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
8/8 KOSPI 2,493.10(+0.09%) 美 고용지표 호조 속 외국인/개인 순매수(+), Fed 공격적 긴축 우려(-), 美 CPI 관망세
지난 주말뉴욕증시가 고용지표 호조 속 Fed 공격적 긴축 우려 등에 혼조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481.17(-9.63P, -0.39%)로 하락 출발. 장초반 2,477.76(-13.04P, -0.52%)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2,485선 위로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지만, 재차낙폭을 키우기도 함. 이후 재차 낙폭을 만회해 2,485선 부근에서 소폭 하락세를 이어갔고, 오후 들어 보합권까지 올라서며 2,490선 부근에서등락을 거듭하는 모습. 장 후반 2,494.00(+3.20P, +0.13%)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약보합세로 돌아서기도 했지만, 이내 반등에 성공하며 결국 2,493.10(+2.30P, +0.09%)으로 장을 마감.
美 고용보고서에 대한 해석이 엇갈린 가운데, 제한된 움직임 속 외국인과 개인동반 순매수에 힘입어 지수는 강보합 마감, 4거래일 연속 상승. 특히, 외국인은 8거래일 연속 순매수. 美 상원, 인플레 감축법안 통과 소식등에 풍력, 태양광,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임. 반면, 반도체, 인터넷, IT 대표주 등 기술성장주들이 부진한 모습.
지난 5일(현지시간) 발표된 美 고용동향보고서에 따르면,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52만8,000명 증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예상치 25만8,000명 증가를 크게 웃돌았음. 7월 실업률은 3.5%로 집계돼 코로나 팬데믹 직전인 2020년 1~2월에 기록한 수치(3.5%)로 돌아가면서 196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 고용지표 호조 속 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가 재부각되는 모습. 일각에서는 3연속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인상)’도 가능하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음.
다만, 고용이 후행 지표라는 점에서 고용보고서가 경기 둔화를 아직 반영하지 못했고Fed 긴축이 강화하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제기됐으며, 고용지표 호조 등에 경기 침체가 그리 강한 수준은 아닐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음. 시장에서는 오는 10일(현지시간) 발표되는 美 소비자물가지수(CPI)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5만5,292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324명, 사망자는 29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이 상승한 반면, 대만,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732억, 809억 순매수, 기관은 2,964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기관이 2,462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123계약, 956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8.1원 상승한 1,306.4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5bp 상승한 3.134%,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3bp 상승한 3.177%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4틱 내린 105.27로 마감. 금융투자가 2,015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1,897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50틱 내린 115.40으로 마감. 금융투자, 보험이 3,469계약, 1,129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3,823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SK이노베이션(+5.39%), 셀트리온(+3.30%), 삼성물산(+2.53%), LG화학(+1.56%), 기아(+1.12%), 카카오(+0.99%), 현대차(+0.77%), SK(+0.69%), 현대모비스(+0.67%), 삼성바이오로직스(+0.56%), KB금융(+0.40%), 신한지주(+0.28%), LG에너지솔루션(+0.22%), POSCO홀딩스(+0.21%) 등이 상승. 반면, NAVER(-3.18%), SK하이닉스(-2.23%), LG전자(-1.98%), 삼성전자(-1.14%), 삼성SDI(-0.17%)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비금속광물(+2.44%), 철강금속(+1.80%), 음식료업(+1.62%), 기계(+1.60%), 운수장비(+1.49%), 유통업(+1.25%), 의약품(+1.01%), 화학(+0.94%), 건설업(+0.71%), 보험(+0.54%), 금융업(+0.38%), 전기가스업(+0.32%) 등이 상승. 반면, 의료정밀(-1.80%), 섬유의복(-1.42%), 운수창고(-1.33%), 전기전자(-0.89%), 서비스업(-0.49%), 증권(-0.49%)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93.10P(+2.30P/+0.09%)
- 코스닥시장 -
8/8 KOSDAQ 830.86(-0.09%)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개인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고용지표호조 속 Fed 공격적 긴축 우려 등에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29.77(-1.87P, -0.22%)로 하락 출발. 이후 낙폭을 키운 지수는 오전 중 825.94(-5.70P, -0.69%)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축소해 828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다 오후 들어낙폭 대부분을 만회했고, 장후반 831.12(-0.52P, -0.0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830.86(-0.78P, -0.09%)으로 장을 마감.
美 고용지표 호조 등에 따른 Fed 공격적 긴축 우려가 커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美 고용지표에 대한 해석이 엇갈린 가운데 개인이 4거래일만에 순매수하며 낙폭은 제한된 모습.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54억, 609억 순매도, 개인은 1,199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펄어비스(+2.18%), 에스엠(+2.05%), 셀트리온헬스케어(+1.99%), 셀트리온제약(+1.48%), JYP Ent.(+0.70%), 천보(+0.56%), 알테오젠(+0.54%), 엘앤에프(+0.41%), 씨젠(+0.25%), CJ ENM(+0.21%), 에코프로(+0.17%), 스튜디오드래곤(+0.13%) 등이 상승. 반면, 동진쎄미켐(-5.90%), 위메이드(-4.26%), 에스티팜(-2.55%), 에코프로비엠(-1.94%), 솔브레인(-0.81%), 카카오게임즈(-0.52%), 리노공업(-0.45%), HLB(-0.32%)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음식료/담배(-1.48%), 기타 제조(-1.24%), 일반전기전자(-0.94%), 출판/매체복제(-0.89%), 반도체(-0.88%), 소프트웨어(-0.59%), 제약(-0.56%), IT H/W(-0.56%), 비금속(-0.50%), IT S/W & SVC(-0.50%), 디지털컨텐츠(-0.49%), 운송(-0.40%) 업종 등이 하락. 반면, 통신서비스(+10.11%), 통신방송서비스(+3.57%), 오락/문화(+1.52%), 유통(+1.07%), 금속(+1.07%), 건설(+0.89%), 기계/장비(+0.75%), 방송서비스(+0.66%)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30.86P(-0.78P/-0.09%)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LNG) 비축량 부족 소식 등에 도시가스, LNG(액화천연가스), 셰일가스(Shale Gas) 테마 상승. ▷정부, 우주경제 로드맵연내 발표 기대감 등에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美 상원, 인플레 감축법안 통과 소식 등에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美 상원, 인플레 감축법안 통과 속 청정수소, 세액공제 내용 부각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OTT 콘텐츠 수요 증가로 인한 콘텐츠 제작사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11조 루마니아 원전사업에 한미포함 '3각협력'제안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김진표 국회의장, 폴란드서 'K방산' 세일즈외교 소식 속 폴란드 무기 수출 기대감 지속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美 아마존, 로봇업체 아이로봇 인수 소식에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이재명 후보, 당대표 현실화 기대감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국제유가 반등 속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이 외에 영화, 삼성페이, 항공기부품, 화학섬유, 제대혈, UAM, 2차전지(생산), 드론, 자원개발, 엔터테인먼트, 백화점, 종합상사, 스마트팩토리, 전자결제, 조선기자재, 음원/음반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정부, 美 주도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 예비회의 참여 소식 및 6월 세계 반도체 집적회로(IC) 판매량 감소 소식 속 반도체 관련주 하락. ▷세계 식량가격지수 14년래 최대 하락폭 기록에 사료, 비료, 농업 테마 하락. ▷中 코로나19 확산에 휴양지 하이난섬 봉쇄 소식 속 여행/항공/저가항공사 테마 하락. ▷이 외에 마리화나(대마), 마스크, 캐릭터상품, 인터넷 대표주, 제습기, 면역항암제, 마켓컬리 관련주, 골프, 스마트폰, 카메라모듈/부품, 교육/온라인 교육, 코로나19 관련주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
도시가스/LNG(액화천연가스)/셰일가스(Shale Gas) |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LNG) 비축량 부족 소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국내 천연가스 도입을 책임지는 한국가스공사의 액화천연가스(LNG) 비축량이 바닥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전해짐. 비축량이 올겨울 열흘치 수요량(최고 수요 기준)에도 못 미치는 137만t까지 줄어들어 겨울철 블랙아웃(대정전)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음. 한국가스공사는 연말까지 1,000만t 가까운천연가스를 추가 도입해야 올겨울 에너지 대란을 막을 수 있다고 정부에 보고한 것으로 전해짐. ▷또한, 최근 러시아, 독일·라트비아향 천연가스 공급 중단에 따른 유럽 천연가스 가격 상승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 속 대성에너지, 지에스이, 경동도시가스, SH에너지화학, SK가스 등 도시가스/LNG(액화천연가스)/셰일가스(Shale Gas) 테마가 상승. |
|
우주항공산업 | 정부, 우주경제 로드맵 연내 발표 기대감 등에 상승 |
▷전일 정부는 다누리호 발사 성공 이후 브리핑을 열고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올해 안에 발표하겠다고밝힌 가운데,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이와 관련, 대통령 과학기술 관계자는 “새로운 꿈과 희망을 싣고 다시 솟아오를차세대 발사체와 달 착륙선, 로버 기술개발을 포함한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올해 안에 발표하겠다”며 “차세대 발사체의 경우 2031년 개발을 목표로 내년 예산에 반영하겠다”고 밝힘. ▷아울러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이어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도 최근 발사에 성공한 가운데, 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뉴스페이스' 사업과 관련된 업체들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있음. 언론에 따르면, 다누리 본체를 비롯한 탑재체 제작에는 대기업 6군데와 중소기업 34개 등 40곳, 대학교 13개교 등 총 59곳이 참여했으며, 특히 한화와 KAI 등 국내 기업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총괄 아래에 다누리 본체와 시스템 설계 지원을 비롯해 추진시스템 및 구조체, 통합전장품 등 본체 구성 부품 설계와 제작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제노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등 우주항공산업 테마가 상승. |
|
풍력에너지/태양광에너지 | 美 상원, 인플레 감축법안 통과 소식 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美 상원은 전일(현지시간) 본회의를 열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막대한 투자와 부자 증세 등의 내용을 담은 이른바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을 가결 처리한 것으로 전해짐. 이 법안은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감축하기 위해 에너지 안보 및 기후 변화 대응에 3,690억 달러(약 479조원)를 투자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상원에서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하원은 금주 초에 법안을 처리한 뒤 법안의 서명 및 공포를 위해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보낼 예정임. 하원은 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있어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씨에스베어링, 씨에스윈드, 유니슨, LS, 삼강엠앤티 등 풍력에너지 테마 및 대한그린파워, 현대에너지솔루션, OCI, LS ELECTRIC, 신성이엔지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
|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 美 상원, 인플레 감축법안 통과 속 청정수소, 세액공제 내용 부각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美 상원은 전일(현지시간) 본회의를 열고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막대한 투자와 부자 증세 등의 내용을 담은 이른바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을 가결 처리한 것으로 전해짐. 상원에서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하원은 금주 초에 법안을처리한 뒤 법안의 서명 및 공포를 위해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보낼 예정임. 하원은 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있어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법안은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기 위해 에너지 안보 및 기후 변화 대응에 3,690억 달러(약 479 조원)를 투자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 법안에는 인증된 청정수소에 대해 생산자에게 kg당 최대 3달러까지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삼보모터스, 디아이티, 두산퓨얼셀, 제이엔케이히터, 유니크, 에스퓨얼셀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가 상승. 한편, 삼보모터스는 친환경차(수소전기차·전기차) 부품사로 전환했다는 소식도시장에서 부각. |
|
영상콘텐츠 | OTT 콘텐츠 수요 증가로 인한 콘텐츠 제작사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KB증권은 미디어 산업의 매체 주도권이 TV에서 OTT로 넘어가는 구조적 변화 속 콘텐츠 수요 증가로 인한콘텐츠 제작사의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최근 경기 둔화 우려와 글로벌 OTT의 구독자 감소로 콘텐츠 관련주의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지만 국내 콘텐츠 기업의 제작 편수와 규모 증가, 제작비 회수비율 개선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 ▷국내 콘텐츠 제작사의 제작 편수가 2020~2021년 연간 140편 수준이었으나 2022년 연간 160편으로 늘어날 전망이며, 콘텐츠 차별화 경쟁 속 국내 콘텐츠 제작사는 OTT에 대한 협상 우위를 바탕으로 제작비 회수비율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에 버킷스튜디오, 콘텐트리중앙, NEW, 위지윅스튜디오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 특히, 버킷스튜디오는 이정재 제작 영화 '헌트' 예매율 1위 등극 소식 속 이정재 소속사 지분 보유 사실이부각되며 급등세를 기록. |
|
원자력발전 | 11조 루마니아 원전사업에 한미포함 '3각협력' 제안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루마니아를 공식 방문 중인 김진표 국회의장은 7일(현지시간) 약 11조원으로 추산되는 루마니아 원전 사업과 관련해 한국과 미국이 함께 참여하는 '3각 협력'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짐. 특히, 다른 모든 영역보다 루마니아 국영원자력전력사 사장에게 먼저 화두를 던지며 우리 기업의 원전 사업 수주 지원을 당부했음. ▷김 의장은 이 자리에서 "루마니아는 미국과신규 원전 건설, 소형원전(SMR) 도입을 위해 협력 중"이라며, "미국의 동맹국이자 루마니아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인 한국이 한-루·미 간 삼각 협력을 토대로 루마니아 원전 사업에 주된 사업자로 선정되길 희망한다"고 밝힘. 아울러 김 의장의 제안에 대해 코스민 기쩌 루마니아 국영원자력전력사 사장은 "전략적동반자관계인 한국과 원전분야에서 밀접한 협력을 희망한다"면서 "구체적 협력방안에 대해서 열려있는 입장이고, 한국측과의 생산적 협력을 희망한다"고 언급함. ▷이 같은 소식에 서전기전, 에너토크, 비엠티, 한신기계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상승. |
|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 美 아마존, 로봇업체 아이로봇 인수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지난 6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아마존이 인공지능(AI) 로봇청소기 ‘룸바'로 유명한 아이로봇을 17 억달러(약 2조2,000억원)에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아마존이 추진한 인수 중 4번째로 큰 규모로, 앞서 로봇청소기를 선보인 아마존이기에 신사업 확장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다만, 반독점 규제가 인수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같은 소식 속 에브리봇, 이랜시스, 알체라, 휴림로봇 등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
|
정치/인맥(이재명) | 이재명 후보, 당대표 현실화 기대감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지역순회 경선 첫주부터 이재명 당대표 후보가 '압승'을 거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지난 7일 열린 제주·인천 경선에서도 70% 넘는 득표율로 1위에 올라, 전날 열린 강원·대구·경북 첫 경선에 이어이틀 연속 압승을 거뒀으며, 이틀간 누계 득표율 74.15%로 초반부터 '독주 체제'를 구축하게 됐음. ▷이에 금일 에이텍, 동신건설, 토탈소프트, 코이즈 등 정치/인맥(이재명) 테마가 상승. |
|
반도체 관련주 | 정부, 美 주도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 예비회의 참여소식 속 하락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인 '칩4' 예비회의에 참여할 것으로 전해짐. 정계에 따르면, 최근 외교부는 칩4 예비회의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예비회의에서 칩4의 세부 의제나 참여수준 등을 구체적으로 조율하게 될 것으로 전해졌음. 한편, 중국은 자국에 대한 견제로 여기며 한국의 칩4 참여를 반대하고 있어, 대중 반도체 수출비중이 높은 한국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6월 세계 반도체 집적회로(IC) 판매량이 전월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감소량을 밝힌것은 아니지만 전월 대비 6월 판매량이 준 것은 1976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인 것으로 전해짐. ▷지난 주말사이 뉴욕주식시장이 고용지표 호조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하락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8.02(-0.91%) 하락한 3,053.39를 기록했음. ▷이에 금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티에스이, 디엔에프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
|
사료/비료/농업 | 세계 식량가격지수 14년래 최대 하락폭 기록에 하락 |
▷전일 언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고공비행중이던 세계 식량가격이 약 14년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올해 7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보다 8.6%하락한 140.9포인트를 기록했다고 밝힘. ▷품목별로는 곡물 가격지수가 전달보다 11.5% 하락했으며, 이는 흑해 항구 봉쇄 해제 합의와 북반구의 수확 진행 등으로 국제 밀 가격이 크게 떨어진 것이 전체적인 곡물 가격 하락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한편, FAO는 1996년 이후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해 곡물·유지류·육류·유제품·설탕 등 5개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집계해 발표하고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인 지난 3월 역대 최고치인 159.7까지 치솟았다가 6월까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인 바 있음. ▷이에 금일 미래생명자원, 한탑, 케이씨피드, 대주산업, 누보 등 사료/비료/농업 테마가 하락.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성안 (011300) 1,185원 (+12.32%) |
경영권 분쟁 소송 제기 속 급등 |
▷지난 5일 장 마감 후 이수정 외 4명 주주총회소집허가 소송(경영권 분쟁 소송) 제기 공시. | |
신세계 I&C (035510) 15,700원 (+9.41%) |
2분기 영업이익 호조 등에 급등 |
▷지난 5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448.48 억원(전년동기대비 +8.74%), 영업이익 120.15억원(전년동기대비 +10.13%), 순이익 100.48억원(전년동기대비 -0.51%). | |
영보화학 (014440) 4,300원 (+9.28%) |
정부, 층간소음 대책 관련 지원 방안 추진 소식 속 층간소음완충재 제품 생산 사실 부각에 급등 |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구축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 대책과 관련해서 (보강 인테리어를 위해) 가구당 300만원정도는 기금을 통해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정부가 이번주 초 '250만가구+α'(알파) 주택공급대책을 공개하는 가운데, 향후 5년간 250만호 이상 공급 물량 확보를 골자로 이를 위한 후속 계획과 각종 지원책을 아우르는 내용이 담길 것이며 주거안정 및 주거 질 상향에 대한 대책도 일부 포함될 예정으로 층간소음 완화 대책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층간소음완충재 제품을 생산하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69,600원 (+9.09%) |
한화디펜스 합병을 통한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 등에 급등 |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한화디펜스를 합병에따른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이 크다고 언급. 한화디펜스의 2022E 적정가치를 1.7조원(PSR 1배)으로 평가하는 가운데, 시장은 이를 NAV 할인 60%로 0.7조원만이 반영되어온 것으로 해석된다며, 이번 지배구조 재편으로 상승한 시가총액 1조원은 NAV 할인 해소일 뿐이라고 언급. 또한, 사업 통합에 따른 효율화, 공동 연구개발, 덩치가 커짐에 따른 국제 입찰에서의 존재감 등의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한화디펜스의 2023~2024년 이익률 상향, 타겟 PER을 기존 17.5배에서 20배로 상향하면서 목표주가를 상향하고 투자의견을 STRONG BUY로 상향. ▷투자의견 : BUY → STRONG BUY[상향], 목표주가 : 70,000원 → 100,000원[상향] |
|
삼양식품/농심/오뚜기 | 상반기 라면 수출액 사상 최대치 경신 소식에 강세 |
▷전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6월 라면 수출액은 3억8,340만 달러(약 4,976억원)로 기존 최대치였던 지난해 상반기(3억1,969만 달러)보다 19.9%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재경신한 것으로 전해짐.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9,191만 달러), 미국(4,786만 달러), 일본(3,032만 달러), 대만(1,483만 달러), 필리핀(1,477만 달러), 태국(1,460만 달러), 말레이시아(1,304만 달러), 호주(1,277만달러), 캐나다(1,159만 달러), 네덜란드(1,130만 달러) 등의 순으로, 이는 코로나19 영향 및 드라마, 영화, 예능 프로그램 등 ‘K-콘텐츠’가 확산하면서 한식 자체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커진 영향이라고 분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라면 제조업체인 삼양식품, 농심, 오뚜기가 시장에서 부각. [종목] : 삼양식품, 농심, 오뚜기 |
|
고려아연 (010130) 553,000원 (+7.17%) |
한화 계열사 대상 4,717.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등에 강세 |
▷지난 5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Hanwha H2 Energy USA Corp 대상 993,158주(4,717.5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475,000원, 상장예정:2022-09-08). 종속회사 케이잼㈜, 동박공장 증설 계획 공시. ▷업계에 따르면, 한화그룹과 동사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신재생·수소에너지 부문에서 기술 제휴와 공동 투자 등 관련 계약도 체결할 예정이라고 전해짐. 동사는 한화그룹에서 유치한 투자자금으로 2차전지 소재 자회사인 케이잼의 동박 생산설비를 증설할 계획으로, 현재 1만3,000톤(t)에서 2027년 6만톤(t)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할 것으로 알려짐.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한화임팩트가 지분 5%를 보유하게 됨으로써 호주 최대 재생에너지 업체 Epruron社 인수 등 현재 동사가 호주를 중심으로 벌이고 있는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도 양사의 협력을 통한 중장기 시너지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이번 한화그룹의 협력은 시너지와 더불어 동사의 자금 부담과 사업 리스크를 낮추는데 있어 긍정적으로 판단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70,000원 → 720,000원[상향] |
|
LIG넥스원 (079550) 94,100원 (+6.09%) |
2분기 호실적에 강세 |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902.53억원(전년동기대비 +11.45%), 영업이익 471.70억원(전년동기대비 +63.77%), 순이익 441.63억원(전년동기대비 +96.74%). | |
한화 (000880) 30,000원 (+5.63%) |
사업구조 재편에 따른 지주사 전환 리스크 회피 분석 등에 상승 |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이번 사업구조재편을 통해 지주회사 전환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내년 IFRS17 도입으로 한화생명의 부채를 기존 원가에서 시가로 평가하면서 한화생명의 자본 총계가 상승하게 되는데, 동사는 한화생명을 원가법으로 처리하면서 지주비율이 상승하지 않아 동사와 한화건설이 합병하게 되면 한화생명을 원가법으로 처리해 지주회사 전환을 회피할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사업구조 재편에 따른 자회사의 글로벌 방산기업 등극이 기대된다고 밝힘. 자회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동사에서 물적분할된 방산부문을 인수하고 100% 자회사인 한화디펜스를 흡수합병해 종합 방산기업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밝힘. 또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우주 발사체 엔진 기술과 동사 방산부문이 가지고 있는 우주 발사체 연료기술 결합이 가능해지면서 우주발사체 체계종합기업 선정에서 보다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3,000원[유지] |
|
SK이노베이션 (096770) 195,500원 (+5.39%) |
하반기 SK온 리스크 해소 전망 등에 상승 |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SK On에 대한 시장의 우려(수익성, 자본조달 Risk)는 하반기 해소될 것으로 전망. 하반기 경쟁사 대비 주가 Discount 해소 모멘텀이 예상되며 Pre-IPO/분기 적자폭 축소 구간이라고설명. ▷아울러 22년 연간 WTI유가 95달러/배럴을 유지할 것으러 전망되며 기존 사업의 분기별 이익이 Soft-landing을 보일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65,000원[유지] ▷한편, 언론에 따르면 독일 폭스바겐이 미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생산될 전기차 'ID4'에 SK온의 배터리가 탑재된다는 소식이 전해짐. 올해 말로 예정됐던 생산 시기가 몇 개월 가량 앞당겨 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SK온의 매출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
YG PLUS/와이지엔터테인먼트 | 블랙핑크 컴백 예고 소식에 상승 |
▷와이지엔터테인먼트는 그룹 블랙핑크가 오는 19일 컴백하며, 선공개되는 신곡 제목은 '핑크 베놈(Pink Venom)'이라고 밝힘. 블랙핑크의 완전체 컴백은 2020년 10월 정규 1집 '디 앨범'(THE ALBUM) 이후 약 1년 10개월 만으로,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역대 최고 제작비가 투입된 두 편의 신곡 뮤직비디오가 예고된 만큼 이목이 집중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와이지엔터테인먼트와 자회사 YG PLUS가 시장에서 부각. [종목] : YG PLUS,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
롯데쇼핑 (023530) 101,500원 (+4.64%) |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
▷지난 5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90조원(전년동기대비 -0.01%), 영업이익 743.88억원(전년동기대비 +882.27%), 순이익 454.73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미래에셋증권은 리오프닝에 따른 백화점과 컬처웍스 호조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27% 상회했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매출액은 15조8,623억원(+1.9% YoY), 영업이익은 4,704억원(+126.6%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10,000원 → 140,000원[상향] |
|
세진중공업 (075580) 7,200원 (+3.75%) |
호실적 지속 기대감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OPM은 13.7%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며, 4월에 완료된 2022년의 단가 협상을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분석. 상반기에 플랜트 적자 -112억원을 제거한 조선기자재 영업이익률은 9.9%로 2021년의 7.5%보다 개선됐다고 밝힘. ▷이 같은 수익성 개선은 고수익 LPG 탱커 건조량 증가와 인력 및 기자재 쇼티지에 따른 단가 인상 때문이라며, 특히 고마진 LPG는 2021년에 15척에서 올해 35척, 2023년에도 최소 20척으로 견조할 것으로 분석. 이보다는 인력 쇼티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쇼티지에서 비롯된 호실적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 → STRONG BUY[상향], 목표주가 : 8,700원 → 10,500원[상향] |
|
셀트리온 (068270) 203,500원 (+3.30%) |
2분기 실적 호조 등에 상승 |
▷지난 5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별도기준 매출액 4,979.73억원(전년동기대비 +43.82%), 영업이익 1,847.42억원(전년동기대비 +30.18%), 순이익 1,632.31억원(전년동기대비 +37.34%).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960.66억원(전년동기대비 +38.05%), 영업이익 1,989.67억원(전년동기대비 +21.32%), 순이익 1,840.25억원(전년동기대비 +41.21%). 특히, 연결기준 상반기에만 매출 1조1,467억원을 기록해 창사 이래 최대 반기 매출 실적을 거뒀으며, 반기 영업이익은 3,413억원으로 영업이익율이 30%에달한 것으로 전해짐.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고 밝힘. 이는 램시마IV의 미국 고성장세, 램시마IV의 1공장 생산분 판매로 매출총이익률이 전분기 대비 4.7%p 개선 및 다케다 제약 인수 제품 매출이 인식됐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어 램시마의 유럽 시장점유율이 전분기대비 0.6%p 상승한 52.3%(1분기 기준)를 기록한 가운데, 하반기에도 점유율 상승에 따른 이익 증가세가 예상되어 램시마SC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고 밝힘. 또한, 기존 제품에서 리뉴얼된 TI(Titer Improvement) 출시에 따른원가개선, 하반기 아바스틴 유럽 출시를 시작으로 스텔라라,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등 신제품 출시도 긍정적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 210,000원 → 300,000원[상향] |
|
GS글로벌 (001250) 3,715원 (+3.19%) |
산업부, 석탄발전 상한제 완화 추진 기대감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액화천연가스(LNG) 수급 불안에 따른 에너지 위기를 막기 위해 석탄발전상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석탄발전을늘려서라도 LNG 대란을 피해야 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인도네시아 자원개발(석탄광) 사업 투자 이력을 보유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NAVER (035420) 258,500원 (-3.18%) |
2분기 영업이익 부진 등에 하락 |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수익은 2조458억원(YoY +23.0%), 영업이익은 3,362억원(YoY +0.2%)으로 매출액은 당사 전망치에 부합하였으나, 영업이익은 전망치 대비 4% 하회한 아쉬운 실적을 기록했다고 언급.이와 관련, 영업이익 부진 이유는 콘텐츠 부문 적자가 950억원이였기 때문이라고 언급. ▷이어 2분기 실적 부진 반영에 따른 추정치 하향으로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7% 하향 조정.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30,000원 → 400,000원[하향] |
|
롯데케미칼 (011170) 175,500원 (-3.57%) |
2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
▷지난 5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51조원(전년동기대비 +26.63%), 영업손실 214.22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이익 362.09억원(전년동기대비 -92.77%).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힘. 최근 유가/Naphtha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PE/PP/MEG/ABS 등 주요 화학제품 가격 역시 지속하락하여 Spread는 2분기 대비 추가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 또한, 미국 ECC는 미국산 천연가스 수출 확대에 따른 미국 내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원재료 Ethane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3분기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러한 높은 원재료 가격, 수요 부진, 공급과잉 3중고를 겪고 있는 화학사업의 부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Marketperform[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 → 205,000원[하향] |
|
한샘 (009240) 55,900원 (-4.12%)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
▷지난 5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002.00억원(전년동기대비 -12.04%), 영업이익 21.58억원(전년동기대비 -92.22%), 순이익 9.88억원(전년동기대비 -96.05%). ▷이와 관련, 삼성증권은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75%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주택 거래량 부진이 이어지며 동사의 B2C 인테리어 리모델링 및 가구 사업 모두 매출이 전분기 대비 감소한 한편,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은 2분기에도 이어진 것이 부진한 실적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 아울러 하반기 원가 부담 완화 예상되나, 매출 정상화에는 시간 필요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2,000원[유지] |
|
지누스 (013890) 47,000원 (-5.72%)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
▷지난 5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641.71억원(전년동기대비+5.07%), 영업이익 92.44억원(전년동기대비 -30.78%), 순이익 43.04억원(전년동기대비 -48.26%).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영업이익이 당사 추정치를 34%, 시장 기대치를 57%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고객사인 미국 유통사(월마트)의 과잉재고에 따른 매입 감소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율 훼손이 예상보다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 이어 작년 2~3분기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에 3분기에 큰 폭의 원가율개선은 어렵다고 설명. ▷다만, 철강 및 화학 제품(PPG)의 가격 또한 작년대비 하향 안정화되었기 때문에 4분기부터는 원가율 개선이 예상되며, 미국 내부의 물류난 해소 시 실적과 밸류에이션이 동시에 빠르게 회복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5,000원[유지] |
특징 종목 | 이 슈 요 약 |
버킷스튜디오 (066410) 3,540원 (+26.20%) |
이정재 제작 영화 '헌트' 예매율 1위 등극 소식 속 이정재 소속사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헌트’(감독 이정재, 제작 아티스트스튜디오·사나이픽쳐스)가 금일 오전 8시40분 기준으로 예매율 24.1%로 1위를 달성한 것으로 전해짐. ‘헌트’는 이정재가 감독 각본 주연 제작까지 1인4역을 한 작품으로 오는 10일 개봉할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주연 배우 이정재 소속사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아스플로 (159010) 10,400원 (+16.59%) |
사업 영역 확대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사업 영역 확대에 따른 성장성 및 수익성 확보가 기대된다고 밝힘. 그동안 동사는 반도체 FAB 공정에 적용되는 시설 시공 부품을 위주로 공급하며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했으나 올해부터 고부가가치 제품인 IT장비용 부품 공급을 시작했다고 밝힘. 글로벌 IT 장비 1위 회사인 미국의 A사로부터 수주를 받아 올해 2 분기부터 생산 및 OLED장비에 공급을 시작했으며, 다른 글로벌 반도체 장비사와 IT장비용 부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어 연말에는 추가공급이가능할 것으로 전망. ▷올해 매출액 864억원(전년대비 +46.7%), 영업이익 105억원(전년대비 +165.8%)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내년에는 매출액 1,251억원(전년대비 +44.9%), 영업이익 204억원(전년대비 +94.0%)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내년 예상 실적 기준 PER은 6.4배로 글로벌 고객사 추가 확보 관련 성장성 감안시 저평가 구간에 있다고 밝힘. |
|
이루온/한국정보통신/나이스정보통신 | 올 연말 국내 '애플페이' 본격 도입 전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애플이 운영하는 글로벌 결제서비스 '애플페이(Apple Pay)'가 올해 연말께 국내에 전격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전해짐. ▷여신업계 및 밴(VAN)업계에 따르면, 현대카드는 애플페이 측과 국내에 단독으로 서비스하기로 협의를 마치고 국내 밴사들과 세부적인 결제망 개발 논의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음. 이와 관련, 현대카드는국내 대형 밴사 3곳 나이스정보통신, 한국정보통신(KICC), 키스(KIS)정보통신 등과 현대카드와 애플페이 단독결제에 따른 기술 협의를 진행하고 있음. ▷한편, 현대카드 관계자는 "현재 여러 방식으로 애플페이와 협의를 진행하는 것은 맞다"면서도 "아직 확정된 바는 없다"고 언급했음. ▷이에 근거리무선통신(NFC)에 사용되는 무선통신 USIM칩을 생산하고 있는 이루온과 현대카드와 결제망 개발을 논의하고 있는 한국정보통신, 나이스정보통신 등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 한국정보통신, 나이스정보통신, 이루온 |
|
에코캡 (128540) 7,920원 (+10.15%) |
1,875.06억원 규모 포드용 BDU부품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과 1,875.0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19.6%) 규모 공급계약(포드용 BDU부품) 체결(계약기간:2022-08-08~2030-12-31) 공시. BDU는 전기차 배터리 팩의 전원과 내부 회로 사이에서 전력 연결·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임. | |
램테크놀러지 (171010) 7,770원 (+9.59%) |
200억원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급등 |
▷200억원(자기자본대비 43.63%) 규모 신규시설(신규시설 투자(공장증축 및 시설증설)) 투자 결정 공시. | |
바텍 (043150) 35,100원 (+7.50%) |
2분기 호실적에 강세 |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066.53억원(전년동기대비 +25.52%), 영업이익 230.20억원(전년동기대비 +15.28%), 순이익 233.24억원(전년동기대비 +67.24%). | |
진매트릭스 (109820) 8,400원 (+5.40%) |
결핵 관련 세균 6종 진단키트 유럽 인증 획득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결핵 관련 세균 6종을 단번에감별할 수 있는 분자진단키트 '네오플렉스'가 유럽 체외진단시약 인증(CE-IVD)을 획득했다고 밝힘. 네오플랙스는 가래를 이용해 결핵균 1종과 비결핵항산균 5종을 동시에 감별하고 병원균의 양을 알려준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글로벌 진단 시장에서 수요가 증가중인 호흡기 병원체 진단 부문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임상현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선보일 것"이라고 밝힘. |
|
쇼박스 (086980) 5,270원 (+4.77%) |
쿠팡과 영상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 체결에 상승 |
▷쿠팡 주식회사와 공급계약(영상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 체결(계약기간:2022-08-05~2032-09-06) 공시. 계약금액은 유보기간 종료 후 공개예정이라고 밝힘. | |
아이엠 (101390) 5,410원 (+4.24%) |
삼성전자, 의료용 AR 솔루션 출시 소식 속 AR 관련 기술 보유 사실 부각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 미국법인이 美 스타트업체 누아이즈와 협업해 의료용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 기반 솔루션을 선보일 것으로 전해짐. 최근 삼성전자 미국법인과 누아이즈는 웨어러블 의료용 솔루션인 누아이즈 테크놀로지 프로 시리즈에 스마트폰, 태블릿 등 삼성 모바일기기를 연결하기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거래업체이며 AR 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레이저 피코프로젝터 모듈을 보유하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비엠티 (086670) 14,350원 (+3.99%) |
2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84.40억원(전년동기대비 +33.18%), 영업이익 87.22억원(전년동기대비 +498.21%), 순이익 74.02억원(전년동기대비 +402.51%). 별도기준 매출액 381.20억원(전년동기대비 +32.31%), 영업이익 90.76억원(전년동기대비 +498.68%), 순이익 77.71억원(전년동기대비 +389.97%). | |
신진에스엠 (138070) 4,550원 (+3.29%) |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승 |
▷지난 5일 장 마감 후 무상증자로 인한 권리락 효과가 금일 발생한다고 공시. 기준가격은 4,405원임. | |
빅솔론 (093190) 7,080원 (+2.61%) |
2분기 실적 호조 등에 소폭 상승 |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87.66억원(전년동기대비 +52.57%), 영업이익 102.23억원(전년동기대비 +139.80%), 순이익 60.22억원(전년동기대비 -30.09%). | |
에스티팜 (237690) 110,800원 (-2.55%) |
2분기 실적 부진에 소폭 하락 |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11.23억원(전년동기대비 +26.68%), 영업이익 35.35억원(전년동기대비 -27.48%), 순이익 33.86억원(전년동기대비 -40.17%). | |
LX세미콘 (108320) 96,000원 (-2.93%) |
하반기 재고 조정 우려 및 3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 디스플레이 부품 재고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당사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현재 주요 TV 세트 업체들의 재고량은 9주 수준으로 평상시의 5주 대비 높으며 이로 인해 TV세트 업체들은 더 이상 재고가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 6월부터 패널 구매를 줄이고 있다고 언급. 또한주요 패널 업체들도 캐시코스트(현금비용) 밑으로 떨어진 LCD 패널 가격 하락세를 방어하기 위해 가동률 조정 움직임이 뚜렷하다고 설명. 3Q22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114억원(YoY: +21%, QoQ: +2%), 939억원(YoY: -27%, QoQ: -14%)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한편, 2Q22 매출액은 5,992억원(YoY: +33%, QoQ: +2%), 영업이익은 1,096억원(YoY: +15%, QoQ: -14%)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230,000원 → 190,000원[하향] |
|
잉글우드랩 (950140) 4,990원 (-5.31%) |
2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
▷지난 5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61.63억원(전년동기대비 -26.07%), 영업이익 25.90억원(전년동기대비 -59.48%), 순이익 22.30억원(전년동기대비 -41.17%). | |
스톤브릿지벤처스 (330730) 6,250원 (-8.49%) |
쏘카, 수요예측 부진 속 공모 물량 축소 전망에 약세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카셰어링 1위 기업 쏘카가 공모 물량을 20% 줄이고 가격도 최고가 기준에서 40% 가량 할인하는 방향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는 수요예측 부진에도 이를 철회하기 보다는 기업공개(IPO)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최소화하면서 코스피 상장을 강행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이와 관련 IB 업계에 따르면, 쏘카는 총 공모 물량을 20% 줄이면서 2만8,000원 선에서 공모가를 제출한 일부 기관들에게 추가로 투자 주식 수를 써낼 의사가 있는지 의향을 타진했던 것으로 전해짐. 한편, 앞서 쏘카는 3만4000~4만5,000원선에서 희망 공모가를 제시한 바 있음. ▷이에 쏘카에 투자한 바 있는 벤처캐피털(VC) 회사인 동사의 주가가 약세를 기록. |
|
모아데이타 (288980) 2,650원 (-29.89%) |
무상증자 신주 상장을 앞두고 하한가 |
▷오는 10일 무상증자에 따른 보통주 27,029,360주가 추가상장될 예정. ▷한편, 지난 5일 장 마감 후 투자경고종목 지정 공시. |
한창바이오텍
(043090)
4,520원
(↑29.89%)
3
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상한가
이노시스
(056090)
4,405원
(↑29.94%)
2
무상증자권리락 효과 발생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한국정보통신
(025770)
9,800원
(↑29.97%)
1
올 연말 국내 '애플페이' 본격 도입 전망 속 현대카드와 결제망 개발 논의 부각에 상한가
버킷스튜디오
(066410)
3,540원
(+26.20%)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및 이정재 제작 영화 '헌트' 예매율 1위 등극 소식 속 이정재 소속사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대성에너지
(117580)
13,450원
(+19.03%)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LNG) 비축량 부족 소식 등에 도시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스플로
(159010)
10,400원
(+16.59%)
사업 영역확대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대한그린파워
(060900)
881원
(+15.77%)
美 상원, 인플레 감축법안 통과 소식 등에 풍력/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한창
(005110)
1,255원
(+14.09%)
한창바이오텍,경영권 변경 등에 관한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동반 급등
에브리봇
(270660)
37,750원
(+12.69%)
美 아마존, 로봇업체 아이로봇 인수 소식에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삼영이엔씨
(065570)
7,540원
(+12.37%)
김진표 국회의장, 폴란드서 'K방산' 세일즈외교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성안
(011300)
1,185원
(+12.32%)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및 경영권 분쟁 소송 제기 속 급등
이루온
(065440)
2,930원
(+12.05%)
올 연말 국내'애플페이' 본격 도입 전망 속 NFC에 사용되는 무선통신 USIM칩 생산 부각에 급등
에코프로에이치엔
(383310)
61,600원
(+11.80%)
445.48억원 규모 DeNOx 시스템(SCR) 및 온실가스 저감 설비(RCS) 공급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HPSP
(403870)
61,300원
(+10.45%)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현대에너지솔루션
(322000)
58,600원
(+10.36%)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태양광 시장 성장세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에코캡
(128540)
7,920원
(+10.15%)
1,875.06억원규모 포드용 BDU부품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지에스이
(053050)
5,390원
(+10.11%)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LNG) 비축량 부족 소식 등에 도시가스 테마 상승 속 급등
SNT중공업
(003570)
9,120원
(+10.01%)
김진표 국회의장, 폴란드서 'K방산' 세일즈외교 소식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콘텐트리중앙
(036420)
40,550원
(+9.74%)
OTT 콘텐츠 수요 증가로 인한 콘텐츠 제작사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램테크놀러지
(171010)
7,770원
(+9.59%)
200억원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급등
동신건설
(025950)
23,050원
(+9.50%)
이재명 후보, 당대표 현실화 기대감에 정치/인맥(이재명) 테마 상승 속 급등
신세계 I&C
(035510)
15,700원
(+9.41%)
2분기 영업이익 호조 등에 급등
제노코
(361390)
26,800원
(+9.39%)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및 정부, 우주경제 로드맵 연내 발표 기대감 등에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영보화학
(014440)
4,300원
(+9.28%)
정부, 층간소음 대책 관련 지원 방안 추진 소식 속 층간소음완충재 제품 생산 사실 부각에 급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69,600원
(+9.09%)
우주항공산업/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한화디펜스 합병을 통한 지배구조 개편 기대감 등에 급등
'주식 시장 간단 브리핑 > 상승 종목&하락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10(수),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새빗켐, 지투파워, 금양, 태광, 대우부품..... (0) | 2022.08.11 |
---|---|
2022.08.09(화),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제노포커스, 화성밸브, 뉴보텍, 유니온머티리얼, 이루온..... (0) | 2022.08.09 |
2022.08.05(금),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이노시스, 캠시스, 셀리버리, 삼성제약, 에코프로... (0) | 2022.08.06 |
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08.01~08.05) (0) | 2022.08.06 |
2022.08.04(목),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알에프세미, 위메이드맥스, 코이즈, 한창바이오텍, 위메이드... (0) | 2022.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