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테마 스케쥴

2022.03.18(금), 신규상장(유일로보틱스),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예정, 국내 면세점 구매 한도 폐지 예정, 삼성전자,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 사전판매 개시 예정

by goodpoint77777 2022. 3. 18.
728x90
반응형

금요일-0318

 

3월 18일 금요일


1. 유일로보틱스 신규상장 예정

시장구분   코스닥 종목코드   388720
업종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대표자   김동헌 기업구분   중소일반
총공모주식수   2,150,000 주 액면가   500 원
상장공모   신주모집 : 2,150,000 주 (100%) 
희망공모가액   7,600 ~ 9,200 원 청약경쟁률   2535.3:1 (비례 5071:1)
확정공모가   10,000  공모금액   21,500 (백만원)
주간사   한국투자증권 주식수: 537,500~645,000 주   /   청약한도: 16,000~20,000 주
수요예측일   2022.02.24  ~   2022.02.25
공모청약일   2022.03.07  ~   2022.03.08
배정공고일(신문)   2022.03.11 (주간사 홈페이지 참조)
납입일   2022.03.11
환불일   2022.03.11
상장일   2022.03.18

- 당사는 직교로봇, 협동로봇, 다관절로봇 등 산업용 로봇과 스마트기기로 구성한 자동화시스템을 주요 제품으로 개발 및 생산, 사출산업 및 전 산업 분야의 제조자동화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

 

 

2022년 3월 공모주 달력(11종목), 2월 공모주 종목 정리

2022년 3월 공모주 달력입니다. 글 순서는 먼저 3월 공모주 이후 2월 공모주 종목 정리 이어가겠습니다. (당월 공모주 글쓰기를 하면서, 전월 공모주를 다시 살펴보게 되는 것은, 글쓰기 할 시점의

goodp7.tistory.com

 

 



2. 美) 2월 기존주택판매(현지시간)


3. 美)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현지시간)


4.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미셸 보우만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5. 영국, 입국 규제 해제 예정(현지시간)


6. 한-UAE 국방장관 회담


7.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예정


8. 국내 면세점 구매 한도 폐지 예정


9. 거래소, "스톡옵션 처분 제한" 상장 규정 개정안 시행 예정


10.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노동조합과 임금 교섭 예정


11. 삼성전자,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 사전판매 개시 예정


12. 스트레이키즈 컴백 예정


13. 국고채 50년물 입찰 예정


14. 3월 최근 경제동향



15. 루트로닉 추가상장(주식전환)



16. 시스웍 추가상장(BW행사)



17.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18. 엔케이맥스 추가상장(CB전환)


19. 대유 추가상장(CB전환)


20. 호전실업 추가상장(CB전환)


21. 삼강엠앤티 추가상장(CB전환)


22. 파크시스템스 추가상장(CB전환)


23. SGA솔루션즈 추가상장(CB전환)


24. CBI 추가상장(CB전환)


25. 엔투텍 추가상장(CB전환)


26. 이더블유케이 추가상장(CB전환)


27. 모베이스전자 추가상장(CB전환)


28. 국보 추가상장(CB전환)



29. 코스나인 보호예수 해제


30.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보호예수 해제



31. 美) 2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32.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33. 유로존) 4분기 노동비용지수(현지시간)


34. 유로존) 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35.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2일차


36. 日) 1월 3차산업지수


37. 日)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3월 18일 금요일


1. 유일로보틱스 신규상장 예정
2. 美) 2월 기존주택판매(현지시간)
3. 美)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현지시간)
4.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미셸 보우만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5. 영국, 입국 규제 해제 예정(현지시간)
6. 한-UAE 국방장관 회담
7.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예정
8. 국내 면세점 구매 한도 폐지 예정
9. 거래소, "스톡옵션 처분 제한" 상장 규정 개정안 시행 예정
10.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노동조합과 임금 교섭 예정
11. 삼성전자, 갤럭시 북2 프로 시리즈 사전판매 개시 예정
12. 스트레이키즈 컴백 예정
13. 국고채 50년물 입찰 예정
14. 3월 최근 경제동향
15. 루트로닉 추가상장(주식전환)
16. 시스웍 추가상장(BW행사)
17. 엔에스엔 추가상장(CB전환)
18. 엔케이맥스 추가상장(CB전환)
19. 대유 추가상장(CB전환)
20. 호전실업 추가상장(CB전환)
21. 삼강엠앤티 추가상장(CB전환)
22. 파크시스템스 추가상장(CB전환)
23. SGA솔루션즈 추가상장(CB전환)
24. CBI 추가상장(CB전환)
25. 엔투텍 추가상장(CB전환)
26. 이더블유케이 추가상장(CB전환)
27. 모베이스전자 추가상장(CB전환)
28. 국보 추가상장(CB전환)
29. 코스나인 보호예수 해제
30.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보호예수 해제
31. 美) 2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32. 美) 주간 원유 채굴장비 수(현지시간)
33. 유로존) 4분기 노동비용지수(현지시간)
34. 유로존) 1월 무역수지(현지시간)
35.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2일차
36. 日) 1월 3차산업지수
37. 日)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코스피시장 -

3/17 KOSPI 2,694.51(+1.33%) Fed 금리인상 속 경제 전망 안도감 및 美 증시 상승(+),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3년 만의 금리 인상 속 파월 의장 낙관적 경제 전망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703.27(+44.04P, +1.66%)로 강세 출발. 오전중 2,714.00(+54.77P, +2.0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오후에도 2,700선 위에서 양호한 흐름을 지속.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소폭 반납한 끝에 결국 장중 저점인 2,694.51(+35.28P, +1.33%)에서 거래를 마감.

Fed 기준금리 인상 속 파월 의장 발언 안도감 등에 美 증시가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났고, 원/달러 환율이 20원 넘게 급락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면서 코스피지수는 이틀째 상승. 외국인은 9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 나흘 연속 순매수를 기록. 러시아-우크라이나 회담 진전 기대감, 중국 정부의 1분기 경기 진작 및 자본시장 안정 유지 입장 제시, 중국/홍콩 상승 지속 등도 증시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밤 FOMC에서 Fed는 3년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 Fed는 연방기금금리의 목표 범위를 0.25%~0.5%로 25bp 인상. 투표권을 가진 9명 가운데 8명이 찬성했고,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50bp 인상을 주장. 점도표에 따르면, 연말 금리 수준이 1.87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이는 남은 6번의 회의에서 모두 한 차례씩 금리가 인상될 것을 시사.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경제는 여전히 강하다"며, "내년 경기 침체 가능성이 낮다"고 언급. 다만,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의 위험에 유의하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긴축정책의 속도(금리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발언. 대차대조표 축소에 대해서는 연준이 이르면 5월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힘.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62만1,328명으로 폭증세를 기록. 사망자도 429명으로 역대 최다, 위중증은 1,159명을 기록.

중국, 홍콩,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일제히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637억, 2,499억 순매수, 개인은 6,94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728계약, 677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975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1.4원 급락한 1,214.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5.1bp 하락한 2.217%, 10년물은 전일대비 6.4bp 하락한 2.704%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8틱 오른 107.61 마감. 금융투자, 외국인이 각각 1,989계약, 942계약 순매수, 자산운용, 연기금 등은 각각 1,600계약, 1,232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79틱 오른 119.63 마감. 외국인이 5,577계약 순매수, 금융투자와 자산운용은 각각 3,124계약, 1,129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SK하이닉스(+6.44%), LG화학(+6.33%), NAVER(+4.24%), LG에너지솔루션(+3.44%), 셀트리온(+2.49%), 카카오(+2.40%), 삼성SDI(+2.01%), KB금융(+1.76%), 삼성전자(+1.14%), 신한지주(+1.06%), SK이노베이션(+1.01%), 현대모비스(+0.96%), LG전자(+0.80%) 등이 상승.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1.33%), 카카오뱅크(-0.95%)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비금속광물(+3.01%), 증권(+2.37%), 전기/전자(+2.16%), 화학(+2.06%), 서비스(+1.93%), 제조(+1.59%), 음식료(+1.41%), 섬유/의복(+1.16%), 보험(+1.01%), 금융(+0.87%) 등이 상승. 반면, 전기가스(-1.62%), 건설(-1.46%), 통신(-1.42%), 은행(-0.60%)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694.51P(+35.28P/+1.33%)

 

반응형

- 코스닥시장 -

3/17 KOSDAQ 914.13(+2.50%) Fed 금리인상 속 경제 전망 안도감 및 美 증시 상승(+),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3년 만의 금리 인상 속 파월 의장 낙관적 경제 전망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03.75(+11.95P, +1.34%)로 강세 출발.시가를 저점으로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 오후 들어서도 상승폭을 지속적으로 키웠고, 장 후반 916.22(+24.42P, +2.74%)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끝에 결국 914.13(+22.33P, +2.50%)에서 거래를 마감.

Fed가 3년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파월 의장 낙관적 경제전망 등으로 나스닥지수가 지난밤 4% 가까이 급등하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났음. 외국인과 기관이 이틀 연속 순매수하면서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회담 진전 기대감 및 중국/홍콩 증시 상승세 지속 등도 증시 전반에 호재로 작용.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283억, 2,605억 순매수, 개인은 5,022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에스티팜(+10.97%), 천보(+8.77%), 엘앤에프(+7.57%), 셀트리온제약(+6.97%), 아프리카TV(+6.17%), 위메이드(+5.69%), 에코프로비엠(+5.57%), HLB(+5.26%), 셀트리온헬스케어(+4.76%), LX세미콘(+4.52%) 등이 상승. 반면, 스튜디오드래곤(-2.08%), JYP Ent.(-1.69%), 리노공업(-1.21%), CJ ENM(-0.69%)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종이/목재(+4.19%), IT부품(+3.92%), 디지털컨텐츠(+3.73%), 화학(+3.42%), 일반전기전자(+3.26%), IT S/W & SVC(+3.15%), IT H/W(+3.01%), 제약(+2.87%), 운송장비/부품(+2.83%), 반도체(+2.74%), 유통(+2.74%), 소프트웨어(+2.64%) 등이 상승. 반면, 방송서비스(-0.76%), 통신방송서비스(-0.29%)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14.13P(+22.33P/+2.50%)


테마시황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및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과대 반영 분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국내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60만명돌파 소식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재택근무/스마트워크, U-Healthcare(원격진료) 등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삼성전자, 메타버스·로봇 신사업 육성 소식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메타버스 테마 상승.

▷美 Fed, 3년 만의 기준금리 인상에 은행/생명/손해보험 등 금융 테마 상승.

▷FOMC 불확실성 해소 속 美 나스닥 급등 등에 인터넷 대표주 상승.

▷美 금리인상 불확실성해소 및 우크라이나 협상 진전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지난해 삼성전자, 폴더블폰 점유율 88% 기록 소식에 폴더블폰 테마상승.

▷삼성전자 갤럭시 A 언팩 기대감 속 갤럭시 부품주/스마트폰 테마 상승.

▷美 금리인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가상화폐 가격 강세 속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이 외 탄소나노튜브(CNT), AR/VR, NI(네트워크통합), 캐릭터상품, 영화, 사물인터넷, NFT, 게임/모바일게임, 스마트팩토리, 키오스크, 웹툰, OLED 등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공정위, 12년간 닭고기 가격 담합 적발 소식에 일부 육계 테마 하락.

▷이 외 통신, 편의점, 건설 대표주, 여행, 테마파크, 육계, 요소수 관련주, 조선, 홈쇼핑, 비료,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도시가스, 백화점, 원자력발전, 셰일가스, 항공/저가 항공사(LCC) 등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도체 관련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및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과대 반영 분석 등에 상승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3년 만의 금리 인상 속 파월 의장 낙관적 경제 전망, 러시아-우크라이나 협상 기대감 속 급등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급등 마감. ASML(+9.04%), 마이크론테크놀로지(+8.97%), 엔비디아(+6.63%), AMD(+5.52%), 퀄컴(+4.33%), 인텔(+4.06%), TSMC(+4.03%) 등이 상승 마감.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IT 수요 둔화와 반도체 생산 중단 우려가 부각되고 있지만,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글로벌 IT Spending에서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힘. 그렇기 때문에 유럽 주변국으로 수요 둔화가 확산되지 않는 한 반도체업황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칠 만한 요인은 아니라고 판단. 아울러, 네온가스, 제논가스 등 핵심 소재의 지역별 생산 비중을 살펴보면, 중국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였고, 한국 반도체 업체들은 중국이나 미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소재 수급 이슈로 인한 생산 중단가능성도 제한적이라고 분석. 중국 생산 비중을 감안하면 극단적인 가정 시 오히려 국내 반도체 업종에는 반사이익이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DRAM 공급 업체들은 고객들의 추가 주문량에 대한 공급을 미루면서 올해 2분기 고정가격 상승에 대한 의지를 높이고 있으며, NAND는 Kioxia의 공급 차질 영향이 작용하며 큰 폭의 가격 상승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이어 2분기부터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buyers'market에서 sellers' market으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SK하이닉스, 삼성전자, DB하이텍, 동진쎄미켐, 솔브레인, 에이피티씨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SK하이닉스는 디램·낸드 가격 전망치 상향에 따른 2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에 강세 마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국내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60만명 돌파 소식에 상승
▷금일 0시 기준 신규 코로나19 확진자는 62만1,328명을 기록했으며, 사망자는 429명을 기록했다고 발표.전일 신규 확진자 수가 40만명을 기록한 가운데, 하루만에 22만명 이상 폭증하며 60만명대에 진입했음. 이 같은 폭증세는 지난 14일부터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가 양성인 사람도 바로 확진자로 분류되고 있으며, 누락된 확진 신고 건수가 집계에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짐.

▷당국은 당초 국내 연구기관의 전망치를 조합해 정점 시기를 16~22일로 보고 해당 기간의 주간 일평균 확진자가 31만6,000명~37만2,000명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으나 예측을 뛰어넘는 폭증세가 이어진다면 정점 시기가 더욱 미뤄지고 정점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러한 소식에 일동제약, EDGC, 현대바이오, 엑세스바이오, 셀리드 등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메타버스 삼성전자, 메타버스·로봇 신사업 육성 소식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로봇과 메타사업을 신성장 사업으로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주주총회에서 "신사업 발굴의 첫 행보는 로봇 사업"이라며 "로봇을 고객 접점의새로운 기회 영역으로 생각하고, 전담 조직을 강화해 로봇을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힘. 또한, 메타버스에 대해선 "메타버스 등 신성장 사업을 적극 개발할 계획으로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지 메타버스 경험을 할 수 있게 최적화된 메타버스 디바이스와 솔루션을 개발하겠다"고 설명했음.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2020년 말 조직개편에서 로봇사업화TF를 신설했고, 지난해 말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팀으로 격상시키기도 했음. 또한, AR(증강현실)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글래스 등 메타버스 기기 출시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선익시스템, 엔피, 옵티시스, 제이엘케이, 오픈베이스, 유진로봇, 링크제니시스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메타버스(Metaverse)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삼성전자의 로봇 생산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삼익THK, 삼성, MS에 메타버스 핵심 기술 부품 공급 이력이 있는 아이엠도 시장에서 부각.
은행/생명/손해보험 美 Fed, 3년 만의 기준금리 인상에 상승
▷Fed는 전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를 통해 올해 첫 금리인상을 단행. 연준은 기준금리를 0.25~0.50%로25bp 인상했으며,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3년 3개월 만임. 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은 만장일치였으나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50bp 인상에 투표해 소수의견을 제시했음. 점도표는 2022년 연방기금금리 중간값을 1.9%로 제시하면서 올해 7회 금리 인상을 예고했음.

▷이와 관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연준은 물가 안정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인식(acutely aware)하고 있으며, 향후 필요시 더빠른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고 밝힘. 이어 "다가오는 한 회의에서 대차대조표 축소 시작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르면 5월에 열리는 다음 회의에서 양적 긴축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고 언급. 또한, 이번 양적 긴축은 지난 2017∼2019년보다 "더 빠르게 시작될 것"이라며 훨씬 공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했음.

▷이 같은 소식 속 KB금융,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삼성생명, 롯데손해보험 등 일부 생명/손해보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인터넷 대표주 FOMC 불확실성 해소 속 美 나스닥 급등 등에 상승
▷지난밤 美 증시가 3년만의 기준금리 인상 속 파월 의장 낙관적 경제 전망 등에 상승. Fed가 3월 FOMC에서 3년 만에 금리를 인상했지만, 금리 인상폭이 시장 예상과 일치한 가운데, 파월 의장이 경제에 대해 낙관적인 발언을 이어가며 3대 지수 모두 급등. 특히, 나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3.77% 상승한 13,436.55에서 거래를 마감했고, 애플(+2.90%), 메타(+6.04%), 테슬라(+4.78%), 알파벳(+3.16%) 등 주요 기술주들도 동반 상승.

▷이 같은 소식에 금일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도 상승세를 기록. 한편, NAVER는 한성숙 전 CEO ‘유럽사업개발 대표’ 발령 소식 속 유럽시장 진출 확대 기대감도 부각.
2차전지/전기차 美 금리인상 불확실성 해소 및 우크라이나 협상 진전 등에상승
▷지난밤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3월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3년만에 금리를 인상했지만, 금리 인상폭이 시장 예상과 일치한 가운데 파월 Fed 의장이 경제에 대해 낙관적인 발언을 이어가며 3대 지수 모두급등했음. 테슬라(+4.78%), 리비안(+12.38%), 루시드(+7.46%) 등 美 전기차 업체의 주가가 강세를 기록. 이에 시장에서는 美 FOMC 정례회의결과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나는 모습.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모습.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부 장관은 이날 "중립국 지위가 안전보장 조치와 함께 지금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다"고 밝힘. 이어 "지금 협상에서 논의되는 게 바로 이것인데, 내가 보기로는 합의에 근접한 매우 구체적인 문구들도 있다"고 언급. 또한, 양측 협상 대표단이 15개 항으로 구성된 평화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포스코케미칼, 엠케이전자, 엘앤에프, 천보, 에코프로비엠, LG에너지솔루션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폴더블폰 지난해 삼성전자, 폴더블폰 점유율 88% 기록 소식에 상승
▷이날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폴더블폰 연간 출하량은 2020년 대비 약 309% 증가한 900만대를 기록했으며, 이중 삼성전자는 약 8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며 제조사 중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짐. 2위를 차지한 화웨이는 점유율 10%를 기록했으며, 샤오미, 오포 등이 뒤를 이은 것으로 전해짐. 출하량 세계 1위는 삼성전자의 갤럭시Z플립3로 조사됐으며 2위는 갤럭시Z폴드3인 것으로 알려짐.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폴더블폰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며, 신제품은 내구성과 사용성 등에서 전작보다 개선될 것으로 알려짐.

▷이러한 소식에 노바텍, 파인텍, 동운아나텍, 유티아이 등 폴더블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갤럭시 부품주/스마트폰 삼성전자 갤럭시 A 언팩 기대감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금일 오후 11시 삼성 갤럭시 A 이벤트 2022가 온라인으로 개최될 것으로 전해짐.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갤럭시A 시리즈의 갤럭시 A33·53 등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A73 모델도 이번 행사에서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됐으나 외신 등은 A73 공개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갤럭시 A53은 12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6.5형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와 광학식손떨림방지(OIS) 기능을 지원하는 6,400만화소 메인 카메라, 25W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5,000mAh 대용량 배터리 등을 탑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갤럭시 A33의 경우 90Hz 주사율을 지원하는 6.4형 슈퍼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와 4,800만 화소 OIS 카메라, 25W 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5,000mAh 대용량 배터리가 들어갈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인탑스, 뉴프렉스, 해성옵틱스, 나무가 등 갤럭시 부품주/스마트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美 금리인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가상화폐 가격 강세 속 상승
▷현지시간 16일 연방준비제도가 3월 FOMC 정례회의에서 3년만에 금리를 인상했지만 금리 인상폭이 시장의예상과 일치한 가운데, 파월 Fed 의장이 경제에 대해 낙관적인 발언을 이어가면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강해지는 모습. 이러한 영향 속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화폐도 상승세를 보였음.

▷한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7일 오후 3시 경 비트코인은 전거래일대비 4% 가량 상승한 41,00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이며, 이더리움은 전거래일대비 4% 가량 상승한 2,75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임.

▷이러한 소식에 인바이오젠, 비덴트, 티사이언티픽, 우리기술투자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육계 공정위, 12년간 닭고기 가격 담합 적발 소식에 일부 관련주 하락
▷전일 언론에 따르면, 치킨·닭볶음탕 등에 사용되는 육계 신선육 제조·판매업자들이 무려 12년에 걸쳐가격 인상을 담합한사실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된 것으로 전해짐. 공정위는 육계 신선육 시장의 77% 이상을 차지하는 하림 등 16개 사업자가 공정거래법을 위반한 사실을 적발하고,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1,758억2,300만원을 부과한다고 밝힘. 특히, 올품, 한강식품, 동우팜투테이블, 마니커, 체리부로 등 5개사에 대해서는 법 위반행위 가담 정도 및 주도 여부, 공정위 조사 협조 여부, 과거 법 위반 전력 등을 고려해 검찰에 고발하기로 했음.

▷마니커, 250.59억원(자기자본대비 34.86%) 규모 벌금(과징금) 등의 부과 공시. 체리부로, 181.87억원( 자기자본대비 37.81%) 규모 벌금(과징금) 등의 부과 공시.

▷이 같은 소식에 마니커, 동우팜투테이블, 팜스토리, 체리부로 등 일부 육계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

 

 


일동제약(249420)
55,000원(+14.58%)

日 시오노기제약, 코로나 치료제 美 3상 승인 소식에 급등

▷동사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공동 개발중인일본 시오노기제약이 전일 홈페이지를 통해 美FDA로부터 'S-217622'(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임상 3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이어 이번 임상은 바이러스 배출의 신속한 중단을 증명하는 임상시험의 긍정적인 결과를 뒤따른 것이라고 언급. 동사는 국내에서 S-217622의 2b상과 3상을 진행중이며, 업계에 따르면, 임상 2상 결과로 긴급사용승인을 신청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포스코케미칼(003670)
106,500원(+8.67%)

단입자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 공개 및 올해 실적 고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17일부터 개최되는 국내 최대 2차전지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2에 참가해 전기차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핵심소재인 단입자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을선보일 것이라고 밝힘. 이는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고 안정성을 높이는 혁신 기술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여러 원료를 하나의 입자구조로 합쳐 강도와 열 안정성을 높인 소재이며, 니켈 함량을 극대화한 N96 하이니켈 제품도 함께 전시할 예정.
▷또한, 기존 액체 전해액보다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용 소재와 음극재 포트폴리오도 공개할 것으로 알려짐.
▷미래에셋증권은동사에 대해 올해 차량용 반도체 공급차질에 따른 음극재 실적 부진이 우려되지만, 배터리금속 가격 상승에 따른 양극재 판매가격 상승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어 실적 고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다만, 금리인상 전망에 따른 밸류에이션 하락 및 배터리금속가격 금등에 따른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등을 반영해 목표주가는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LG화학(051910)
470,000원(+6.33%)

美 파트너사, 2분기 내 면역항암제 美 임상1상 IND 신청 계획 속 아시아 지역 개발 및 상업화 권리 확보 사실 부각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美 파트너사인 큐바이오파마는 2분기 'CUE-102(면역항암제, 과제명 LR19129)'에 대한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앞서 큐바이오파마는 최근 완료된 CUE-102 전임상을 통해 윌름스 종양 유전자 'WT-1' 항원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T세포(면역 세포) 증식과 활성화를 확인했다고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CUE-102는연내 임상 1상 진입이 예상된다"며 "WT-1 종양이 발현된 고형암과 혈액암 적응증으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CUE-102에 대한 아시아 지역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갖고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엔씨소프트(036570)
467,000원(+6.14%)

신규 IP 'TL·프로젝트E' 트레일러 영상 공개 속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재 개발 중인 신작 ‘TL’(Throne and Liberty)과 ‘프로젝트E’의 트레일러 영상을 공개했다고 밝힘. TL과 프로젝트E는 세계관을 서로 공유하는 새로운 오리지널 지적재산(IP)이며, 하나의 세계관안에서 서로 다른 역사가 펼쳐지는 두 대륙의 이야기를 담았음. 특히, TL은 콘솔, PC 타이틀로 개발 중이며, 올 하반기 글로벌 시장 출시를 목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디아이(003160)
7,730원(+5.89%)

14.3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0.9%)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삼성전자(주)(Samsung Electronics Co., Ltd.) 와 14.3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0.9%) 규모 공급계약(반도체 검사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3-16~2022-03-31) 공시.


농심(004370)
297,500원(+3.66%)

미국 제2공장 내달부터 가동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새로 건립한 미국 제2공장이 내달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고 밝힘. 미국 제2공장은 연간 3억500만개의 라면 생산 능력을 갖췄으며, 이로써 동사는 미국에서 연간 총 8억5,000만 개의 라면을 만들 수 있게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동사는 미국 뿐만 아니라 멕시코 시장에 새로 진출하는 등 북중미 시장에서 오는 2025년까지 지난해 3억9.500만 달러 대비 2배 성장한 8억 달러의 매출을 이룬다는 목표도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국내 생산물량까지 미국시장에 공급할 만큼 기존 공장의 생산능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며 "제2공장이 본격 가동에 들어감으로써 공급 확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힘.


동화약품(000020)
13,550원(+3.04%)

코로나19 치료제 DW2008S 정부 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 'DW2008S' 임상시험 2상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신약개발사업단의 2021년 5차 신규과제로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정부과제 선정으로 동사는 위약 대비 DW2008S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임상 2상진행을 지원받게 될 예정.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고통받는 많은 이들의 빠른 일상 회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치료제 개발에 더욱 매진하겠다"라며 "제5차 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을 기회로 삼아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힘.


삼성전기(009150)
160,000원(+2.89%)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4,137 억원(전년동기대비 +15.9%)을 기록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1분기 매출액은 2.53조원(전년동기대비 +10.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올해 실적 호조세 전망은 유효하며 공급망 차질은 주요 부품업체에게 의존도 확대로 연결될 것으로 전망. 이에 동사의 반도체 기판, MLCC 등 주요 사업 수익성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 올해 영업이익은 1.61조원(전년대비 +8%)을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
▷MLCC는 IT 기기향 초소형고용량 영역에서 동사의 점유율 확대 및 믹스 효과의 가중으로 영업이익률이 과거대비 안정권에 있으며, 반도체기판은 FC BGA의 공급 부족 지속과 PC영역에서의 점유율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고부가 제품인 SiP, AiP 매출이 증가해 전반적인 믹스효과가 올해 극대화될 것으로 전망.


JW생명과학(234080)
14,900원(+2.76%)

올해 영업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상상인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60억원(YoY +9.5%), 영업이익은 302억원(YoY +6.3%)으로 영업실적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는 국내 수액제 매출회복, 영양수액제 중심의 수요 증가, 수액제 수출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으로 분석. 특히, 수액제 매출은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여 연간 6~7% 이상 성장을 지속해 왔으며, 당진공장에 TPN 생산 3 Line이 곧 준공되고, 하반기부터 가동될 예정으로 이로 인해 TPN 생산 CAPA가 70%내외증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
▷아울러 2021년까지 영업실적 조정이 마무리 됐으며, 2022년 2월말부로 자회사 JW바이오사이언스의 재고평가이슈가 정리되고 관리종목에서도 벗어나게 되었다고 설명.


롯데칠성(005300)
160,500원(+2.23%)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연결 매출액은 6,068억원(+13% yoy, +1% qoq), 영업이익은 457억원(+42% yoy, +142% qoq)으로 종전 당사 추정 영업이익 375억원, 컨센서스 영업이익 389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음료 매출액 호조 및 가정용 소주 판매 호조 지속, 맥주 유흥시장 회복 영향, 와인, 청주, 위스키 등 기타 주류 포트폴리오 다각화 효과 등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주세법 개정에 수입맥주 시장 침체가 더해지며 2022년 이후로도 수제맥주 시장 확대는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동사의 올해 수제맥주 OEM 매출액 추정치를 종전 530억원에서 630억원으로 19% 상향 조정한다고 밝힘.


삼양식품(003230)
89,500원(+2.05%)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809억원(전년동기대비 +29%), 영업이익 206억원(전년동기대비 +43%)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중국, 미주, 인니 지역으로의 수출 호조로 달러 기준 수출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2%, 원화 기준 수출 매출액은 50%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는 지난해 설립된 중국, 미국 판매 법인의 영업 활동이 연초부터 본격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힘.
▷소맥, 팜유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발생했지만, 원화 약세 기조로 달러화 결제가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해외 사업부문에서의 환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될 것으로 예상되어 원가 상승 부담을 수출호조와 환효과가 상쇄할 것으로 전망.


화성산업(002460)
22,800원(-8.62%)

경영권 분쟁 지속 속 현직 임원 업무상 배임 혐의 발생에 급락▷전일 장 마감 후 이인중이 의결권행사금지가처분(경영권 분쟁) 소송 제기 및 당사 현직 임원에 대한 업무상 배임 혐의 발생 공시. 혐의발생금액은 8.60억원으로 자기자본대비 0.22% 규모임.
▷이종원 신임 회장은 금일 일부 언론을 통해 전일 제기된 8억6,000만원 규모의 횡령·배임 혐의는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음.

 

 

 


에이치엘사이언스(239610)
35,600원(+26.24%)

새치관리 고기능성 샴푸 시장 진출 임박 소식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한 안전한 성분을 토대로 흰색 모발을 흑갈색으로 변화시키는 식물성 페놀성분 (Phytophenol black complex)의 개발에 성공해, 특허 출원과 함께완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밝힘. 식물성 페놀 성분의 중량비에 따라 모발에 다양한 색 구현이 가능한 기술로 머리를 감기만 해도 일시적새치 관리 효과를 기대하면서 두피 모발 탈모 관리까지 가능한 고기능 제품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 출시될 신제품은 염모제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식약처의 잠재적 유전독성 논란이 된 '1.2.4-트리하이드록시벤젠(THB)'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다"며 "염색약에 대한 염려를 갖고 계신 분들에게 희소식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이 제품의 유통은 동사의 자회사 HLC가 담당하게 된다고 언급.
▷한편,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신제품 “모로실 다이어트 핏”이 CJ온스타일 첫 런칭 생방송에서 전체 매진을 기록했다고 밝힘.


케이옥션(102370)
25,900원(+12.12%)

라인 넥스트와 NFT 기반 미술품 유통 생태계 구축 참여 소식에 급등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동사 및 자회사 아르떼크립토가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 '라인'의 글로벌 대체불가토큰(NFT) 플랫폼 자회사 '라인 넥스트'와 NFT 기반 미술품 유통 생태계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에 합의했다고 밝힘. 동사와 아르떼크립토는 미술품 유통에 전문화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술품 NFT를 글로벌 NFT 플랫폼‘도시(DOSI)’에 제공하는 사업모델을 라인 넥스트와 함께 구상할 계획이며, 또 다른 자회사인 ‘아르떼케이’ 등과도 협업해 한국 미술 작가들의 세계화를 지원해 나갈 방침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국내에서의 NFT 시작보다 글로벌 플랫폼에서의 NFT 생태계참여를 먼저 알리게 됐다"며, "라인 넥스트와 긴밀히 협력해 한국 미술시장의 세계화, 미술시장의 건전한 발전, 미술시장 참여자에 대한 보호, 미술시장 확대를 위한 공동의 노력에 힘쓸 것"이라고 밝힘.


EDGC(245620)
4,000원(+12.04%)

세계 최초 피부타입 연관 유전자 29개 발굴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콜마 피부천연물연구소와 2018년부터 공동으로 진행한 '피부 측정값(표현형)과 유전체 데이터(유전형)의 연관성 분석을 위한 공동연구'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Clinical, Cosmetic and Investigational Dermatology)에 게재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TLR3, MYC, CSMD1와 같은 기존 연구에서 알려진 유전자 외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발굴한 29개의 유전자에서 한국인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46개의 새로운 유전자 변이를 찾아냈고, 머신러닝 모델에서 높은 예측 정확도(r2 = 0.6422~0.7266)를 추가로 확인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의 AI빅데이터실 이기찬박사는 "본 연구를 통해 다수의 유전자유전형 정보만을 통해 피부 타입을 예측할 수 있는 많은 새로운 방법을 제안할 수 있어 그 의미가 크다"면서, "나아가 개인 유전자 맞춤형 상품 개발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다양한 연구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힘.


에스티팜(237690)
111,300원(+10.97%)

806.6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5.0%)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유럽 소재 글로벌제약사와 806.67억원(최근매출액대비 65.0%) 규모 공급계약(만성질환용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의 상업화(Commercial) 물량 공급) 체결(계약기간:2022-03-17~2023-01-03) 공시.


이삭엔지니어링(351330)
12,800원(+9.87%)

61.6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7%) 규모 공급계약에 급등

▷SK하이닉스와 61.6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7%) 규모 공급계약(M16 Ph-2 자동제어시스템 구축) 체결(계약기간:2022-03-17~2022-10-31) 공시.


에스피지(058610)
12,650원(+7.66%)

지난해 실적 호조에 강세

▷사업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4,163.34억원(전년대비 +17.33%), 영업이익 235.36억원(전년대비 +30.17%), 순이익 229.18억원(전년대비 +62.76%).


현대바이오(048410)
32,100원(+6.64%)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CP-COV03, 2상 임상시험계획 승인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COVID-19 치료제 CP-COV03의 2상 임상시험계획 승인 공시. 이와 관련, 니클로사마이드는 코로나바이러스(SAS-CoV-2)에 대해 높은 항바이러스 효능이 기대되지만 생체이용률이 낮은 가운데, CP-COV03은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하여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한다고 밝힘.
▷한편, 해당 치료제는 경구용으로 동사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를 종식하려면 이제는 백신이 아니라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치료제가 나와야 할 시점"이라며 "약효를 숙주세포에 맞추는 CP-COV03는 10여년 전 신종플루 사태를 해결한 타미플루 이상으로 게임체인저급 면모를 두루 갖춘 혁신적인 치료제"라고 밝힘.


루트로닉(085370)
25,350원(+6.51%)

지난해 실적 호조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736.43억원(전년대비 +50.25%), 영업이익 297.87억원(전년대비 +379.65%), 순이익 276.85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보통주 1주당 192원(시가배당율1.1%), 종류주 1주당 302원(시가배당율1.2%)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얍엑스(060230)
1,100원(+5.77%)

주식병합 결정 속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1주당 가액 500원을 2,500원으로 병합하는 주식병합 결정(상장예정:2022-05-16) 공시.


해성산업(034810)
12,850원(+5.33%)

지난해 영업이익 호조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87조원(전년대비 +290.79%), 영업이익 936.57억원(전년대비 +306.03%), 순이익 864.93억원(전년대비 -75.18%).
▷보통주 1주당 175원(시가배당율1.3%), 종류주 1주당 180원(시가배당율0.7%)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바른손이앤에이(035620)
1,410원(+4.83%)

300억원 규모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등 제작 영화 투자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300억원(자기자본대비 41.17%) 규모 시설외((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및 그 계열회사가 제작하는 영화) 투자 결정 공시.
▷이 같은 소식에 동사가 상승세를 보였으며, 동사의 자회사인 바른손도 동반 상승세를 기록.


오로스테크놀로지(322310)
22,300원(+4.45%)

2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11%)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SK하이닉스와 23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3.11%)규모 공급계약(장비수주) 체결(계약기간:2022-03-17~2022-04-15) 공시.


키네마스터(139670)
15,800원(+4.29%)

재편집 가능 동영상 공유 플랫폼 출시 기대감에 상승

▷동사는 주주서한을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마케팅용 프로젝트들을 대거 출시했다고 밝힘. 동사 임일택 대표는 4월 말에 키네마스터 앱 6.0이 나오면 재편집이 가능한 파일을 서로 공유하게 되는 플랫폼이 세계 최초로 구현될 것이라고 밝힘.
▷또한, 6.0 출시 이후 발표될 추가 업데이트를 통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리워드형 앱으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카카오게임즈(293490)
78,300원(+4.12%)

오딘, 3월29일 대만 출시 확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라이온하트 스튜디오가 개발한 MMORPG '오딘: 발할라 라이징(오딘)'을 오는 29일 대만에 출시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는 대만 서비스를 앞두고 지난 16일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에서 현지 쇼케이스를 개최했으며, 출시일을 오는 3월29일로 깜짝 공개한 것으로 알려짐.


서울바이오시스(092190)
9,630원(+4.00%)

UVC 공청 살균기 설치한 300곳 사업장, 바이러스 전파 0%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UV LED 공청 살균기가 공기중 바이러스 전파를 막는데 뛰어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힘. 동사는 자외선 UV LED를 이용한 살균 솔루션 기술, 바이오레즈가 적용된 ‘공청 살균기’를 자영업자 300여 곳에 무상 지원했고,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전화 설문 결과 매장 내 바이러스 전파 감염이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


지티지웰니스(219750)
1,190원(-11.85%)

5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속 급락▷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아이리스조합 대상 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1,167원, 전환청구일:2023-04-20 ~ 2025-03-20) 공시.


블리츠웨이(369370)
5,830원(-12.20%)

200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속 급락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크래프톤 등 대상 3,603,605주(20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5,550원, 상장예정:2022-04-11) 공시.


이즈미디어(181340)
2,880원(-12.73%)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공시. 이와 관련, 내부결산시점에 최근 3사업연도중 2사업연도(2021년, 2020년)에 각각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발생했다며, 상기사항이 감사보고서에 의해 확인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고 밝힘.
▷한편,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475.40억원(전년대비 +116.42%), 영업손실 179.2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98.5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인포마크(175140)
6,900원(-15.65%)

지난해 실적 부진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466.73억원(전년대비 +7.0%), 영업손실 19.4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57.20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중앙디앤엠(051980)
452원(-17.97%)

66.6666% 비율 감자 결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66.6666%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2-04-19, 상장예정:2022-05-10) 공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