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시장 간단 브리핑/상승 종목&하락종목

2022.08.01(월),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압티바이오, SDN, 유니온머티리얼, 로스웰, 스튜디오산타클로스...

by goodpoint77777 2022. 8. 2.
728x90
반응형

08-01-주식-코스피-코스닥

 


- 코스피시장 -

8/1 KOSPI 2,452.25(+0.03%) 美 빅테크 실적 호조(+), 외국인/개인 순매수(+), 무역수지 적자 지속(-), 기관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물가 지표 급등에도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실적 호조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44.05(-7.45P, -0.30%)로 하락 출발. 장초반 2,437.13(-14.37P, -0.59%)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하다 보합권에서등락을 거듭하는 모습. 오전 중 상승폭을 키워 2,461.40(+9.90P, +0.4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고, 2,460선 부근에서 상승 흐름을 이어감. 오후 들어 상승폭을 축소한 지수는 보합권에서 재차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2,452.25(+0.75P, +0.03%)로 장을 마감.

애플, 아마존 등美 주요 빅테크 기업 실적 호조 속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는 6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은 사흘째 순매수, 개인은 사흘만에 순매수 전환.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4,500계약 넘게 순매수. 지난 28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애플과 아마존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실적을 발표. 아마존은 2개 분기 연속 순손실을 기록했지만 매출과 가이던스는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으며, 애플은 주당순이익이 1.20달러를기록해 전년동기대비 8% 감소했지만 시장 예상치는 상회했음. 이에 지난 29일(현지시간) 아마존 주가는 10.36% 급등했으며, 애플은 3.28% 상승.

다만,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또 다시 4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급등세를 이어간 데다 인텔이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고 향후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한 여파 등에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이날 발표된 국내 무역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인 점도 부담으로 작용.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607억 달러, 수입은 653억7,000만 달러로 각각 전월대비 9.4%, 21.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음.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4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

이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4만4,689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287명, 사망자는 21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하락한 반면, 일본, 중국, 홍콩은 상승하는 등 대부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343억, 410억 순매수, 기관은 1,752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4,835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2,434계약, 2,648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9원 상승한 1,304.0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7.2bp 상승한 3.081%,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7bp 상승한 3.184%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5틱 내린 105.28로 마감. 금융투자가 10,440계약 순매도, 외국인, 은행, 투신, 연기금등은 4,983계약, 2,015계약, 1,464계약, 1,459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2틱 내린 115.28로 마감. 금융투자, 투신, 은행,연기금등이 3,835계약, 1,812계약, 1,386계약, 1,084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8,446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 신한지주(-1.82%), 셀트리온(-1.32%), 삼성물산(-1.24%), 카카오(-1.07%), KB금융(-1.03%), 기아(-0.99%), SK(-0.91%), POSCO홀딩스(-0.83%), SK하이닉스(-0.82%), SK이노베이션(-0.80%), 현대모비스(-0.66%), LG에너지솔루션(-0.59%), 삼성전자(-0.16%) 등이 하락. 반면, 삼성SDI(+2.46%), LG화학(+1.66%), 삼성바이오로직스(+1.50%) 등은 상승했고, NAVER, 현대차, LG전자는 보합.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우세. 섬유의복(+4.02%), 비금속광물(+1.35%), 화학(+0.85%), 건설업(+0.85%), 기계(+0.70%), 운수장비(+0.70%), 통신업(+0.66%), 의약품(+0.40%), 종이목재(+0.29%), 제조업(+0.24%), 철강금속(+0.12%)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음식료업(-1.19%), 전기가스업(-1.02%), 증권(-1.01%),보험(-0.90%), 의료정밀(-0.78%), 금융업(-0.77%), 유통업(-0.58%), 서비스업(-0.22%)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52.25P(+0.75P/+0.03%)



- 코스닥시장 -

8/1 KOSDAQ 807.61(+0.50%) 美 빅테크 실적 호조(+), 외국인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실적 호조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04.15(+0.53P, +0.07%)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하락 전환한 지수는 801.40(-2.22P, -0.28%)에서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재차 상승세로 돌아서는 모습. 점차 상승폭을 확대하던 지수는 오후 장중 808.96(+5.34P, +0.6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일부 상승폭을 축소해 결국 807.61(+3.99P, +0.50%)로 장을 마감.

지난 주말 애플, 아마존 등 주요 빅테크 기업 실적 호조속 나스닥지수가 2% 가까이 급등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지수는 5거래일 연속 상승. 외국인은 이틀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美 민주당, 그린부양안 합의 영향 지속 등에 2차전지,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관련주들이 강세를 이어감.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246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127억, 10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에스티팜(+8.75%), 에코프로비엠(+6.95%), 엘앤에프(+4.94%), 동진쎄미켐(+3.52%), 천보(+3.01%), 에코프로(+2.80%), 휴젤(+1.42%), 리노공업(+0.53%), 솔브레인(+0.39%) 등이 상승. 반면, 알테오젠(-3.53%), 스튜디오드래곤(-2.36%), 씨젠(-1.51%), HLB(-1.19%), 셀트리온제약(-1.18%), 펄어비스(-1.13%), 셀트리온헬스케어(-1.10%), JYP Ent.(-1.08%), CJ ENM(-0.98%), 위메이드(-0.67%) 등은 하락. 카카오게임즈는 보합.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 일반전기전자(+3.94%), 금속(+2.04%), IT 부품(+1.94%), 출판/매체복제(+1.92%), 화학(+1.61%), 정보기기(+1.13%), 기계/장비(+1.09%), 제조(+1.08%), 음식료/담배(+1.04%), 종이/목재(+0.97%), IT H/W(+0.63%), 건설(+0.56%) 업종 등이 상승. 반면, 디지털컨텐츠(-0.76%), 방송서비스(-0.68%), 통신방송서비스(-0.62%), 통신서비스(-0.49%), IT S/W & SVC(-0.48%), 오락/문화(-0.33%), 반도체(-0.33%) 업종 등은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07.61P(+3.99P/+0.50%)

반응형

테마시황

 

▷조선업 실적턴어라운드 임박 전망 등에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美 펠로시 대만 방문 예고 속 美/中 갈등 우려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초등학교 입학연령 하향 추진 소식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로봇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非아프리카 지역서 원숭이두창 사망자 발생 소식 등에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SK네트웍스, 전기차 충전사업 진출 소식 등에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美 기후법안 통과 예상에 따른 낙수효과 기대감 등에2차전지/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러시아, 라트비아향 천연가스 공급 중단 소식에 도시가스/LPG/셰일가스 테마 상승.

▷이 외에 화학섬유,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비철금속, 비료, 영화, 여행, 화장품, 육계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수입보험료 감소, 시중금리 상승 및 자산 시장 하락 여파 등에 따른 상반기 실적 부진 우려 등에 생명보험 테마 하락.

▷급격한 기준 금리 인상 속 이자 연체율 상승 등에 따른 실적 부진 우려 등에 은행 테마 소폭 하락.

▷비우호적 매크로 환경 등으로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및 급격한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평가손실 부담 지속 등에 증권 테마 하락.

▷이 외에 전자결제(전자화폐), 편의점, 골프, 면역항암제, 음원/음반, 정유, 창투사, 손해보험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조선/조선기자재

조선업 실적 턴어라운드 임박 전망 등에 상승

▷신영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 29일 잠정실적을 발표한 현대중공업 그룹 산하의 조선 사업회사들과 삼성중공업은 이번 2분기에도 모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힘. 다만, 손익계산서 수치에 영향을 준 요인은 크게 강재가격 상승과 러시아 프로젝트 차질때문이라고 설명. 재료가격 인상분은 보수적인 가정으로 반영해 시장가격의 추가 상승이 없다면 추가 충당금 설정은 제한적이고 현재 시장 재료가격은 하락중이라고 밝힘. 이어 러시아 프로젝트는 조선소에 현금 흐름 피해를 주지 않으므로 이에 내년부터 실적 영향 가능성은 없다고 밝힘.

▷국내 조선업체들이 주력으로 수주하는 선박의 선가는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한 가운데, 수주량 자체도 작년 들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해서 인도량이 올해 대비 내년에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 건조량 증가에 따른 고정비 커버 효과와 제품단가 상승에 따른 턴어라운드를 확인할 시간이 머지 않다는 점을 감안해야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테마 및 오리엔탈정공, HSD엔진, 성광벤드, 태광, 일승 등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美 펠로시 대만 방문 예고 속 美/中 갈등 우려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4일 대만 수도 타이베이를 방문해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회담을 가질 것으로 전해짐. 중국이 군사적 행동을 경고하면서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이 미중이 군사적으로 충돌하는 ‘3차 대만 해협’ 위기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중국은 실탄 사격 훈련에 이어 대만 방공식별구역 침범 등 무력시위에 나서고 있음.

▷한편,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시 강경 대응을 경고한 중국이 2일부터 6일까지 남중국해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예고한 것으로 전해짐. 시장에서 이는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견제하는 차원으로 해석되고 있음.

▷이와 관련 유니온머티리얼, 유니온, 동국알앤에스, 티플랙스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


교육/온라인 교육초등학교 입학연령 하향 추진 소식에 상승

▷지난 29일 교육부는 2025년부터 초등학교 입학 시점을 1년 앞당기는 내용 등이 포함된 새 정부 업무계획을 尹 대통령에게 보고했음. 이와 관련,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모든 아이의 첫걸음을 국가가 책임지고 뒷받침하기 위해 ‘유보 통합’(유치원과 보육기관 통합)과 학제 개편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해 나가겠다"고 언급.

▷구체적으로 교육부는 2025년부터 모든 아동이 1년 일찍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제 개편을 추진하며, 계획대로 정책이 시행될 시 현재 5세인 2018년생과 4세인 2019년생이 함께 초등학교에 입학하게 될 예정. 또한, 교사와 교실 확보 문제 등을 감안해 2025년에는 2019년생 중 1월1일~3월31일생만 조기 입학하며, 2026년에는 2019년 4월생부터 2020년 6월30일생이 입학 대상이 되는 등 입학 시기를 25%씩 차례로 앞당길 계획임.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메가엠디, 아이스크림에듀, 아이비김영, YBM넷, NE능률 등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가 상승.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로봇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현재 로봇 산업은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에서 타 산업에도 활용 가능한 협동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협동 로봇은 화학, 첨단 IT, 물류, F&B 등 고강도 작업과 섬세한 작업을 대신해줄 수 있는 산업으로 적용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의료, 헬스케어, 배달, 소셜 등 인력 문제 해결해 줄 수 있는 산업에 적용되기 시작했다고 밝힘.

▷아울러 로봇 시장은 이제 막 개화하기 시작한 산업이라며, 이에 따라 기업에 대한 순차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분석. 단기적으로는 로봇 부품을 자체적으로 생산 가능한 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중단기적 관점으로는 현재의 전통적 산업 현장의산업용 로봇을 대체하는 협동 로봇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

▷또한, 중장기적 관점에서 자율주행 기반 로봇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규제로 인해 시장 개화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물류와 배달 등에서 가장 주목받는 로봇으로 2021-2030년 CAGR 34.3%의 폭발적인 성장이 전망되는 시장이라고 밝힘.

▷이에 금일 레인보우로보틱스, 루닛, 러셀, 유일로보틱스, 로보스타, 로보티즈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원숭이두창非아프리카 지역서 원숭이두창 사망자 발생 소식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지난 29~30일(현지시간) 사이 유럽(스페인)과 남미(브라질) 지역에서 총 세 명의 원숭이두창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짐. 지금껏 원숭이두창으로 아프리카에서 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지만, 아프리카 이외 대륙에서 사망자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환자는 지난달 29일 기준 전 세계적으로 2만2,485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미국 확진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원숭이두창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뉴욕시는 지난 30일( 현지시간)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음.

▷이 같은 소식 속 미코바이오메드, 현대바이오, 진매트릭스, 제놀루션 등 원숭이두창 테마가 상승.


전기차(충전소/충전기)SK네트웍스, 전기차 충전사업 진출 소식 등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SK네트웍스가 전기차 충전 사업에 진출한다고 전해짐. SK네트웍스는 교통 솔루션 및 시스템 통합 사업을 하는 에스트래픽과 손잡고 합작법인을 설립해 전국에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알려짐. 합작사는이르면 8월 중 신규 투자액 및 지분율 조정을 마무리하고 하반기 본격적인 전기차 인프라 투자에 나서며, 이번 합작법인에는 홍콩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앵커에쿼티파트너스도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해 자금력을 보강하기로 했다고 전해짐.

▷특히, 전기차 충전 합작법인 설립은 SK네트웍스가 단독으로 투자를 주도하고 있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에스트래픽과의 합작법인 설립은 SK 네트웍스를 주축으로 전기차 인프라 구축과 투자, 기술 개발 등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에스트래픽, SK네트웍스, 아이엘사이언스, 휴맥스홀딩스, 윌링스 등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가 상승.


2차전지/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美 기후법안 통과 예상에 따른 낙수효과 기대감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이르면 8월 미국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법인세 최저한세 인상 등을 담은 패키지 법안인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 통과가 예상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법안이 통과되면 미 정부는 10년간 기후 변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를 위해 3,690억달러(약 481조원)의 예산을 집행하며,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배터리 제조·처리 업체 지원에약 600억달러를 쓸 예정임. 이에 시장에서는 법 시행 과정에서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관련 업체들이 상당한 낙수효과를 볼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특히, 법안 통과 후 세제 혜택이 2050년으로 연장되면 풍력 발전량은 이때까지 올해 대비 23.8% 증가할 전망이며, 전기차 매수자에게 7,500달러, 중고 전기차 매수자에게 4,000달러 규모의 세액공제를 지원한다는 내용이 법안에 담겨 2차전지 업체의 낙수효과도 기대되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피엔티, 대보마그네틱, 코스모화학 등 2차전지 테마와 SDN, 에스에너지, 신성이엔지 등태양광/풍력에너지 테마가 상승.


도시가스/LPG/셰일가스

러시아, 라트비아향 천연가스 공급 중단 소식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러시가 국영 가스기업 가즈프롬이 지난 30일(현지시간) 텔레그램을 통해 “라트비아에 대한 가스 공급을 끊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가즈프롬은 구체적인 이유는 언급하지 않은 채 “라트비아가 구매 조건을위반했다”고 언급. 시장에서는 가즈프롬의 이 같은 발표는 라트비아가 “가스 대금을 루블(러시아 통화)로 결제하라”는 러시아의 요구를 거부하고 유로화로 지불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다만, 라트비아 에너지 당국은 “라트비아는 내년 1월1일부터 러시아산 가스 수입을 금지하기로 이미 결정했기 때문에 가즈프롬의 이번 움직임은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SK가스, E1, SH에너지화학, 지에스이 등 도시가스/LPG(액화석유가스)/셰일가스(Shale Gas) 테마가 상승.

 

 

 


F&F
(383220)

160,000원
(+7.02%)

2분기 호실적에 강세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714.36억원(전년동기대비 +88.42%), 영업이익 949.61억원(전년동기대비 +119.83%), 순이익 692.46억원(전년동기대비 +118.04%).


대덕전자
(353200)

29,700원
(+4.39%)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2 영업이익은 599억원으로 수익성이높은 FC-BGA의 출하량 확대로 인해 컨센서스(577억원)를 3.9% 상회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FC-BGA의 마진은 20%가 넘는 것으로 파악되며, 2Q22 FC-BGA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27.3% 증가한 570억원이 예상.
▷또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통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기대되며, 주제품인 전장용 FC-BGA 기판의 구조적인 성장 전망 및 증설과 신규시장 진입으로 중장기 높은 성장 가시성 확보가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37,000원[신규]


크래프톤
(259960)

243,000원
(+4.07%)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 서비스 차단 속 수익성 개선 기회 분석에 상승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의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 서비스 차단에 대해 배틀그라운드: 뉴스테이트로의 이용자 전환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7월28일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가 앱스토어와 플레이스토어에서 삭제됐다며 정확한 사유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밝힘.
▷BGMI 금지 이후 뉴스테이트 인도 다운로드가 10배 이상 폭증하고 있으며, BGMI 금지 사태가 장기화 되어도 뉴스테이트로 이용자 전환이 이어지면서 매출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또한, 뉴스테이트로의 매출 대체 시나리오가 전개된다면 동사의 수익성에는 유리하게 작용한다며, 완전한 자체 개발인 뉴스테이트는 텐센트에 지급하는 수수료도 없기 때문이라고 밝힘.
▷한편, 현재 BGMI는 신규 다운로드는 불가능하나 기존 유저 대상 서비스는 유지 됨으로써 매출은 지속 발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10,000원[유지]


효성중공업
(298040)

61,600원
(+2.67%)

실적 정상화 확인 및 하반기 실적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지난 29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연결기준 매출액 9,268.34억원(전년동기대비 +31.35%), 영업이익 421.40억원(전년동기대비 +4.55%), 순이익 119.21억원(전년동기대비 -62.91%).
▷이와 관련, 하나증권은 2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에 부합했으며, 하반기에는 더 나아진 실적과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4,000원[유지]


제이에스코퍼레이션
(194370)

17,550원
(+2.63%)

2분기 실적 호조에 소폭 상승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641.60억원(전년동기대비 +28.08%), 영업이익 227.86억원(전년동기대비 +109.87%), 순이익 197.31억원(전년동기대비 +264.78%).


두산퓨얼셀
(336260)

33,750원
(+2.58%)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및 신사업 확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741억원(YoY +33.4%), 영업이익은 8억원(YoY -22.7%)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다고 언급. 또한, 연료전지 제품 Mix가 개선되었고 일회성 비용이 감소하면서 전분기대비 실적이 개선되었다고 덧붙임.
▷아울러 2분기에 국내 수주가 재개되었고 중국향 수주가 추가로 이뤄지며 잔고가 증가하는 흐름에 있는 점과 Tri-gen, 육상 모빌리티, 선박용 연료전지까지 시장을 확장 진출하려는 시도가 확인되고 있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삼성SDI
(006400)

583,000원
(+2.46%)

2분기 실적 호조 및 하반기 실적 개선세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이 4,290억원(전분기대비 +33%, 전년동기대비 +45%)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밝힘. 전지가 메탈 원소재 가격 상승분을 판가에 반영하며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했고, 전자재료는 OLED 소재를 앞세워 깜짝 수익성을 달성했다고 밝힘.
▷아울러 하반기 자동차전지가 차랑용 반도체 수급 이슈 완화, Gen5 배터리 비중 확대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이익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밝힘. 이에 3분기와 4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4,631억원(전년동기대비 +24%), 4,814억원(전년동기대비 +81%)을 기록해 우상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00,000원[유지]
▷한편, 동사는 지난 29일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74조원(전년동기대비 +42.18%), 영업이익 4,290.28억원(전년동기대비 +45.33%), 순이익 4,092.33억원(전년동기대비 +41.93%).


LG화학
(051910)

613,000원
(+1.66%)

美 FDA에 통풍 신약 임상 3상 시험 신청에 소폭 상승

▷통풍치료제 Tigulixostat (LC350189)의 미국 임상 3상( 연구 과제명 'EURELIA 1 Study') 시험 계획 신청 공시. 이번 임상은 티굴릭소스타트를 위약(가짜약)과 비교하는 시험으로, 동사는 미국을 포함한 다국가 지역의 고요산혈증 동반 성인 통풍 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계획임.
▷이와 관련, 동사는언론을 통해 임상을 거쳐 2027년 미국 FDA로부터 티굴릭소스타트를 1차 치료제로 품목허가를 받고, 2028년부터 글로벌 판매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힘. 이어 티굴릭소스타트 글로벌 3상은 LG화학의 신약 임상, 허가, 생산, 판매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경쟁력 확보 가능한 임상 전략 및 선제 상업화 준비를 통해 통풍 치료제 시장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언급.


수산인더스트리
(126720)

32,500원
(-1.52%)

신규상장 첫날 소폭 하락

▷금일 코스피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35,000원을 하회한 33,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소폭 하락 마감. 한편, 동사는 수산그룹 계열의 발전설비 대상 정비사업 영위 업체로 발전설비를 대상으로 정비용역을 제공하고 있으며, 크게 원자력, 화력(석탄, 복합, 열병합), 신재생(바이오매스, 연료전지, 양수, 태양광 발전소) 및 기타 사업 등을 영위.


효성화학
(298000)

181,000원
(-1.90%)

2분기 적자전환에 소폭 하락

▷지난 29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663.90억원(전년동기대비 +23.77%), 영업손실 680.81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876.9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신한금융투자는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은 -681억원(적자지속, 이하 QoQ)으로 컨센서스 -189억원을 대폭 하회했다며, 베트남 PP/DH는 정기보수에 따른 판매량 감소 및 PP 스프레드 하락으로 적자 추세가 지속됐다고 밝힘. 다만, 전사 재고자산평가손실 425억원(베트남 354억원 등)을 감안할 경우실질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개선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50,000원[유지]


코오롱글로벌
(003070)

18,950원
(-3.32%)

1,674.08억원 규모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수주계약 해지에 하락

▷지난 29일 장 마감 후 뉴타운맨션 삼호아파트지구 주택재건축 정비사업 조합과 체결한 1,674.0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58%) 규모 공급계약(뉴타운맨션삼호아파트지구 주택재건축정비사업) 해지(계약기간:2018-08-31 ~ ) 공시.


한화생명
(088350)

2,215원
(-3.90%)

2분기 실적 부진 등에 하락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2 별도 당기순이익은 559억원(-1% YoY, +10% QoQ)으로 컨센서스에는 부합(-3%)했으나 당사 추정치를 28% 하회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예상 이상의 비용과 크게 부진한 이차손익이 나타났으며 특이요인으로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익 1,080억원, 변액보증 이익(준비금+헷지) 150억원, 손상차손 1,700억원 등이 반영됐다고 언급.
▷아울러 IFRS17에서의 증익을 반영하기에 아직 예측 가능성이 부족한 가운데, 현 기준의 실적 추정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200원 → 3,000원[하향]


효성티앤씨
(298020)

316,000원
(-8.27%)

2분기 실적 부진에 급락

▷지난 29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56조원(전년동기대비 +19.68%), 영업이익 874.49억원(전년동기대비 -77.40%), 순이익 428.63억원(전년동기대비 -85.69%).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은 875억원(-54%, 이하 QoQ)으로 컨센서스 1,772억원을 대폭 하회했다고 밝힘. 스판덱스/PTMG 영업이익이 586억원(-64%)으로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던 가운데, 신규 공장 가동에도 중국 락다운에 따른 판매량 감소와 스판덱스 업황 부진이 심화되며 스프레드가 큰 폭으로 하락(-28%)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60,000원[유지]

 

 

 


특징 종목 이 슈 요 약
로스웰
(900260)

366원
(+16.19%)
자회사 강소로스웰전기유한회사, 289.26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자회사 강소로스웰전기유한회사가 중흥통신(ZTE통신)과 289.26억원(최근 매출액대비 98.2%) 규모 공급계약(ZTE통신 향 가정용 통신정보 스마트 단말 제품 공급(제2차)) 체결(계약기간:2022-08-01~2022-12-31) 공시.
엠투엔
(033310)

9,100원
(+8.85%)
신라젠, 거래재개 가능성 속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거래소 내부에선 신라젠 거래재개와 관련해서 '7대3'으로 신라젠이 거래재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거래소 관계자는 "신라젠이 어떤 개선계획 이행 내역서를 제출하는가에 따라 달렸다"면서도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1심격인 기업심사위원회(기심위)가 상폐 결정을 한 것과 달리, 2심 격인 코스닥시장위원회(시장위)가 다시 개선 기간 6개월을 부여한 것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어 "시장위가 6개월이란 짧은 개선기간을 부여한 것은 신라젠이 향후 개선할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의미"로 "조심스럽게 신라젠의 거래재개 가능성을 내다보고 있다"며 "개인적으로신라젠의 최대주주가 변경됨과 동시에 대규모 자금이 수혈된 만큼 가장 큰 산은 넘은 것으로 본다"고 언급. 한편, 신라젠의 상장유지를 위한최종 개선기간은 8월18일까지로 이후 서류 제출 및 상장폐지 여부를 심의받게 되며, 늦어도 10월 12일까지는 상폐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신라젠의 최대주주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에스티팜
(237690)

98,200원
(+8.75%)
올리고 제조소, 美 FDA cGMP 인증 획득 소식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아시아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올리고 제조소 cGMP(우수의약품품질관리기준)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힘. PAI 실사는 신약 허가 및 원료의약품 공급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로, 실사 결과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고 보정 자료 제출이 필요 없는 무결점(NAI, No Action Indicated) 등급을 받았다고 언급.이에 지금까지 미국 시장에 임상용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 수출만 가능했는데, 이번 FDA cGMP 승인 획득에 따라 미국 시장에 대규모 상업화 물량 수출까지 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승인으로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 올리고 원료를 대규모로 수출할 수 있어 올리고 프로젝트 수주 확대가 예상되며 mRNA CDMO 등 에스티팜의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에스피지
(058610)

15,850원
(+7.82%)
로봇용 감속기 국산화 수요 따른 수혜 전망 등에 강세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019년 일본 업체들이 독과점하는 로봇용 정밀감속기 양산을 시작으로 부품 국산화의 직접적 수혜가 전망되며, 국내 대기업 계열사와의 로봇 감속기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어 납품 계약이 늘 것으로 전망. 이어 북미 수출 확대 및 선별적 수주를 통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올해 실적은 매출액 4,627억원(+11.1%, YoY), 영업이익 324억원(+37.8%,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올해 1분기부터 작년 원재료 상승분에 따른 제품판가 인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전방 고객사의 산업 자동화 설비 투자 확대에 맞춰 수익성이 높은 산업용 모터의 매출 확대가 예상되고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미국 내 고부가가치 산업용 모터의 신규 고객사 확보가 전망되며, 국내 주요 로봇 기업향 정밀감속기 테스트를 진행중으로 향후 유의미한 턴키 공급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20,000원[신규]
디티앤씨
(187220)

5,650원
(+7.41%)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선정 소식에 강세
▷중소벤처기업부는 전일 투자형 기술개발(R&D)전용트랙인 스케일업 팁스(TIPS) 운영사에 동사 및 자회사 디티앤인베스트먼트를 포함한 컨소시엄 등이 선정됐다고 밝힘. 스케일업 팁스란 민간 운영사(연구개발전문회사, 벤처캐피털 컨소시엄)가 스케일업 단계 유망 중소벤처를 발굴해 선투자하면, 이후 정부가 매칭해 지분투자와 출연 연구·개발(R&D)을 병행 지원하는 제도라고 언급. 자회사 디티앤인베스트먼트는 투자부문을 맡게 되며, 디티앤씨 등은 R&D 부문을 주관하게 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김대희 디티앤인베 부사장은 “최근 가속화하는 경기 침체 속에서도 적극적인 투자와 유망 테크펌 발굴과육성이 이 시기를 선제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법”라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현 사회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적극적인 투자 행보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힘.
제이스텍
(090470)

6,350원
(+5.83%)
상아피에스 인수 결정 속 상승
▷이차전지사업분야 기술적, 사업적 제휴 목적으로 주식회사 상아피에스(대한민국) 주식 16,058주를 13.99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51.0%, 취득예정일:2022-08-01) 공시.
러셀
(217500)

3,880원
(+5.72%)
올해 실적 호조 및 로봇 사업 가치 부각 분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 792억원(전년대비 +32.5%), 영업이익 84억원(전년대비 +40.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키파운드리 향 수주가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며, 전방산업의 스마트팩토리 투자 확대에 따른 자체 개발 물류 로봇(AGV) 도입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 동사를 로봇 산업내 관심종목으로 제시한다며 이는 자체 개발한 물류 로봇(AGV), SW(ACS, AGV Control System)에 대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CJ그룹의 지분투자를 받았으며, 반도체, 자동차, 음식료 등 주 고객사향 누적 300대 이상 국내 최다 납품 실적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힘.
KT서브마린
(060370)

6,850원
(+5.38%)
최대주주 KT, LS전선과 동사 매각 추진 소식에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대주주 KT는 LS전선과 동사매각을 두고 오랜 기간 논의를 진행해 왔으며, 최근 협상이 막바지에 다다른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양측은 현재 인수가를 조율하고 있으며 빠른 시일 내에 계약이 완료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LS전선이 KT서브마린을 인수하면 KT 입장에서는 디지코 중심의계열사 재편, LS전선 입장에서는 해저케이블 역량 강화라는 시너지가 있다"고 밝힘.
태광
(023160)

13,700원
(+4.98%)
실적 턴어라운드 가속화 전망 등에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카타르 LNG 프로젝트 등 에너지 인프라관련 투자로 인한 수주증가 및 가격상승 효과로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 특히, 올해 1분기에도 신규수주 539억원을 기록함에 따라 향후 추세적인 회복세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올해 신규수주의 경우 2,500억원 이상으로 예상되면서 향후 실적 향상에 기여를 할 것으로 분석.
▷한편, 지난해부터 저가 수주를 지양하는 대신 수익성 위주의 수주 전략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피팅 수요 증가로 인하여 가격 협상력이 강화되면서 향후 수익성이 개선되는 발판이 마련될 것이며, 2분기 K-IFRS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액 533 억원(YoY +12.9%), 영업이익 71억원(YoY +97.2%)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27,850원
(+4.90%)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 131억원(전년대비 +45.6%), 영업이익 17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동사는 올해 1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하면서 연간 안정적인 흑자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고 밝힘.
▷내년은 본격적인 실적 성장 궤도에 오를 것이라며 매출액 258억원(전년대비 +96.9%), 영업이익 59억원(전년대비 +247.1%)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핵심 부품 내재화를 통한 가격 경쟁력으로 북미 및 유럽 시장 진출, 공장 확장 이전으로 협동 로봇 Capa 증가, 4족보행 및 음료 로봇 관련 매출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5,550원[유지]
아이엘사이언스
(307180)

3,845원
(+4.63%)
기술신용평가 T-2 최우수 등급 획득 소식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한국신용정보 NICE의 기술신용평가에서 최우수 등급 중 하나인 T-2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힘. T-2 등급은 총 10등급 중 상위 2단계에 해당하는 사실상 중소기업이 취득할 수 있는 최고 기술 등급으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조건에 해당할 만큼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기업에만 부여되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동사 관계자는 "미래형 자동차에 들어가는 전장조명은 스마트 기술이 필수인데 신기술인증(NET)을 받은 실리콘 광학렌즈가 최적의 소재"라며"20년말 협력사로 등록한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국내 유수 전장업체와 실리콘 광학렌즈를 적용하기 위한 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힘. 이어 " 공신력 있는 평가기관에서 동사의 기술력이 최우수 등급으로 인정받았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R&D 투자와 기술인력 확충을 통해 미래성장동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임.
삼강엠앤티
(100090)

24,000원
(+3.90%)
SK에코플랜트의 인수 효과 발생 기대감 등에 상승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신임 이사 선임을 위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하는데 이는 SK에코플랜트 임직원이 동사 이사회 등재로 경영을 시작하기 위해서라며, 경영권에 대한 인수가 투자자에게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SK에코플랜트가 투자한 자금으로 50만평(165만2,892㎡)의 글로벌 최대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조단지를 신설하기 때문이라고 설명.
▷이어 올 하반기 공사가 시작되면 오는 2024년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완공되고 2025년 하반기부터 완전가동이 가능할 예정이며 신공장에서 달성 가능한 연간 최대 매출액은 약 3조원으로 유럽의 글로벌 부유식 해상풍력 엔지니어링업체에서 협업하자는 제안을 받은것으로 컨퍼런스콜에서 확인했다고 밝힘. 또한, 대만 하이롱 프로젝트의 하부구조물 계약이 마지막 단계에 돌입했으며, 원재료 조달, 납기,환율 등 대부분의 조건들의 합의가 이루어져 이번 달 내로 계약이 확정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0,000원[유지]
에이치앤비디자인
(227100)

6,580원
(+3.79%)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및 대한종건 주식 양수 등에 상승
▷지난 29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살루타리스1호투자조합이 (주)미디어팝, (주)유운홀딩스에 보유주식 717,876주를 120.0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1-07-29) 공시.
▷아울러 최대주주가 이정옥 외 2인으로 변경 공시. 이와 관련, 양도인살루타리스1호투자조합과 양수인 (주)미디어팝, (주)유운홀딩스간에 주식양수도계약이 체결되었으나, 변경 후 최대주주는 변경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이었던 이정옥이 최대주주로 변경되었다고 밝힘.
▷금일 사업다각화 등의 경영상의 목적으로 주식회사 대한종건 주식 2,400,000주를 200억원에 신규로 양수하기로 결정(양수후지분율:100%, 양수예정일:2022-08-31) 공시.
심텍
(222800)

41,800원
(+3.21%)
2분기 호실적 등에 상승
▷지난 29일 장 마감 후 2분기 실적 발표. 22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774.37억원(전년동기대비 +47.03%), 영업이익 1,147.11억원(전년동기대비 +267.49%), 순이익 847.67억원(전년동기대비 +394.96%).
▷아울러 연초의 '22 년 실적전망치 대비 상반기 실적 초과달성 및 하반기 추가성장 분을 반영하여 영업실적 전망치 상향 조정 한다고 밝힘. 이에 연결기준 올해매출액 및 영업이익을 기존 1조6,522억원, 3,030억원에서 1조8,764억원, 4,456억원으로 각각 상향 조정한다고 정정공시.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우호적인 환율 속에서 고부가가치 패키지기판 중심으로 믹스가 개선되며 Blended ASP가 상승함에 따라 2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고분석. 또한, PC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DDR5향 공급이 본격화됨에 따라 PC향 모듈 PCB 매출액이 전분기대비 27% 증가했다고 밝힘. 한편, 올해 기준 PER 4.14배로 저평가 구간에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84,000원[유지]
▷이에 금일 동사의 주가가상승했으며, 최대주주인 심텍홀딩스도 급등.
시티랩스
(139050)

619원
(+3.17%)
안양시 ITS 구축사업 착수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안양시 지능형교통체계(ITS) 확대 구축사업을 수주,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밝힘. 이번 사업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교차로 구축,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 마련, 2009년 구축된 ITS 시스템 고도화, 스마트 스쿨존 시스템, 스마트 주차 등 통합 주차관제 플랫폼 개발 등을 통해 안양시의 미래 첨단교통 경쟁력 구축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라고 언급.
▷한편, 앞서 서울청 국도 ITS 운영관리 사업도 단일 사업자로 수주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연이은 ITS 사업 수주 배경에 대해 그간 국내 유수 공공사업(SOC)을 통해 업력을 쌓아온 통합 교통상황 관제 사업과 밀접한 연계점을 가진다고 밝힘. 또한, 최근 수년간 자체적으로 연구개발에 투자해 온 4차 산업 스마트시티 기술들을 요하고 있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조영중 대표이사는 “기존 SOC 부문에서 특히 강점을 가져왔던 교통관제 산업이 ITS로 연계 확장되면서 오랜기간 축적된 풍부한사업 진행 경험과 각종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서 검증해 온 기술력들이 좋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며 “국내 노후 교통관제 부문은 지난 수년간 검토기간을 거쳐 디지털 전환기를 본격적으로 맞이하고 있는 만큼, 하반기 역시 그간 확보해 온 기술경쟁력들을 토대로 수주사업 확대에 집중해 갈 계획”이라고 밝힘.
뉴프렉스
(085670)

5,280원
(+2.92%)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2,592억원(+51.0% YoY), 영업이익은 216억원(+1308.6% YoY)을 기록해 2018년 당시 최대 실적을 경신할 것으로 전망. 이는 수익성 악화에 따른 업계 재편으로 지속적인 물량 확대가 예상되며, 베트남 법인으로 생산시설을 이관함에 따라 점진적인 수익성 개선 효과가 예상되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는 스마트폰 시장이 구조적인 침체기에 진입함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2020 년도에 MH 사업부를 신설, VR/AR 기기용 FPCB, 전기차 배터리용 FPCB 생산 등 사업 다각화를 시도해 왔으며, 이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가 올해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신규],목표주가 : 7,000원[신규]
나인테크
(267320)

3,965원
(+2.59%)
LG전자와 203.85억원 규모 이차전지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LG전자 주식회사와 각각 41.25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54%) 규모 및 162.6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5.78%) 규모, 총 2건의 이차전지 제조장비 공급계약체결 공시.
루닛
(328130)

38,950원
(+2.23%)
비인두암 환자 병용요법서 AI 치료효과 확인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은비인두암(Nasopharyngeal Cancer) 환자에게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적용한 결과 유의미한 임상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힘. 이번 연구는 국내 8개 병원 비인두암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면역항암제인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와 기존 항암제 젬시타빈(Gemcitabine) 의 병용요법 임상 2상을 통해 진행됐으며, 그 결과 약물 투약 후 종양 크기 감소 정도를 나타내는 '객관적 반응률(ORR)'은 36.1%를 기록했고종양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지 않고 환자가 생존한 기간을 뜻하는 '무진행생존기간(mPFS)'은 13.8개월로 나타나 연구의 1차 목표를 충족시킨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인두암에서 니볼루맙과 젬시타빈 병용 요법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등 유의미한 임상적 결과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발행하는 종양학 분야 주요 국제학술지인 클리니컬 캔서 리서치에 온라인 게재된 것으로 전해짐.
크리스탈지노믹스
(083790)

4,030원
(-3.82%)
57.07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속 하락
▷지난 29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금호에이치티 대상 1,500,000주(57.07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805원, 상장예정:2022-08-25) 공시.
CBI
(013720)

2,075원
(-16.50%)
주당 3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속 급락
▷지난 29일 장 마감 후 보통주 1주당 3주(신주수:201,421,626주), 기타주 1주당 3주(신주수:19,741,81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2-08-16, 상장예정:2022-09-06) 공시.
▷동사는 이날 정정 공시를 통해 "무상증자의 신주배정방법에 대해 7월29일 현재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에게 신주를 배정한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는 배정기준일을 잘못기재한 것"이라며, "2022년8월16일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에 대해 신주를 배정한다"고 밝힘.

 

 

 






 

압타바이오
(293780)

25,950원
(+17.95%)
당뇨병성 신증 치료제 'APX-115' 임상 2상서 통계적 유효성 입증 모멘텀 지속에 급등


SDN
(099220)

3,155원
(+17.29%)
美 기후법안 통과 예상에 따른 낙수효과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2,995원
(+16.31%)
美 펠로시 대만 방문 예고 속 美/中 갈등 우려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로스웰
(900260)

366원
(+16.19%)
자회사 강소로스웰전기유한회사, 289.26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스튜디오산타클로스
(204630)

12,000원
(+12.15%)
넷플릭스 '카터' 흥행 기대감 속 영화배우 '주원' 소속사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금양
(001570)

9,560원
(+11.94%)

2차전지 테마 상승, 올해 호실적 전망 및 내년 구조적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심텍홀딩스
(036710)

4,450원
(+11.81%)

자회사 심텍, 2분기 호실적에 급등


케이사인
(192250)

2,025원
(+11.26%)

금융위 금산분리 규제 개선 논의에 따른 삼성은행 출범 기대감 속 DB암호화 제품 삼성 표준화 제품 선정 사실 부각에 급등


오리엔탈정공
(014940)

3,165원
(+10.28%)

조선업실적 턴어라운드 임박 전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일승
(333430)

3,725원
(+10.21%)

조선업 실적 턴어라운드 임박 전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지오엘리먼트
(311320)

21,150원
(+9.30%)

반도체EUV공정 확대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에스에너지
(095910)

4,815원
(+8.94%)

美 기후법안 통과 예상에 따른 낙수효과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엠투엔
(033310)

9,100원
(+8.85%)

라젠, 거래재개 가능성 속 급등


메가엠디
(133750)

3,515원
(+8.82%)

초등학교 입학연령 하향 추진 소식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스티팜
(237690)

98,200원
(+8.75%)

올리고 제조소, 美 FDA cGMP 인증 획득 소식 등에 급등


NE능률
(053290)

6,450원
(+8.59%)

초등학교 입학연령 하향 추진 소식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HSD엔진
(082740)

9,590원
(+8.24%)

조선기자재 및 LNG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중공업
(329180)

135,000원
(+8.00%)

조선업실적 턴어라운드 임박 전망 등에 조선 테마 상승 속 급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