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3일 수요일
1. 케이카 신규상장 예정
2.美) FOMC 의사록 공개(현지시간)
3. 美) 9월 소비자물가지수(현지시간)
4.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5.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기자회견(현지시간)
6.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7.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출범 예정
8. 대한해부학회 학술대회 개최 예정
9. 8월 통화 및 유동성동향
10. 8월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11. 9월 고용동향
12. 9월 금융시장 동향
13. 산업부, 21년9월 ICT 수출입 동향
14. 지아이텍 공모청약
https://goodp7.tistory.com/1963?category=431439
15. 차백신연구소 공모청약
https://goodp7.tistory.com/1964?category=431439
16. 퓨쳐스트림네트웍스 상호변경(FSN)
17. 샘코 변경상장(감자)
18. 에코마이스터 거래정지(감자)
19. 금호전기 추가상장(유상증자)
20. 엔케이물산 추가상장(유상증자)
21. 씨티씨바이오 추가상장(BW행사)
22. 우리들휴브레인 추가상장(CB전환)
23. 이더블유케이 추가상장(CB전환)
24. 파인디앤씨 추가상장(CB전환)
25. 엘아이에스 추가상장(CB전환)
26. 유니켐 추가상장(CB전환)
27. 알루코 추가상장(CB전환)
28. 신원 추가상장(CB전환)
29. 아이비김영 보호예수 해제
30. 오비고 보호예수 해제
31.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32. 美) 블랙록 실적발표(현지시간)
33. 美) 델타항공실적발표(현지시간)
34. 美) JP모건체이스 실적발표(현지시간)
35. 유로존) 8월 산업생산(현지시간)
36. 독일)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확정치(현지시간)
37. 영국) 8월 산업생산(현지시간)
38. 영국) 8월 무역수지(현지시간)
39. 中) 9월 무역수지
40. 日) 8월 핵심기계류수주
41. 日) 9월 광의통화(M2)
* 야구 일정
18시30분
KT VS 두산 <잠실>
LG VS 롯데 <사직>
NC VS 키움 <고척>
삼성 VS KIA <광주>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10월 13일 수요일
1. 케이카 신규상장 예정
2.美) FOMC 의사록 공개(현지시간)
3. 美) 9월 소비자물가지수(현지시간)
4.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5.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기자회견(현지시간)
6.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7.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출범 예정
8. 대한해부학회 학술대회 개최 예정
9. 8월 통화 및 유동성동향
10. 8월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11. 9월 고용동향
12. 9월 금융시장 동향
13. 산업부, 21년9월 ICT 수출입 동향
14. 지아이텍 공모청약
15. 차백신연구소 공모청약
16. 퓨쳐스트림네트웍스 상호변경(FSN)
17. 샘코 변경상장(감자)
18. 에코마이스터 거래정지(감자)
19. 금호전기 추가상장(유상증자)
20. 엔케이물산 추가상장(유상증자)
21. 씨티씨바이오 추가상장(BW행사)
22. 우리들휴브레인 추가상장(CB전환)
23. 이더블유케이 추가상장(CB전환)
24. 파인디앤씨 추가상장(CB전환)
25. 엘아이에스 추가상장(CB전환)
26. 유니켐 추가상장(CB전환)
27. 알루코 추가상장(CB전환)
28. 신원 추가상장(CB전환)
29. 아이비김영 보호예수 해제
30. 오비고 보호예수 해제
31.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32. 美) 블랙록 실적발표(현지시간)
33. 美) 델타항공실적발표(현지시간)
34. 美) JP모건체이스 실적발표(현지시간)
35. 유로존) 8월 산업생산(현지시간)
36. 독일)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확정치(현지시간)
37. 영국) 8월 산업생산(현지시간)
38. 영국) 8월 무역수지(현지시간)
39. 中) 9월 무역수지
40. 日) 8월 핵심기계류수주
41. 日) 9월 광의통화(M2)
* 야구 일정
18시30분
KT VS 두산 <잠실>
LG VS 롯데 <사직>
NC VS 키움 <고척>
삼성 VS KIA <광주>
https://news.v.daum.net/v/20211012202440304
https://news.v.daum.net/v/20211012220012033
https://news.v.daum.net/v/20211012203106401
https://news.v.daum.net/v/20211012200249948
https://news.v.daum.net/v/20211012174202565
https://news.v.daum.net/v/20211012180905532
https://news.v.daum.net/v/20211012183021035
https://news.v.daum.net/v/20211012203304425
- 코스피시장 -
10/12 KOSPI 2,916.38(-1.35%) 환율 장중 1,200원선 상회(-), 국제유가 상승 및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상승 속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950.22(-6.08P, -0.21%)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2,950.94(-5.36P, -0.1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키웠음. 오전중 2,901.51(-54.79P, -1.85%)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지지부진한 흐름을 지속. 오후 들어 2,925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결국 2,916.38(-39.92P, -1.35%)에서 거래를 마감.
원/달러 환율 장중 1,200원선 상회, 국제유가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中 전력난에따른 공급망 우려 지속 등이 증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은 금일 8,000억 넘는 순매도, 6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도 2,000억 가까운순매도를 기록.
시총 1, 2위 삼성전자(-3.50%), SK하이닉스(-2.66%)가 나란히 연저점을 경신하며 하락 마감. 특히, 삼성전자는 10개월여 만에 6만원대를 기록했고, 올해 1월 최고점인 96,800원 대비 약 28% 하락한 69,000원에서 금일 거래를 마감. 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3분기 삼성전자 잠정 매출액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4분기 실적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금일 한국은행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연 0.75%로 동결. 회의 직후 이주열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했지만, 경기 흐름이 금융통화위원회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11월 회의에서는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
한편,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347명을 기록. 정부는 금일 13시 기준 2차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수 잠정 집계 결과 인구대비 60.2%가 접종을 마쳤다고 밝혔음. 아울러, 이달 말까지 전 국민 70% 접종 완료 목표에 대해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동반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243억, 1,997억 순매도, 개인은 9,79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369계약, 237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642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2원 상승한 1,198.8 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1.4bp 상승한 1.815%, 10년물은 전일 대비 7.3bp 상승한 2.447%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6틱 내린 108.69 마감. 외국인이 9,898계약 순매도, 은행과 자산운용은 각각 7,800계약, 2,939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76틱 내린 122.19 마감. 외국인이 4,577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자산운용은 각각 4,851계약, 1,300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NAVER(-4.25%), 셀트리온(-4.24%), 삼성전자(-3.50%), LG생활건강(-3.47%), 카카오(-3.40%), 삼성SDI(-3.35%), 카카오뱅크(-2.98%), 삼성물산(-2.87%), SK하이닉스(-2.66%), 현대모비스(-2.07%), SK텔레콤(-1.31%) 등이 하락. 반면, LG화학(+4.19%), SK이노베이션(+3.43%), LG전자(+3.33%), 크래프톤(+2.98%), POSCO(+0.62%), 삼성바이오로직스(+0.48%)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전기/전자(-3.00%), 은행(-2.19%), 종이/목재(-2.18%), 서비스(-2.18%), 유통(-1.70%), 통신(-1.68%), 비금속광물(-1.60%), 제조(-1.31%), 전기가스(-1.20%), 음식료(-1.18%), 보험(-0.97%), 운수창고(-0.83%) 등이 하락. 반면, 섬유/의복(+1.56%), 화학(+1.39%), 철강/금속(+0.99%)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916.38P(-39.92P/-1.35%)
- 코스닥시장 -
10/12 KOSDAQ 940.15(-1.36%) 환율 장중 1,200원선 상회(-), 국제유가 상승 및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국제유가 상승 속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51.12(-1.99P, -0.21%)로 소폭하락 출발. 시가를 고점으로 장 초반 937선까지 낙폭을 키우다 오전중 943선까지 낙폭을 줄임. 오후 들어 재차 하락해 936.95(-16.16P, -1.7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후반 943선까지 낙폭을 다시 줄이기도 했으나 결국 940.15(-12.96P, -1.36%)에서 거래를 마감.
원/달러 환율 장중 1,200원선 상회, 국제유가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 지속, 뉴욕증시 하락 등이 증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이틀 연속 순매도를 보이면서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하락. 거래대금은 지난 6월 중순 이후 4개월여 만에 최저수준을 기록.
수급별로는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652억, 148억 순매도, 개인은 1,755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위메이드(-7.56%), 에이치엘비(-6.92%), 스튜디오드래곤(-4.77%), 휴젤(-4.40%), 씨젠(-4.22%), 솔브레인(-2.86%), 셀트리온헬스케어(-2.25%), 알테오젠(-1.98%), 셀트리온제약(-1.92%) 등이 하락. 반면, 엘앤에프(+2.90%), 천보(+2.81%), 리노공업(+2.72%), 펄어비스(+2.05%), 오스템임플란트(+0.75%), 카카오게임즈(+0.15%)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오락문화(-2.90%), 정보기기(-2.57%), 출판/매체복제(-2.44%), 기타서비스(-2.41%), 운송장비/부품(-2.33%), 디지털컨텐츠(-2.30%), 유통(-2.04%), 건설(-1.95%), 기타제조(-1.85%), 통신장비(-1.78%), IT S/W & SVC(-1.76%) 등이 하락. 반면, 운송(+2.39%), 방송서비스(+0.89%), IT부품(+0.57%)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940.15P(-12.96P/-1.36%)
'이슈 테마 스케쥴 > 이슈.테마.스케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0.15(금)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14 |
---|---|
2021.10.14(목)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13 |
2021.10.12(화) 이슈 테마 스케쥴(10.09~10.12) (0) | 2021.10.09 |
2021.10.08(금)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08 |
2021.10.07(목)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