문업체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이랜텍
(054210)

19,350원
(+4.88%)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2년 기존 추정(매출 9,500억, 영업이익 617억(OPM 6.5%))을 매출 1조420억, 영업이익 682억(OPM 6.5%)으로 상향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사업부별 매출 비중은 21년 케이스 54%, 충전기 및 기타 21%, 전자담배 13%, 배터리팩 11%에서 22년 예상 케이스 41%, 충전기 및 기타 13%, 전자담배 29%, 배터리팩 17%으로, 전자담배와 배터리팩이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중장기주가상승[유지], 목표주가 : 21,900원 → 24,800원[상향]
티에스아이
(277880)

12,000원
(+3.90%)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예상 매출액은 1,410억원(+109%, YoY), 영업이익은 127억원(흑자전환,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2021년 수주잔고 1,003억원에 1H22 예상되는 신규 수주물량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글로벌 팬데믹 영향으로 2차전지 투자가 지난 2년간 지연되었지만 22년부터는 지연된 물량이 본격적으로 소화되고 2차전지 업체들의 공격적인 CAPEX 투자가 새롭게 나타나며 동사의 Mixing장비/시스템 수혜가 본격화될 것으로 판단.
휴젤
(145020)

114,100원
(+2.33%)
대법원, 서울식약청 항고 기각에 따른 동사 보툴렉스 제조 판매 지속 소식에 소폭 상승
▷언론에 따르면, 대법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동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에 내린 품목허가 취소 처분에 대해 동사의 손을 들어준 것으로 알려짐. 동사는 언론을 통해 대법원이 서울고등법원의 보툴렉스주 허가취소 집행정지 결정에 불복해 서울식약청이 제기한 항고를 지난 5일 기각했으며, 보툴렉스 품목허가 취소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결정을 유지했다고 밝힘. 이로써 보툴렉스주에 대한 허가취소 처분은 동사가 서울식약청을 상대로 제기한 '품목허가취소처분등 취소' 소송의 판결 선고일로부터 30일이 되는 날까지 정지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 대법원의 판단은 식약처의 처분이 약사법 상 간접 수출에 대한 법리적 해석 차이로 발생한 문제일 뿐 동사가 제조·생산한 보툴렉스의 제품품질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것의 입증"이라며, "보툴렉스는 지난 10년간 1,500여회의 국가출하승인 과정에서 한번도 안전성, 유효성이 문제가된 적이 없는 검증된 품질의 제품"이라고 밝힘.
위메이드
(112040)

107,800원
(+1.99%)
투핸즈게임즈에 전략적 투자 및 챔피언 스트라이크 온보딩 계약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투핸즈게임즈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밝힘. 투핸즈게임즈는 온라인 골프 게임 ‘팡야’를 성공시킨 엔트리브소프트 창업자 김준영 대표와 원년 핵심 개발자들로 구성된 개발사로 전략적 투자와 함께 ‘챔피언 스트라이크’ 온보딩 계약도 맺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장현국 동사 대표는 “전세계의 다양한 블록체인은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기반으로 모두 연결될 것”이라며 “위믹스는 투핸즈게임즈와같은 뛰어난 역량을 갖춘 개발사들과 협업하며 가장 많은 이용자들이 즐기는 플랫폼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아이스크림에듀
(289010)

7,000원
(-5.41%)
박기석 사내이사, 동사 지분 매도 소식에 하락
▷동사는 전자공시를 통해 박기석(등기임원)이 동사의 주식 200,000주(-1.56%)를 장내매도했다고 밝힘.
에스엘바이오닉스
(214310)

4,425원
(-6.45%)
스튜디오산타클로스 매각 추진 보도 관련 조회공시 답변 속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조회공시((주)스튜디오산타클로스 매각 추진 보도) 답변으로 매각을 추진하고자 삼정회계법인을 자문사로 선정한 후 필요한 사전 절차를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힘.
에스피시스템스
(317830)

12,400원
(-11.74%)
최대주주 특별관계자, 동사 지분 매각 소식에 급락
▷동사는 전자공시를 통해 최대주주의 특별관계자 서연자 등이 동사의 주식 430,000주(5.28%), 주권 505,000주(6.20%)를 매각했다고 밝힘. 변동사유는 단순 처분,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임원 선임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