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
6/8 KOSPI 3,247.83(-0.13%)
차익실현 매물(-), 외국인/개인 순매도(-), 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차익실현 매물 속관망 심리 확산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경제 회복 기대감 및 인플레이션 우려가 엇갈린 가운데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3,251.83(-0.29P, -0.01%)으로 약보합 출발.
장초반 보합권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던 지수는 낙폭을 다소 키워 3,242.56(-9.56P, -0.29%)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오전 중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3,264.67(+12.55P, +0.39%)까지 상승폭을 확대해 고점을 형성.
이후 점차 상승폭을 반납했고 오후장 내내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다 결국 3,247.83(-4.29P, -0.13%)으로 장을 마감.
전일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경신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등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개인은 동반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이번주 선물/옵션동시 만기일, 美 소비자물가지수,
ECB 통화정책 회의 등 국내외 굵직한 이벤트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지면서 변동성은 제한된 모습.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454명(국내 발생 435명, 해외 유입 19명)으로 집계됐음.
이틀째 400명대를 기록. 코로나19 1차 백신 접종자는 87만5,498명으로 일일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누적 1차 접종자는 845만5,799명으로 인구 대비 접종률은 16.5%를 기록.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036억, 446억 순매도, 기관은 2,620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기관이 2,169계약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373계약, 887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3원 상승한 1,114.2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전거래일 대비 2.7bp 하락한 1.174%,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4.0bp 하락한 2.11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1틱 상승한 110.90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5,722계약 순매수, 은행, 자산운용은 2,168계약, 1,163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47틱 상승한 125.94로 마감. 외국인이 4,386계약 순매수, 은행은 2,761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카카오(+1.98%),
셀트리온(+1.70%),
기아(+1.67%),
삼성바이오로직스(+1.54%),
SK텔레콤(+1.39%),
삼성물산(+1.06%),
현대모비스(+0.88%),
현대차(+0.83%),
POSCO(+0.44%)
등이 상승.
반면,
SK이노베이션(-1.64%),
LG전자(-1.61%),
삼성SDI(-1.13%),
LG생활건강(-0.85%),
SK하이닉스(-0.78%),
LG화학(-0.74%),
신한지주(-0.35%),
KB금융(-0.17%)
등은 하락.
삼성전자,
NAVER는
보합.
업종별로도 등락이 엇갈림.
운수창고(+2.79%),
통신업(+1.06%),
의약품(+0.97%),
운수장비(+0.74%),
서비스업(+0.58%),
보험(+0.51%),
건설업(+0.18%),
철강금속(+0.17%),
은행(+0.06%)
업종 등이 상승.
반면,
기계(-7.35%),
전기가스업(-2.56%),
의료정밀(-1.92%),
화학(-0.79%),
종이목재(-0.79%),
전기전자(-0.41%),
제조업(-0.40%),
음식료업(-0.17%),
비금속광물(-0.11%)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3,247.83(-4.29P/-0.13%)
- 코스닥시장 -
6/8 KOSDAQ 986.12(+0.03%)
기관 순매수(+), 제약/바이오株 강세(+), 외국인/개인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차익실현 매물속 관망 심리 확산 등에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86.43(+0.57P, +0.06%)으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988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이내 하락 전환했고 낙폭을 키워 982.75(-3.11P, -0.32%)에서 저점을 형성.
점차 낙폭을 만회하던 지수는 오전 중 반등에 성공한 뒤 988.35(+2.49P, +0.25%)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987선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세를 이어간 끝에 결국 986.12(+0.26P, +0.03%)으로 장을 마감.
이번주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美 소비자물가지수,
ECB 통화정책 회의 등 국내외 굵직한 이벤트를 앞두고 제한된 움직임 속에 강보합마감.
기관이 이틀 연속 순매수를 이어간 가운데,
美 FDA 알츠하이머 신약 신속 승인 등에 제약/바이오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짐.
다만, 관망심리 확산 속 외국인과 개인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수급별로는 기관이 551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95억, 115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알테오젠(+6.72%),
셀트리온제약(+4.14%),
제넥신(+2.54%),
펄어비스(+1.90%),
셀트리온헬스케어(+1.88%),
엘앤에프(+0.32%),
에코프로비엠(+0.28%),
휴젤(+0.18%),
에스티팜(+0.09%)
등이 상승.
반면,
솔브레인(-2.97%),
케이엠더블유(-1.46%),
원익IPS(-1.19%),
SK머티리얼즈(-1.16%),
카카오게임즈(-1.07%),
리노공업(-0.71%),
씨젠(-0.48%),
스튜디오드래곤(-0.31%),
티씨케이(-0.06%)
등은 하락.
CJ ENM,
에이치엘비는
보합.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금속(-1.68%),
기타 제조(-1.36%),
오락/문화(-1.22%),
반도체(-1.03%),
건설(-0.90%),
통신장비(-0.82%),
IT H/W(-0.81%),
정보기기(-0.80%),
기계/장비(-0.73%),
금융(-0.73%),
종이/목재(-0.66%),
인터넷(-0.48%),
방송서비스(-0.44%),
운송(-0.44%),
비금속(-0.40%)
업종 등이 하락.
반면,
기타서비스(+1.76%),
유통(+0.94%),
제약(+0.87%),
컴퓨터서비스(+0.61%),
음식료/담배(+0.37%),
섬유/의류(+0.26%),
운송장비/부품(+0.23%)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986.12P(+0.26P/+0.03%)
https://news.v.daum.net/v/20210609000257551
https://news.v.daum.net/v/20210608221203455
https://news.v.daum.net/v/20210608202704761
https://news.v.daum.net/v/20210608195010177
https://news.v.daum.net/v/20210608203601886
https://news.v.daum.net/v/20210608213542815
https://news.v.daum.net/v/20210608210300287
https://news.v.daum.net/v/20210608212135566
'주식 시장 간단 브리핑 > 상호변경, 오늘 주식시장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6.10(목) 시장 정리 (0) | 2021.06.11 |
---|---|
2021.06.09(수) 시장 정리 (0) | 2021.06.10 |
2021.06.07(월) 시장 정리 (0) | 2021.06.08 |
2021.06.04(금) 시장 정리 (0) | 2021.06.05 |
2021.06.03(목) 시장 정리 (0) | 2021.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