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5일 금요일
1. 美) 9월 소매판매(현지시간)
2. 美) 옵션만기일(현지시간)
3.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4.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시진핑,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전화 통화 예정(현지시간)
6. 중국부동산업협회, 업계 좌담회 개최 예정
7.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예정
8. 애플워치7 출시(현지시간)
9. 네이버클라우드, "게임 X 컨퍼런스" 개최 예정
10. 스튜디오산타클로스, 드라마 "마이 네임" 넷플릭스 공개 예정
11. 기재부, 10월 최근경제동향
12. 9월 자동차산업 동향
13. NH스팩21호 신규상장 예정
14. 제룡산업 추가상장(무상증자)
15. 삼부토건 추가상장(유상증자)
16. 강원 추가상장(유상증자)
17. 위지윅스튜디오 추가상장(유상증자)
18. 에어부산 추가상장(유상증자)
19. CBI 추가상장(유상증자)
20. 한라IMS 추가상장(무상증자)
21. 딥노이드 추가상장(주식전환)
22. 씨티씨바이오 추가상장(BW 행사)
23. 아이진 추가상장(BW행사)
24. 에이치앤비디자인 추가상장(CB전환)
25. 버킷스튜디오 추가상장(CB전환)
26. 엔케이맥스 추가상장(CB전환)
27. 알엔투테크놀로지 추가상장(CB전환)
28. KH 일렉트론 추가상장(CB전환)
29. 흥아해운 추가상장(CB전환)
30. 보해양조 추가상장(CB전환)
31. 코스나인 추가상장(CB전환)
32. CJ CGV 추가상장(CB전환)
33. 위즈코프 추가상장(CB전환)
34. 자연과환경 추가상장(CB전환)
35. 동아에스티 추가상장(CB전환)
36. 이엔플러스 추가상장(CB전환)
37. 엠벤처투자 추가상장(CB전환)
38. 티로보틱스 추가상장(CB전환)
39. 크리스탈지노믹스 보호예수 해제
40. 美) 8월 기업재고(현지시간)
41. 美) 9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42. 美) 10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잠정치(현지시간)
43. 美) 10월 뉴욕주 제조업지수(현지시간)
44.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45. 美) 골드만삭스 실적발표(현지시간)
46. 유로존) 8월 무역수지(현지시간)
47. 日) 8월 3차산업지수
48. 日) 8월 소매판매(수정치)
* 야구 일정
18시30분
KIA VS KT <수원>
LG VS 롯데 <사직>
NC VS 두산 <잠실>
키움 VS 삼성 <대구>
10월 15일 금요일
1. 美) 9월 소매판매(현지시간)
2. 美) 옵션만기일(현지시간)
3.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4.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시진핑,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전화 통화 예정(현지시간)
6. 중국부동산업협회, 업계 좌담회 개최 예정
7.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예정
8. 애플워치7 출시(현지시간)
9. 네이버클라우드, "게임 X 컨퍼런스" 개최 예정
10. 스튜디오산타클로스, 드라마 "마이 네임" 넷플릭스 공개 예정
11. 기재부, 10월 최근경제동향
12. 9월 자동차산업 동향
13. NH스팩21호 신규상장 예정
14. 제룡산업 추가상장(무상증자)
15. 삼부토건 추가상장(유상증자)
16. 강원 추가상장(유상증자)
17. 위지윅스튜디오 추가상장(유상증자)
18. 에어부산 추가상장(유상증자)
19. CBI 추가상장(유상증자)
20. 한라IMS 추가상장(무상증자)
21. 딥노이드 추가상장(주식전환)
22. 씨티씨바이오 추가상장(BW 행사)
23. 아이진 추가상장(BW행사)
24. 에이치앤비디자인 추가상장(CB전환)
25. 버킷스튜디오 추가상장(CB전환)
26. 엔케이맥스 추가상장(CB전환)
27. 알엔투테크놀로지 추가상장(CB전환)
28. KH 일렉트론 추가상장(CB전환)
29. 흥아해운 추가상장(CB전환)
30. 보해양조 추가상장(CB전환)
31. 코스나인 추가상장(CB전환)
32. CJ CGV 추가상장(CB전환)
33. 위즈코프 추가상장(CB전환)
34. 자연과환경 추가상장(CB전환)
35. 동아에스티 추가상장(CB전환)
36. 이엔플러스 추가상장(CB전환)
37. 엠벤처투자 추가상장(CB전환)
38. 티로보틱스 추가상장(CB전환)
39. 크리스탈지노믹스 보호예수 해제
40. 美) 8월 기업재고(현지시간)
41. 美) 9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42. 美) 10월 미시건대 소비심리 평가지수 잠정치(현지시간)
43. 美) 10월 뉴욕주 제조업지수(현지시간)
44.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45. 美) 골드만삭스 실적발표(현지시간)
46. 유로존) 8월 무역수지(현지시간)
47. 日) 8월 3차산업지수
48. 日) 8월 소매판매(수정치)
* 야구 일정
18시30분
KIA VS KT <수원>
LG VS 롯데 <사직>
NC VS 두산 <잠실>
키움 VS 삼성 <대구>
https://news.v.daum.net/v/20211013145135920
https://news.v.daum.net/v/20211014183006535
https://news.v.daum.net/v/20211014134837689
https://news.v.daum.net/v/20211014193556060
https://news.v.daum.net/v/20211014181301192
https://news.v.daum.net/v/20211014180001771
https://news.v.daum.net/v/20211014191803675
https://news.v.daum.net/v/20211014164500961
- 코스피시장 -
10/14 KOSPI 2,988.64(+1.50%) 원/달러 환율 하락(+), 기관 순매수(+), 공급망 우려 및 인플레이션 우려 다소 완화(+)
지난밤뉴욕증시가 기업실적 호조, 물가 상승세 지속 등에 혼조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968.87(+24.46P, +0.83%)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962.33(+17.92P, +0.6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중 2,980선 부근에서 움직였음. 오후 들어 상승폭을 다소 줄이기도 했으나 장 후반 상승폭을 재차 확대했고, 장 막판 2,988.97(+44.56P, +1.5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2,988.64(+44.23P, +1.50%)에서 거래를 마감.
옵션만기일을 맞은 가운데, 9월 FOMC 의사록 공개 속 금일 코스피지수는 기관 순매수,정부의 구두개입성 발언 등에 원/달러 환율 하락 등으로 이틀째 상승. 지난밤 美 증시가 실적 시즌 기대감 및 공급망 우려 일부 완화 등으로대체로 상승했고, 美 9월 CPI가 예상치를 상회했음에도 불구하고, 백악관 대변인 발언 등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된 점 등이 투자심리를 회복시켰음.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원화 약세에 대해 환율이 약간 빠른 속도로 상승한 감이 없지 않다면서 정부는 안정화 조치를 언제든지 준비하고, 필요하다면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밝힘.
젠 사키 美 백악관 대변인이 올해 2~3분기실제 물가 상승률이 둔화됐다고 언급했고, 공급망 병목현상에 대해서는 대응할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
금일 발표된 中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전년동기대비 10.7% 상승해 통계 집계 이후 25년만에 최고치를 기록. 이는 전월과 시장 전망치를모두 상회하는 수준으로 전력대란과 원자재 가격 급등 여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지난밤 공개된 9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11월 FOMC에서 테이퍼링 결정을 내릴 경우 11월 중순이나 12월 중순에 테이퍼링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 아울러, 경제 회복이 대체로 순조로울 경우 점진적으로 테이퍼링을 시작해 내년 중반께 마무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평가.
금일 0시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940명을 기록. 금일 정부는 전체 인구 대비 61.6%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고 밝힘.
홍콩이휴장한 가운데,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상승했고, 중국은 하락 마감.
수급별로는 기관이 5,029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3,937억, 1,258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134계약, 913계약 순매수, 기관은 1,941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7.0원 하락한 1,186.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1bp 하락한 1.813%, 10년물은 전일대비 5.0bp 하락한 2.35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 대비 7틱 오른 108.77 마감. 금융투자와 자산운용이 각각 2,302계약, 1,086계약 순매수, 은행과 외국인은 각각 2,265계약, 974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 대비 46틱 오른 123.00 마감. 금융투자와 은행이 각각 5,870계약, 1,978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7,886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카카오뱅크(+5.55%), LG화학(+4.95%), 카카오(+3.85%), 삼성바이오로직스(+3.62%), NAVER(+3.40%), 삼성SDI(+3.13%), 셀트리온(+3.02%), SK하이닉스(+1.96%), SK이노베이션(+1.74%), KB금융(+1.68%) 등이 상승. 반면, 크래프톤(-1.95%), 현대차(-0.95%), 삼성물산(-0.42%), 기아(-0.12%) 등은 하락. SK텔레콤은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은행(+4.14%), 섬유/의복(+3.79%), 의약품(+3.57%), 비금속광물(+3.21%), 의료정밀(+2.68%), 서비스(+2.27%), 화학(+2.12%), 제조(+1.55%), 종이/목재(+1.48%), 기계(+1.45%) 등이 상승. 반면, 전기가스(-0.29%), 통신(-0.28%)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988.64P(+44.23P/+1.50%)
- 코스닥시장 -
10/14 KOSDAQ 983.43(+3.14%) 외국인 2거래일 연속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기업실적 호조, 물가 상승세 지속 등에 혼조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60.58(+7.11P, +0.75%)로 상승 출발. 장 초반 960.52(+7.05P, +0.7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 980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장 후반으로 갈수록 재차 상승폭을 키웠고, 장 막판 983.63(+30.16P, +3.16%)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끝에 결국 983.43(+29.96P, +3.14%)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이 이틀째 순매수를 보이면서 코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큰 폭으로 상승. 美 9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 발언 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됐고, 외국인 순매수 유입 등이 증시를 끌어올렸음.
위메이드(+29.22%), 카카오게임즈(+5.19%), 펄어비스(+2.27%) 등 시총 상위 게임주들이 큰 폭으로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855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589억, 1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위메이드(+29.22%), 에이치엘비(+10.04%), 씨젠(+5.27%), 카카오게임즈(+5.19%), 알테오젠(+3.36%), 셀트리온헬스케어(+2.52%), 펄어비스(+2.27%), 셀트리온제약(+1.88%), 솔브레인(+1.64%), 리노공업(+1.48%) 등이 상승. 반면, 엘앤에프(-1.83%), 에코프로비엠(-0.93%), 동화기업(-0.52%)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상승. 디지털컨텐츠(+6.64%), IT S/W & SVC(+4.92%), 운송장비/부품(+4.76%), 제약(+4.59%), 출판/매체복제(+4.31%), 기타서비스(+3.68%), 음식료/담배(+3.54%), 소프트웨어(+3.28%), 의료/정밀기기(+3.28%), 제조(+3.26%), 반도체(+3.13%) 업종의 상승률이 두드러짐.
마감 지수 : KOSDAQ 983.43P(+29.96P/+3.14%)
'이슈 테마 스케쥴 > 이슈.테마.스케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인기(1위~10위)블로그 내에서, 2021.10.17. (순위글.인기글) (0) | 2021.10.17 |
---|---|
2021.10.18(월) 이슈 테마 스케쥴(10.16~10.18) (0) | 2021.10.16 |
2021.10.14(목)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13 |
2021.10.13(수)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12 |
2021.10.12(화) 이슈 테마 스케쥴(10.09~10.12) (0) | 2021.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