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4일 목요일
1. 美) 9월 생산자물가지수(현지시간)
2. 홍콩 증시 휴장
3. 옵션만기일
4.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6.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7.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연설 및 토론(현지시간)
8.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9.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10. 인도네시아 발리, 일부 국가 관광객 입국 허용
11. 법무부, 윤석열 전검찰총장 2개월 징계 관련 소송 1심 판결 예정
12. 경기도 버스 파업 예정
13. 넥슨 신작 블루 아카이브 사전등록 예정
14. 남양유업, 우유 제품 가격 인상 예정
15. 9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16. 9월 수출입물가지수
17. 스카이이앤엠 거래정지(주식병합)
18. 피에이치씨 추가상장(유상증자)
19. 디에스케이 추가상장(CB전환)
20. 휴맥스 추가상장(CB전환)
21. 인트로메딕 추가상장(CB전환)
22. 바이오리더스 추가상장(CB전환)
23. 베노홀딩스 추가상장(CB전환)
24. EDGC 보호예수 해제
25. 오스템 보호예수 해제
26.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7.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8. 美) 알코아 실적발표(현지시간)
29. 美) 월그린 실적발표(현지시간)
30. 美) 모건스탠리 실적발표(현지시간)
31. 美)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실적발표(현지시간)
32. 美) 씨티그룹 실적발표(현지시간)
33. 美) 웰스파고 실적발표(현지시간)
34. 美)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실적발표(현지시간)
35. 中) 9월 소비자물가지수
36. 中) 9월 생산자물가지수
37. 日) 8월 산업생산(수정치)
* 야구 일정
18시30분
KT VS 두산 <잠실>
LG VS 롯데 <사직>
NC VS 키움 <고척>
삼성 VS KIA <광주>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10월 14일 목요일
1. 美) 9월 생산자물가지수(현지시간)
2. 홍콩 증시 휴장
3. 옵션만기일
4.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6.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연설(현지시간)
7.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연설 및 토론(현지시간)
8.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9.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10. 인도네시아 발리, 일부 국가 관광객 입국 허용
11. 법무부, 윤석열 전검찰총장 2개월 징계 관련 소송 1심 판결 예정
12. 경기도 버스 파업 예정
13. 넥슨 신작 블루 아카이브 사전등록 예정
14. 남양유업, 우유 제품 가격 인상 예정
15. 9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16. 9월 수출입물가지수
17. 스카이이앤엠 거래정지(주식병합)
18. 피에이치씨 추가상장(유상증자)
19. 디에스케이 추가상장(CB전환)
20. 휴맥스 추가상장(CB전환)
21. 인트로메딕 추가상장(CB전환)
22. 바이오리더스 추가상장(CB전환)
23. 베노홀딩스 추가상장(CB전환)
24. EDGC 보호예수 해제
25. 오스템 보호예수 해제
26.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7.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8. 美) 알코아 실적발표(현지시간)
29. 美) 월그린 실적발표(현지시간)
30. 美) 모건스탠리 실적발표(현지시간)
31. 美)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실적발표(현지시간)
32. 美) 씨티그룹 실적발표(현지시간)
33. 美) 웰스파고 실적발표(현지시간)
34. 美)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실적발표(현지시간)
35. 中) 9월 소비자물가지수
36. 中) 9월 생산자물가지수
37. 日) 8월 산업생산(수정치)
* 야구 일정
18시30분
KT VS 두산 <잠실>
LG VS 롯데 <사직>
NC VS 키움 <고척>
삼성 VS KIA <광주>
https://news.v.daum.net/v/20211013145135920
https://news.v.daum.net/v/20211013175107002
https://news.v.daum.net/v/20211013085102105
https://news.v.daum.net/v/20211013181242741
https://news.v.daum.net/v/20211013181602855
https://news.v.daum.net/v/20211013170908425
https://news.v.daum.net/v/20211013180008338
https://news.v.daum.net/v/20211013173915585
- 코스피시장 -
10/13 KOSPI 2,944.41(+0.96%) 기관 순매수 및 외국인 선물 순매수(+), 美 연방정부 부채한도 상향안 하원 통과(+), 美 9월 CPI 경계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 및 경제 성장 둔화 우려 지속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913.34(-3.04P, -0.10%)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2,909.47(-6.91P, -0.2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상승 전환했고, 오전중 2,950선 위로 올라섰음. 오후 들어 2,953.33(+36.95P, +1.27%)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다소 줄이기도 했으나 대체로 2,940선 중반에서 움직인 끝에 결국 2,944.41(+28.03P, +0.96%)에서 거래를 마감.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사흘만에 반등. 원/달러 환율이 전일 대비 5.0원 하락한 1,193.8원으로 상승세가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고, 기관의 7천억 넘는 순매수와 외국인 선물 순매수등이 시장 상승을 이끌었음. 美 연방정부의 부채한도를 오는 12월까지 일시적으로 상향하는 법안이 하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점도 투자심리를 회복시켰음.
다만,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현지시간으로 13일 美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경계감과 외국인의 7거래일 연속 순매도 등은 지수의 상승폭을 다소 제한.
지난달 부진한 흐름을 보였던 현대차(+3.18%), 기아(+2.43%), 현대모비스(+4.03%) 등 자동차 대표주들의 상승이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였음. 반면, 삼성전자(-0.29%) 외국인 자금 이탈 속 3거래일 연속 하락.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584명을 기록. 정부는 18세 이상 성인 기준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이 70% 를 돌파했다고 밝힘.
홍콩이 휴장한 가운데, 일본, 대만이 하락했고, 중국이 상승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기관이 7,723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5,313억, 2,728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6,091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790계약, 4,517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0원 하락한 1,193.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9bp 상승한 1.824%, 10년물은 전일 대비 4.6bp 하락한 2.401%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틱 오른 108.70 마감. 연기금 등, 은행, 금융투자가 각각 927계약, 885계약, 891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602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5틱 오른 122.54 마감. 금융투자가 2,024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474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현대모비스(+4.03%), 현대차(+3.18%), 카카오(+3.08%), NAVER(+2.69%), 기아(+2.43%), LG화학(+1.51%), 삼성물산(+1.27%), 삼성SDI(+1.21%), 카카오뱅크(+1.08%), SK이노베이션(+0.97%) 등이 상승. 반면, KB금융(-1.65%), LG전자(-1.61%), 삼성바이오로직스(-0.60%), 삼성전자(-0.29%)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기계(+5.32%), 운수장비(+2.75%), 철강/금속(+2.09%), 서비스(+2.00%), 건설(+1.90%), 증권(+1.90%), 섬유/의복(+1.83%), 의료정밀(+1.83%), 통신(+1.54%), 전기가스(+1.30%) 등이 상승. 반면, 보험(-0.40%), 의약품(-0.27%)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944.41P(+28.03P/+0.96%)
- 코스닥시장 -
10/13 KOSDAQ 953.47(+1.42%) 외국인·기관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우려 및 경제 성장 둔화 우려 지속 등에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39.40(-0.75P, -0.08%)으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939.28(-0.87P, -0.09%)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 전환했고, 오전중 954.63(+14.48P, +1.5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949선까지 상승폭을 반납하기도 했으나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키운 끝에 953.47(+13.32P, +1.42%)에서 거래를 마감.
전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사흘만에 반등.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를 보이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거래일만에 동반 순매수를 기록했고, 개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엘앤에프(+13.55%), 천보(+10.92%), 에코프로비엠(+4.55%) 등 2차전지 테마가 큰 폭으로 상승.
수급별로는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143억, 702억 순매수, 개인은 2,902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엘앤에프(+13.35%), 천보(+10.92%), 에코프로비엠(+4.55%), 휴젤(+4.36%), CJ ENM(+3.68%), 펄어비스(+3.23%), 알테오젠(+3.17%), 동화기업(+2.65%) 등이 상승. 반면, 에이치엘비(-5.37%), 오스템임플란트(-1.42%), 리노공업(-0.59%), 솔브레인(-0.37%)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IT부품(+4.76%), 운송(+3.44%), 방송서비스(+3.29%), 일반전기전자(+3.28%), 통신방송서비스(+2.92%), 화학(+2.79%), 기타제조(+2.65%), 건설(+2.54%), IT H/W(+2.25%), 종이/목재(+2.14%), 금속(+2.06%) 등이 상승. 반면, 운송장비/부품(-0.80%)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53.47P(+13.32P/+1.42%)
'이슈 테마 스케쥴 > 이슈.테마.스케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0.18(월) 이슈 테마 스케쥴(10.16~10.18) (0) | 2021.10.16 |
---|---|
2021.10.15(금)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14 |
2021.10.13(수)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12 |
2021.10.12(화) 이슈 테마 스케쥴(10.09~10.12) (0) | 2021.10.09 |
2021.10.08(금)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