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6일 수요일
1. 美) FOMC 회의 발표(현지시간)
2. 美) 2월 소매판매(현지시간)
3. 러시아, 채무불이행(디폴트) 선언 가능성
4.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美 의회 화상연설
5. 런던거래소, 니켈 거래 재개 예정(현지시간)
6. 文대통령·尹당선인, 청와대 회동 예정
7. 삼성전자 주주총회 개최 예정
8. 산업부, 2월 국내 자동차 산업 동향
9. 2월 고용동향
10. 세아메카닉스 공모청약
시장구분 | 코스닥 | 종목코드 | 396300 |
업종 |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
대표자 | 김찬한 | 기업구분 | 중소일반 |
총공모주식수 | 6,650,000 주 | 액면가 | 100 원 |
상장공모 | 신주모집 : 4,450,000 주 (66.92%) / 구주매출 : 2,200,000 주 (33.08%) | ||
희망공모가액 | 3,500 ~ 4,000 원 | 청약경쟁률 | |
확정공모가 | 4,400 원 | 공모금액 | 29,260 (백만원) |
주간사 | 신한금융투자 | 주식수: 1,662,500~1,995,000 주 / 청약한도: 55,000~65,000 주 |
수요예측일 | 2022.03.10 ~ 2022.03.11 | ||
공모청약일 | 2022.03.15 ~ 2022.03.16 | ||
배정공고일(신문) | 2022.03.18 (주간사 홈페이지 참조) | ||
납입일 | 2022.03.18 | ||
환불일 | 2022.03.18 | ||
상장일 | 2022.03.24 |
- 당사는 알류미늄 다이캐스팅(알류미늄 합금 주물 가운데 금속제의 주형을 사용하여 용융 금속을 고압 사출 주조한 것) 전문회사, OLED Display device 등 TV 거치 장치 및 전기차, 수소차, ESS 등의 제조에 필요한 친환경 부품과 그 외 자동차 내연기관 부품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
- 당사는 LG전자 1차협력사로서 전자부품을 생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찾아내어 선진적이고 성공적으로 미래자동차시장에 진출하여 현재도 새로운 기술 확보에 전념, 기존 고객의 신규 아이템에 대한 지속적인 수주 노력과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한 발로 뛰는 영업 마케팅을 적극 추진
- 당사는 LG전자, 현대캐피코, 보쉬, DTR, LG에너지솔루션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지속 공급
2022년 3월 공모주 달력(11종목), 2월 공모주 종목 정리
2022년 3월 공모주 달력입니다. 글 순서는 먼저 3월 공모주 이후 2월 공모주 종목 정리 이어가겠습니다. (당월 공모주 글쓰기를 하면서, 전월 공모주를 다시 살펴보게 되는 것은, 글쓰기 할 시점의
goodp7.tistory.com
11. 화일약품 추가상장(유상증자)
12. 키다리스튜디오 추가상장(유상증자)
13. 클라우드에어 추가상장(유상증자)
14. 엘앤에프 추가상장(BW행사/CB전환/주식전환)
15. 현대무벡스 추가상장(CB전환)
16. 일동제약 추가상장(CB전환)
17. 엔시트론 추가상장(CB전환)
18. 네오이뮨텍(Reg.S) 보호예수 해제
19. 엘앤에프 보호예수 해제
20. 인카금융서비스 보호예수 해제
21. 美) 1월 기업재고(현지시간)
22. 美) 2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23. 美) 3월 NAHB 주택시장지수(현지시간)
24.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5.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6. 中) 2월 주택가격지수
27. 日) 1월 산업생산(수정치)
28. 日) 1월 소매판매(수정치)
29. 日) 2월 무역수지(예비치)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3월 16일 수요일
1. 美) FOMC 회의 발표(현지시간)
2. 美) 2월 소매판매(현지시간)
3. 러시아, 채무불이행(디폴트) 선언 가능성
4.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美 의회 화상연설
5. 런던거래소, 니켈 거래 재개 예정(현지시간)
6. 文대통령·尹당선인, 청와대 회동 예정
7. 삼성전자 주주총회 개최 예정
8. 산업부, 2월 국내 자동차 산업 동향
9. 2월 고용동향
10. 세아메카닉스 공모청약
11. 화일약품 추가상장(유상증자)
12. 키다리스튜디오 추가상장(유상증자)
13. 클라우드에어 추가상장(유상증자)
14. 엘앤에프 추가상장(BW행사/CB전환/주식전환)
15. 현대무벡스 추가상장(CB전환)
16. 일동제약 추가상장(CB전환)
17. 엔시트론 추가상장(CB전환)
18. 네오이뮨텍(Reg.S) 보호예수 해제
19. 엘앤에프 보호예수 해제
20. 인카금융서비스 보호예수 해제
21. 美) 1월 기업재고(현지시간)
22. 美) 2월 수출입물가지수(현지시간)
23. 美) 3월 NAHB 주택시장지수(현지시간)
24.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5.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6. 中) 2월 주택가격지수
27. 日) 1월 산업생산(수정치)
28. 日) 1월 소매판매(수정치)
29. 日) 2월 무역수지(예비치)
- 코스피시장 -
3/15 KOSPI 2,621.53(-0.91%) 美 FOMC 경계감(-), 中 코로나 확산, 中 증시 급락(-), 러-우크라 사태 장기화(-)
지난밤 뉴욕증시가 러-우크라 4차 회담 주시 및 FOMC 경계감, 中 선전시 봉쇄 속 혼조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630.31(-15.34P, -0.58%)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641.97(-3.68P, -0.1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낙폭을 키웠고, 2,615.08(-30.57P, -1.16%)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2,634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서도 지지부진한 흐름을 지속했고, 장 후반 낙폭을 다소 키운 끝에 결국 2,621.53(-24.12P, -0.91%)에서 거래를 마감.
3월 FOMC를 앞둔 경계감 속 美 국채금리 급등 및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주요 도시 봉쇄 소식 등으로 중국 증시가 급락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러시아 디폴트 우려도 지속되는 모습. 외국인이 7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면서 코스피지수는 사흘째 하락 마감.
美 FOMC회의가 임박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이번 회의에서 연준이 25bp 수준의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 일각에서는 50bp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는 의견도제기. 지난밤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13.89bp 급등한 2.143%를 기록했고, 2년물 국채금리는 9.44bp 급등한 1.851%를 기록(美 동부시간 오후 3 시 기준). 이에 美 주요 기술주들이 하락했고, 나스닥지수는 2% 넘게 하락.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14일 코로나19 하루 감염자수가 무증상 감염자를 포함해 5,154명으로 전일 2,125명 대비 2배 이상 급증했다고 발표. 14일 지린성에서만 4천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왔고, 산둥, 허베이, 상하이, 광둥 등에서도 각각 100명 이상 감염자가 발생. 이에 당국은 4대 도시중 하나인 선전에 봉쇄령을 내렸고, 지난주에는 지린, 창춘, 옌지 등에서 봉쇄가 시작됐음. 中 상해종합지수는 금일 5% 가까이 폭락 마감.
중국의 1~2월 산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7.5% 증가를 기록해 시장예상치와 지난해 12월의 수치를 크게 상회. 이는 지난해 6월 이후 최대 증가폭임. 같은 기간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6.7% 증가, 고정자산투자도 12.2%로 호조를 기록.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수입물가지수는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등으로전월대비 3.5% 상승, 9년5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6만2,338명을 기록. 위중증과 사망자는 각각 1,196명, 293명으로 사상 최다.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중국, 홍콩이 급락했고, 대만도 하락. 일본은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6,768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6,053억, 39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이 2,608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2,711계약, 87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5원 상승한 1,242.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0.2bp 상승한 2.285%, 10년물은 전일 대비 1.4bp 상승한 2.75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7틱 내린 108.07 마감. 은행과 외국인이 각각 7,725계약, 1,952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5,114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0틱 내린 119.15 마감. 외국인이 3,018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2,693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LG화학(-3.94%), SK하이닉스(-3.02%), SK이노베이션(-2.05%), POSCO(-1.74%), LG에너지솔루션(-1.10%), 삼성전자(-1.00%), 현대차(-0.91%), 삼성물산(-0.87%), 삼성SDI(-0.81%) 등이 하락. 반면, 카카오뱅크(+5.42%), KB금융(+1.61%), 삼성바이오로직스(+1.50%), 카카오페이(+1.47%), LG전자(+0.82%), 신한지주(+0.66%)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기계(-3.23%), 운수창고(-2.88%), 건설(-2.54%), 화학(-2.02%), 철강/금속(-1.92%), 비금속광물(-1.75%), 운수장비(-1.29%), 증권(-1.26%), 제조(-1.14%), 전기/전자(-1.12%), 통신(-0.98%) 등이 하락. 반면, 의료정밀(+4.01%), 은행(+3.82%), 의약품(+0.46%), 금융(+0.4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621.53P(-24.12P/-0.91%)
- 코스닥시장 -
3/15 KOSDAQ 871.22(-0.14%) 美 FOMC 경계감(-), 中 코로나 확산, 中 증시 급락(-), 러-우크라 사태 장기화(-)
지난밤 뉴욕증시가 러-우크라 4차 회담 주시 및 FOMC 경계감, 中 선전시 봉쇄 속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70.33(-2.11P, -0.24%)로 약보합출발. 장 초반 상승전환 하기도 했으나 866.47(-5.97P, -0.68%)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오전중 재차 866선까지 낙폭을 확대. 오전중 낙폭을 줄여 상승 전환했고, 오후 들어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다 상승해 874.73(+2.29P, +0.2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 후반 다시 혼조세를 보인 끝에 결국 871.22(-1.22P, -0.14%)에서 거래를 마감.
美 FOMC를 앞둔 경계감 및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국 증시 급락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러시아 디폴트 우려도 지속되는 모습.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하락. 외국인은 8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이틀째 순매도를 기록. 개인은 사흘째 순매수.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73억, 238억 순매도, 개인은 654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다소 우세. 위메이드(-3.78%), 펄어비스(-3.57%), 셀트리온제약(-2.32%), 리노공업(-2.32%), 셀트리온헬스케어(-2.29%), 엘앤에프(-1.46%), CJ ENM(-1.06%), 에코프로(-0.70%) 등이 하락. 반면, HLB(+8.13%), 알테오젠(+5.23%), 에스티팜(+3.19%), 스튜디오드래곤(+1.32%), 에코프로비엠(+1.27%), 씨젠(+1.22%)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하락이 다소 우세. 금속(-2.15%), 디지털컨텐츠(-2.04%), 건설(-1.57%),유통(-1.22%), 종이/목재(-1.14%), IT S/W & SVC(-1.08%), 정보기기(-1.01%), 기타제조(-0.84%), 섬유/의류(-0.67%), 반도체(-0.60%), 금융(-0.56%) 등이 하락. 반면, 운송장비/부품(+1.60%), 제약(+0.88%), 운송(+0.87%), 기타서비스(+0.83%), 의료/정밀기기(+0.71%), 일반전기전자(+0.64%), 방송서비스(+0.60%), 음식료/담배(+0.52%)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71.22P(-1.22P/-0.14%)
테마시황 | |
▷국제유가 하락 및 리오프닝 기대감 등에 항공/저가 항공사(LCC), 여행 테마 등 소비 관련주 상승. ▷의류 OEM 슈퍼 사이클 기대감에 패션/의류 테마 상승. ▷미용 시술 수요 증가 및 신제품 효과 기반 매출 성장 기대감 등에 의료기기 테마 상승. ▷美 국채금리 급등 및 러시아 디폴트 영향 미미 분석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 발탁 속 탈모약 반값 공약 시행 가능성 부각에탈모 치료 관련주 상승.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신한울 3·4호기 공사 조기 착공 재개 언급 소식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尹 당선인, 디지털 헬스케어 확대 등 원격의료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이 외 코로나19(나파모스타트, 렘데시비르, 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제대혈, 치매, 줄기세포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대체로 상승했으며,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전력설비, PCB(FPCB 등), 육계 등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철강업계 잇단 사고소식 속 안전 대응 협의회 신설 소식에 철강 주요종목 테마 하락. ▷국제유가 급락에 정유/LPG(액화석유가스) 등 에너지 관련 테마 하락. ▷러시아 수주 물량 잔금 회수 우려 지속 등에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하락. ▷HMM 극동아시아 노선 잠정 중단 여파 지속,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中 선전시 봉쇄 조치 속 원자재 수요 급감 우려 등에 해운 테마 하락. ▷이 외 아스콘, 비철금속, 희귀금속(희토류 등), LNG, 강관업체, 자원개발, 니켈 관련주, 원자력발전소 해체, 자전거, 종합상사, 남-북-러 가스관사업, 건설 대표주, 콜드체인(저온 유통) 등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
항공/저가 항공사(LCC),여행 | 국제유가 하락 및 리오프닝 기대감 등에 상승 |
▷지난밤 러-우크라 회담 진행 및 中 봉쇄 소식 등에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장중 한때 100달러가 붕괴되기도 했으며, 전거래일보다 6.32달러(-5.78%) 하락한 103.01달러에 거래 마감. 언론에 따르면, 전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4차 평화회담이 시작됐으며, 회담은 2시간가량 진행된 뒤 금일(현지시간) 재개하기로 하고 협상은 종료된 것으로 알려짐. 또한, 중국 선전시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전면 봉쇄되며 필수 업종을 제외한 모든 기업의 생산 활동을 중지하도록 조치한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정부가 오는 21일부터 백신을 접종한 해외 입국자의 자가격리 의무를 면제하기로 하면서 여객 수요도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티웨이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제주항공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및 인터파크, 하나투어 등 여행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패션/의류 | 의류 OEM 슈퍼 사이클 기대감에 상승 |
▷메리츠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서구권 의류 판매 호조에 따른 낙수효과가 기대되고 있으며, 재고 비축 수요확대 따른 수주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베트남 정부의 방역 완화에 따라 의류 업체들의 생산 차질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 ▷또한, 의류 단가 상승(글로벌 의류 수급 불균형 → 브랜드사 재고 확보 절실 → 후방 협상력 증대 → 수입 의류 단가 상승) 및 달러 강세(물가 상승 및 금리 인상 → 달러 가치 절상 → 원화 실적 개선) 수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한세실업, 영원무역, 이스트아시아홀딩스 등 패션/의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의료기기 | 미용 시술 수요 증가 및 신제품 효과 기반 매출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KTB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미용 의료기기 산업이 2021년 COVID19 팬데믹의 기저 효과와 소모품 매출성장으로 40%의 외형 성장을 보였다고 밝힘. 이에 올해에도 미용 의료기기 3개사가 대면 활동 재개로 인한 미용 시술 수요 증가와 신제품 효과를 기반으로 30%대의 견조한 매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종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구간에 진입했다며, 미용 의료 업종에 대한 적정 PER 30배를 제시한다고 밝힘. 이는 과거 2016~17년 임플란트 업종이 국내 건강 보험 커버리지 확대를 통해 매출 확대 및 해외 판매 본격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해외 피어 대비 밸류 프리미엄을 받았다고 설명. 미용 의료기기 업종도 중저가 제품 기반 국내외 판매를 본격화하고 있어, 향후 빠른 실적 성장을 통해 높은 밸류에이션의 정당성을 입증할 것으로 전망. ▷이에 금일하이로닉, 루트로닉, 제이시스메디칼 등 미용 의료기기 업체들을 중심으로 의료기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은행 | 美 국채금리 급등 및 러시아 디폴트 영향 미미 분석 등에 상승 |
▷지난밤 뉴욕채권시장은 오는 15~16일(현지시간) 예정된 3월 FOMC 회의에서 25bp 수준의 금리 인상이 전망되는 가운데,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13.89bp 급등한 2.143%를 기록. 2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9.44bp 급등한 1.851%, 3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11.64bp 급등한 2.478%를 나타냄(美 동부시간 오후 3시기준). 美 국채금리 급등 속 뱅크오브아메리카(+2.16%), JP모건체이스(+0.99%), 웰스파고(+2.87%) 등 美 금융주들이 상승세를 기록. ▷한편, SK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러시아의 디폴트 가능성 제기되며 글로벌증시에서 은행주가 약세 전환됐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국내 은행들에게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미미할 것으로 분석. 이와 관련 BIS (국제결제은행)의 발표에 의하면, 한국 은행들의 러시아 엑스포저는 14억달러(약 1.7조원)로 전체의 1.4%에 불과하다며, 한국 은행들의 러시아 엑스포저에는 보증부 크레딧, 상거래 채권, 금융 거래 등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1.7조원 전체가 국내 상장은행들의 손실이라고 확대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카카오뱅크, 하나금융지주, KB금융 등 은행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탈모 치료 관련주 |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 발탁 속 탈모약 반값 공약 시행 가능성 부각에 상승 |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에 오른 가운데, 시장에서는 안철수 대표가 대통령 후보 시절 내세운 탈모약 반값 공약의 새 정권에서 시행 가능성이 부각되는 모습. 안철수 대표는 올해 초 탈모약 제네릭(복제약) 가격을 인하하고 탈모에 대한 보건산업 연구개발 지원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음. ▷이러한 소식에 TS트릴리온, 프롬바이오, JW신약 등 탈모 치료 관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
|
원자력발전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신한울 3·4호기 공사 조기 착공 재개 언급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금일 “신한울 3,4호기 공사 착공을 가급적 빨리 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윤 당선인은 이날 경북 울진군 북면 부구3리마을회관에서 열린 산불 피해 이재민 간담회 자리에서 “(산불 피해) 보상도물론 국가에서 주택을 짓고 피해 회복을 할 수 있게 해야 하지만 이 지역에 경제를 좀 일으켜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으며, 원전 조기 착공을 통해 “지역에서 많이들 일할 수 있게 해보겠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서전기전, 한신기계, 한전산업 등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
|
철강 주요종목 | 철강업계 잇단 사고 소식 속 안전 대응 협의회 신설 소식에 하락 |
▷최근 철강 생산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이날 철강업계 현장 안전 강화방안점검회의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짐. 회의에 참석한 POSCO,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등은 안전 관련 대응조직을 격상하고 예산을 확대해 사고 예방에 주력하고 있으며, 업체별 안전 관련 임원이 참여하는 철강산업 안전 대응 협의회(가칭)를 신설해 주기적으로 안전관리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전해짐. ▷한편, 언론에 따르면, 현대제철 예산공장에서 발생한 근로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고용노동부는 현대제철 본사, 예산공장, 하청업체 본사 등 6개소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고용부는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현대제철 예산공장의 중층적 도급관계를 명백히하고,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확보 의무를 적법하게 이행했는지 확인할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대한제강, 세아제강, 동국제강, 세아베스틸 등 철강 주요종목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 |
|
정유/LPG(액화석유가스) | 국제유가 급락에 하락 |
▷지난밤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러-우크라 회담 진행 및 中 봉쇄 소식 등에 급락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6.32달러(-5.78%) 하락한 103.01달러에 거래 마감. 3월14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4차 평화회담이 시작됐으며, 회담은 2시간가량 진행된 뒤 다음날 재개하기로 하고 협상은 종료. 아울러, 中 선전시는 일일 신규 확진자가 60명을 기록하자 대중교통 운행을 중단하고 필수 업종을 제외한 모든 기업의 생산 활동을 중지하도록 조치했으며, 中 상해는 봉쇄에 준하는 방역 조치가 내려져 경제활동에 지장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S-Oil, GS,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 |
한신기계(011700)
6,640원(+5.73%)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543.65억원(전년대비+5.28%), 영업이익 51.61억원(전년대비 +33.20%), 순이익 40.87억원(전년대비 +18.11%). 보통주 1주당 45원(시가배당율1.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아울러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원전 정책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일동홀딩스(000230)
12,900원(+5.31%)
최상목 사외이사 尹 당선자 인수위 내정에 상승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는 경제1 분과 간사에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차관을 임명했다고 밝힘. 경제1 분과는 최상목 전 차관이 간사를 맡고,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신성환 홍익대 경영학부 교수가 인수위원으로 참여한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최상목 전 차관이 사외이사로 재직 중인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이에 동사의 자회사인 일동제약도 상승세를 기록.
남양유업(003920)
404,500원(+4.39%)
대유홀딩스-홍원식 회장 주식매매 예약완결권 소멸 소식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대유홀딩스가 동사 홍원식 회장과 지난해 11월에 체결한 주식매매 예약완결권이 소멸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지난 1월 법원이 홍원식 회장 등 동사 오너일가와 대유홀딩스가 체결한 상호협력 이행협약을 금지하는 한앤컴퍼니의 가처분신청을 인용한 결과이며, 이로 인해 동사는 대유홀딩스에게 받은 계약금 320억원을 반납하는 등의 후속절차가 이행될 예정.
▷한편, 홍원식 회장 일가와 한앤컴퍼니는 현재 주식매매계약(SPA) 이행관련 본안 소송을진행 중이며, 다음달 4일 첫 번째 증인이 출석해 변론기일이 진행될 예정으로 알려짐.
넷마블(251270)
109,500원(+3.30%)
상반기 신작 출시 기대감 등에 상승
▷전일 KTB투자증권은 상반기 신작 출시로 인해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상태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동사는 올해 5~6개의 P2E 신작을 출시하며 대형사 중 가장 적극적인 P2E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며, P2E에 대한 투자심리가 가라앉을 경우 실적 및 밸류에이션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지만, 상반기 기대작 제2의나라 글로벌 출시와 세븐나이츠 레볼루션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상태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대원제약(003220)17,650원(+3.22%)
중국 코로나19 확산 속 감기약 브랜드 콜대원 수출용 허가 보유 부각 등에 상승
▷광둥성 선전시 봉쇄 등 중국내 코로나19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동사가 국내최초 짜먹는 감기약 콜대원의 수출 허가를 보유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지난달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약국가에서 콜대원 라인업의 판매량이 급증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중국 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부각.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동사는 중국에서 신약 펠루비정을 필두로 진해제(기침약), 항암보조제, 비타민제등의 진출 작업을 진행 중임.
한창(005110)
731원(-5.56%)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공시번복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불성실공시 내용은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공시('21.8.17)의 철회('22.2.17)임.
이아이디(093230)
188원(-21.67%)
90.00% 비율 감자 결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90.00% 비율의 감자 결정(기준일:2022-05-02, 상장예정:2022-05-24) 공시.
이브이첨단소재(131400)
1,980원(+29.84%)
투자사 프롤로지움, 이륜차용 교체형 전고체 배터리 프로토타입 출시 소식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투자사인 대만의 프롤로지움이 이륜차용 교체형 전고체 배터리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고 밝힘. 해당 제품은 프롤로지움이 대만 고고로와 공동 개발한 제품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기존 구동 차량과의 호환은 물론 충전 네트워크와 통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짐. 프롤로지움의 리튬 세라믹배터리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배터리 대비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 배터리 용량이 현재 1.7kWH 수준인데 반해 해당 배터리는 2.5kWH인 것으로 알려짐. 또한, 단단한 세라믹을 활용해 화재 위험이 낮고 완전충전 속도도 12분으로 단축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동사는 지난해 New Epoch Capital LP(케이맨 제도) 투자 참여를 통해 ProLogium Holdings INC. 지분을 취득한 바 있음.
서울리거(043710)
1,270원(+29.59%)
세심컨소시엄, 디오 경영권 인수 속 컨소시엄 참여 사실 부각 등에 상한가
▷디오는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디오홀딩스(유) 외 7인이 (주)세심 외 1인에 보유주식 4,170,563주를 2,293.8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2-06-10) 공시. 아울러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세심 대상 2,416,146주(770.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31,910원, 상장예정:2022-06-30) 공시. 이에 따라 세심과 동사 등이 참여 중인 세심컨소시엄은 디오 주식 658만6,709주(36.2%)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동사는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주)세심 대상 10,869,565주(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유상증자 결정(발행가:920원, 상장예정:2022-06-24) 공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148.73억원(전년대비 -65.95%), 영업이익 28.52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손실 74.1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비트나인/플래티어
尹 당선인, 인수위 디지털플랫폼TF 가동 소식 속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디지털플랫폼TF와 정부·공공혁신TF 등 2개의 태스크포스팀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으로 전해짐. '디지털 플랫폼 정부'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후보 시절 가장 먼저 해당 공약을 발표했던 것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플랫폼TF와 정부 및 공공혁신 TF를 함께 가동하는 것이며,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상은 윤 당선인이 당내 경선에서 승리한 후 직접 나서 발표한 첫 공약으로 그만큼 본인의 의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국내 유일의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술업체인 비트나인과 디지털 플랫폼 전문기업인 플래티어가 시장에서 부각.
[종목] : 비트나인, 플래티어
압타머사이언스(291650)
13,000원(+8.79%)
표적치료제 전문학회(OPT 콩그레스)서 ‘TfR 압타머 연구성과’ 발표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핵산물질 기반의 표적(정밀)치료제 개발 관련 전문 학회인 OPT 콩그레스(Congress)에서 트렌스페린 수용체(TfR, Transferrin Receptor)에 대한 뇌혈관장벽(BBB) 셔틀 압타머의 연구 결과를 공개한다고 밝힘. 이어 종간 교차 반응 및 확장성 측면에서 가진 BBB 셔틀의 우수성을 토대로 ASO, siRNA 등 핵산기반 의약품을 개발하는 기업과 협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학회 발표를 통해당사의 BBB 셔틀 플랫폼 우수성을 글로벌 시장에 알리고 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혁신적 기반기술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밝힘.HLB 그룹주불공정거래 혐의 관련 검찰 '혐의없음' 처분 결정 소식에 강세▷HLB는 언론을 통해 검찰이 회사의 불공정거래 혐의에 대해 '혐의없음' 처분을 결정했다고 밝힘. 이로써 2020년 5월 금융감독원의 조사로 시작된 불공정거래 의혹은 1년10개월 만에 해소됐다고 언급. 이와 관련, 진양곤 HLB 회장은 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수사협력단으로부터 이와 같은 처분을 공식 확인했다며, "우리가 제시한 목표를 성과로 입증하는 것만이 주주들의 상심에 대한위로이자 격려에 대한 보답이 될 것"이라고 밝힘.
▷한편, HLB의 美 자회사 엘레바(Elevar Therapeutics)가 이날 언론을 통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출신 전문가인 정세호 박사와 장성훈 박사를 각각 신임 대표와 부사장(COO)으로 영입했다고 밝힘. 이를 통해 기존의 임상·연구개발 위주에서 NDA(신약허가신청) 준비체제로의 전환을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언급.
[종목] : HLB,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테라퓨틱스
디이엔티(079810)
7,750원(+7.64%)
207.08억원 규모 2차전지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강세▷Ultium Cells LCC과 207.0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9.98%)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제조장비) 체결(계약기간:2022-03-15~2022-12-31) 공시.
빛샘전자(072950)
7,500원(+7.30%)
2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강세
▷주가하락방지 및 주주의 가치 제고 목적 2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2-03-15~2022-09-14, 미래에셋증권) 공시.
신신제약(002800)
5,930원(+5.52%)
셀트리온제약 대표 일반의약품에 대한 공급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14일 셀트리온제약과 일반의약품에 대한 제품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동사는 향후 3년간 화이투벤(감기약), 알보칠(구내염 치료제), 가네진( 간장약) 등 3개 브랜드 11개 제품에 대한 독점적 판매권을 부여받았으며, 이번 제품공급계약의 특징은 동사가 영업과 마케팅 활동을 모두 수행하는 종합 대행이라는 점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이병기 대표는 이번 계약을 통해 소비자에게 친숙한 제품을 동사의 영업노하우를 통해 안정적이고 활발하게 공급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힘.
케이피에프(024880)
4,870원(+5.41%)
파스너 실적 턴어라운드 등에 따른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7,031억원(+35.0% YoY), 영업이익은 165억원(+1,220.1%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지난해 자회사 티엠씨 인수로 인한 일회성 빅배스와 파스너 원재료 가격 상승에 대한 판매가격 전이가 늦어지며 실적이 악화되었으나, 올해 베트남 법인 중심으로 파스너 부분이 크게 턴어라운드하고 티엠씨가 정상화되며 실적 회복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
JW 그룹주
JW중외제약 수입 관절염약 '악템라주', 식약처 중증 코로나 치료용 국내긴급 사용 승인 소식에 상승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코로나19 치료제 공급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JW중외제약이 수입하는 관절염약 '악템라주'(성분명 토실리주맙)를 2세 이상 중증 코로나19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긴급 사용승인했다고 밝힘. 식약처는 국외 사용 사례와 임상시험 논문 등 관련 자료, 감염내과 전문의 자문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공중보건위기대응 의료제품 안전관리·공급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번 승인을 결정했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 속 국내에서는 JW중외제약이 로슈산하 주가이제약에서 한국 독점 개발권과 판매권을 들여와 2013년부터 판매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각되며 JW 그룹주가 상승세를 기록.
[종목] : JW중외제약, JW신약, JW홀딩스, JW생명과학
에코캡/티에이치엔
와이어링하네스 공급 부족 현상 속 관련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상승
▷언론에 따르면, 현대차는 자동차 부품 중 하나인 와이어링하네스를 납품하는 중국 산둥성 지역의 공장들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함에 따라 이번 주 울산 공장의 생산 일정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의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뎌 이미 공피치 가동을 해오던 상황에서 와이어링하네스 수급까지 불안정해질 경우 정상 가동은 더욱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고 밝힘.
▷이어 우크라이나로부터의 와이어링하네스 공급에 문제가 생기면서 국내 뿐 아니라 독일 내 자동차 생산 업체들도 이미 와이어링하네스 부족으로 인한 생산 중단 사태가 빚어진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와이어링하네스 사업을 영위중인 티에이치엔, 에코캡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 티에이치엔, 에코캡
태웅로직스(124560)
8,560원(+4.01%)
올해 호실적 전망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신한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9,405억원(+0.2% YoY), 영업이익은 812억원(+2.4%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올해 예상 실적기준 기준 PER(주가수익비율)은 2.6배로 PEER 평균 15.6배 대비 저평가 구간이라고 언급.
▷아울러 올해 운임 가격 하락 추정에도 불구하고 신규 사업 영역 확대에 따라 실적 성장이 지속될 것이며, 주가 리레이팅이 기대된다고 언급.
퓨런티어(370090)
20,800원(+4.00%)
지난해 흑자전환에 상승
▷21년 개별기준 매출액 221.71억원(전년대비 +47.01%), 영업이익 12.19억원(전년대비흑자전환), 순이익 26.41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삼양옵틱스(225190)
11,550원(+3.59%)
올해부터 분기배당 정책 시행 결정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중간(분기)배당을 위한주주명부폐쇄(기준일) 결정 공시.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분기 배당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것으로 보고 중간 배당에서 분기배당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주주에게 분기배당을 통한 이익환원으로 안정적 투자 기회와 함께 장기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밝힘.
휴마시스(205470)
17,800원(+2.89%)
종근당과 코로나19 진단키트 공동판매 계약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종근당과 전문가용 코로나19 항원 진단키트의 공동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계약으로 동사와 종근당은 코로나19 신속항원검사(RAT)를 진행하는 국내 병·의원을 대상으로 ‘휴마시스 코로나19 항원 진단키트’(Humasis COVID-19 Ag Test)를 공동으로 판매하게 되며, 전국 호흡기전담클리닉과 호흡기진료지정 의료기관 총 7,700여 곳에 진단키트를 공급할 계획임.
수젠텍(253840)
14,350원(+2.87%)
'제1형 당뇨병 진단 시약' 식약처 국내 제조 인증 완료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1형 당뇨병 진단 시약(SGTi-T1D Anti-GAD)에 대한 국내 제조 인증을 완료했다고 밝힘. 이번에 승인받은 제품은 사람의 혈청에서글루타민산 디카복실라제의 자가항체(Anti-GAD)를 효소면역블로팅 측정법으로 정성하여 제1형 당뇨병을 진단하는 시약이며, 동사의 다중면역블록장비(S-BLOT2)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호흡기 질환 이외에도 다양한 질병에대한 진단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며, “동사는 고난도 항체 개발 기술과 고민감도와 정밀성 높은 면역분석법을 바탕으로 당뇨병을 비롯한 알레르기, 알츠하이머 등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아이템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서진시스템(178320)
32,900원(+2.17%)
지난해 실적 호조 및 안정적 성장 지속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6,061.46억원(전년대비 +88.30%), 영업이익 579.99억원(전년대비 +1,082.21%), 순이익 386.94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아울러 보통주 1주당 300원(시가배당율0.7%)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이와 관련,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코로나19 상황 지속에도 불구하고, 사업 다각화 및 고객 다변화를 통해 최고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달성하였다고 밝힘. 이어 당사 추정 올해 1분기 매출액은 1,661억원, 영업이익은 112억원으로 안정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52,000원[유지]
매커스(093520)
8,100원(+2.02%)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성장 수혜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소폭 상승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비메모리반도체의 연산 과정이 고도화되고, 업그레이드 Needs가 많아지는 IT Device 설계 과정에서 FPGA 수요를 이끄는 전방산업(항공, 자동차, 통신)의 시장 확대와 AI · 자율주행 · IDC · 딥러닝 · IoT Device 제품 군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외형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밝힘. 이에 지난해 매출액은 1,407억원(+61.9% yoy), 영업이익은 260억원(+175.0% yoy, OPM 18.5%), 순이익은 249억원(+212.5% yoy)을 기록하며 고성장이 진행됐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순현금 451억원, 장단기금융자산 + 자사주 + 투자부동산 371억원의 합한 가치는 822억원으로 자산가치가 높다고 밝힘. 또한, 2021년 실적 기준 P/E 5.1배, P/B 1.7배(ROE 33.0%) 수준으로 수익성과 성장성 대비 저평가 상태라고 밝힘.
삼기(122350)
3,950원(-7.28%)
지난해 실적 부진 및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등에 약세▷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매출액 5,547.22억원(전년대비 +52.96%), 영업손실 41.66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20.6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아울러 91.61억원(자기자본대비 7.12%) 규모 파생상품 거래 손실 발생 공시.
▷한편, 보통주 1주당 30원(시가배당율0.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1-12-31) 공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