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1일 화요일
1. 영국 버밍엄 2021 국제 상용차 박람회(현지시간)
2. 더불어민주당 대선 지역순회 경선 투표 예정
3. 11번가, 아마존 스토어 출시 예정
4. 한국철도공사, 추석 승차권 비대면 사전 판매 예정
5. 7월 산업활동동향
6. 7월 관광통계
7. SK리츠 공모청약
https://goodp7.tistory.com/1864?category=431439
8. 와이엠텍 공모청약
9. 에이비온 공모청약
https://goodp7.tistory.com/1863?category=431439
10. 이노와이즈 상장폐지
11. 에이디칩스 추가상장(유상증자)
12. 코아스템 추가상장(CB전환)
13. 코스나인 추가상장(CB전환)
14. EG 추가상장(CB전환)
15. 테라사이언스 추가상장(CB전환)
16. CJ CGV 추가상장(CB전환)
17. 서울리거 추가상장(BW행사)
18. 케이피엠테크 추가상장(BW행사)
19. 베노홀딩스 보호예수 해제
20. 에스앤에스텍 보호예수 해제
21. 한국코퍼레이션 보호예수 해제
22. 美) 6월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23. 美) 6월 S&P 코어로직/CS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24. 美) 8월 시카고 PMI(현지시간)
25. 美) 8월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26. 유로존)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예비치(현지시간)
27. 독일) 8월 실업률(현지시간)
28. 영국) 7월 영란은행(BOE) 실질금리(현지시간)
29. 영국) 8월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30. 中) 8월 제조업 PMI
31. 中) 8월 비제조업 PMI
32. 日) 7월 실업률
33. 日) 7월 산업생산(예비치)
34. 日) 7월 건설수주
35. 日) 8월 소비자신뢰지수
* 야구 일정
18시30분
KIA(멩덴) VS 두산(미란다) <잠실>
KT(소형준) VS 한화(김기중) <대전>
LG(수아레즈) VS 롯데(최영환) <사직>
NC(루친스키) VS SSG(최민준) <문학>
키움(김선기) VS 삼성(백정현) <대구>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8월 31일 화요일
1. 영국 버밍엄 2021 국제 상용차 박람회(현지시간)
2. 더불어민주당 대선 지역순회 경선 투표 예정
3. 11번가, 아마존 스토어 출시 예정
4. 한국철도공사, 추석 승차권 비대면 사전 판매 예정
5. 7월 산업활동동향
6. 7월 관광통계
7. SK리츠 공모청약
8. 와이엠텍 공모청약
9. 에이비온 공모청약
10. 이노와이즈 상장폐지
11. 에이디칩스 추가상장(유상증자)
12. 코아스템 추가상장(CB전환)
13. 코스나인 추가상장(CB전환)
14. EG 추가상장(CB전환)
15. 테라사이언스 추가상장(CB전환)
16. CJ CGV 추가상장(CB전환)
17. 서울리거 추가상장(BW행사)
18. 케이피엠테크 추가상장(BW행사)
19. 베노홀딩스 보호예수 해제
20. 에스앤에스텍 보호예수 해제
21. 한국코퍼레이션 보호예수 해제
22. 美) 6월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23. 美) 6월 S&P 코어로직/CS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24. 美) 8월 시카고 PMI(현지시간)
25. 美) 8월 소비자신뢰지수(현지시간)
26. 유로존)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예비치(현지시간)
27. 독일) 8월 실업률(현지시간)
28. 영국) 7월 영란은행(BOE) 실질금리(현지시간)
29. 영국) 8월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30. 中) 8월 제조업 PMI
31. 中) 8월 비제조업 PMI
32. 日) 7월 실업률
33. 日) 7월 산업생산(예비치)
34. 日) 7월 건설수주
35. 日) 8월 소비자신뢰지수
* 야구 일정
18시30분
KIA(멩덴) VS 두산(미란다) <잠실>
KT(소형준) VS 한화(김기중) <대전>
LG(수아레즈) VS 롯데(최영환) <사직>
NC(루친스키) VS SSG(최민준) <문학>
키움(김선기) VS 삼성(백정현) <대구>
- 코스피시장 -
8/30 KOSPI 3,144.19(+0.33%) 파월 Fed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기관 순매수(+), 외국인/개인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 역시 3,160.87(+26.97P, +0.86%)로 상승 출발. 장초반 3,164.87(+30.97P, +0.9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 오전 중 약보합세로 돌아선 지수는 3,132.77(-1.13P, -0.0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이내 반등에 성공. 이후 장 마감까지 3,145선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세를 이어간 끝에 3,144.19(+10.29P, +0.33%)로 장을 마감.
파월 Fed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속에 美 긴축 우려가 다소 완화되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 지난 주말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에서 파월 의장이 연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공식화했지만, 금리 인상까지는 멀었다고 언급하는 등 비둘기파적 입장을 나타냄. 기관은 이틀 연속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다만, 외국인이 사흘 연속 매도세를 이어간 데다 개인도 이틀째 순매도하면서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특히, 정부가 2.4대책 후속조치로 제3차 신규 공공택지 14만호의 입지를 확정해 발표하는등 주택공급 확대 기대감 속에 건설 업종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철광석 가격 반등 등에 철강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짐.
질병관리본부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487명(국내 발생 1,426명, 해외 유입 61명)으로 집계됐음. 주말을 맞아 검사량 감소로 전일대비 감소세를 나타냈지만, 55일 연속 1,000명 이상 발생하는 등 여전히 4차 유행은 지속되는 모습.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이 2,526억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340억, 575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기관이 1,812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545계약, 655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2원 하락한 1,167.0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0bp 하락한 1.398%,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2.6bp 하락한 1.913%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7틱 상승한 110.52로 마감. 외국인이 6,973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5,386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7틱 상승한 128.10으로 마감. 외국인이 4,282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966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POSCO(+5.40%), SK바이오사이언스(+3.45%), NAVER(+1.90%), 카카오(+1.00%), 현대차(+0.72%), 기아(+0.61%), 현대모비스(+0.55%), SK이노베이션(+0.42%), LG생활건강(+0.21%) 등이 상승. 반면, 카카오뱅크(-2.27%), LG화학(-1.66%), 셀트리온(-1.19%), 삼성물산(-0.75%), LG전자(-0.71%), 삼성SDI(-0.26%) 등은 하락.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크래프톤은 보합 마감.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건설업(+4.04%), 철강금속(+3.56%), 비금속광물(+2.65%)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음식료업(+1.62%), 운수창고(+1.32%), 운수장비(+0.90%), 서비스업(+0.80%), 기계(+0.75%), 통신업(+0.61%), 제조업(+0.45%), 의약품(+0.31%), 전기전자(+0.21%)업종 등이 상승. 반면, 의료정밀(-2.83%), 은행(-2.13%), 보험(-1.88%), 금융업(-1.32%), 증권(-0.23%), 섬유의복(-0.15%)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3,144.19P(+10.29P/+0.33%)
- 코스닥시장 -
8/30 KOSDAQ 1,031.84(+0.81%) 파월 Fed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외국인/개인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1,030.65(+7.14P, +0.70%)로 상승 출발. 오전 중 상승폭을 다소 축소해 1,027.84(+4.33P, +0.42%)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재차 상승폭을 키워 오후 장중 1,035.77(+12.26P, +1.2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후반 일부 상승폭을 반납한 지수는 결국 1,031.84(+8.33P, +0.81%)로 장을 마감.
지난 주말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에서 파월 의장이 연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공식화하면서도 금리 인상까지는 멀었다고 언급하는 등 비둘기파적 입장을 나타낸 점이 호재로 작용. 외국인과 개인은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08억, 257억 순매수, 기관은 248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셀트리온제약(-2.33%), 엘앤에프(-2.16%), 셀트리온헬스케어(-2.11%), 천보(-1.77%), 솔브레인(-1.70%), 오스템임플란트(-1.36%), 에코프로비엠(-1.33%), SK머티리얼즈(-1.20%), 리노공업(-1.01%), 알테오젠(-0.49%), 휴젤(-0.21%)등은 하락. 반면, 펄어비스(+14.61%), 에이치엘비(+9.50%), 씨젠(+1.25%), 스튜디오드래곤(+1.17%), 바이오니아(+1.08%), CJ ENM(+0.94%), 원익IPS(+0.33%)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디지털컨텐츠(+5.82%), 운송장비/부품(+4.59%), IT S/W & SVC(+3.07%),건설(+2.87%)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비금속(+1.96%), 기타서비스(+1.45%), 통신장비(+1.26%), 화학(+0.81%), 제조(+0.71%), 통신서비스(+0.68%), 금속(+0.66%), 기타 제조(+0.64%), 소프트웨어(+0.63%), 일반전기전자(+0.54%)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출판/매체복제(-1.31%),유통(-0.88%), 오락/문화(-0.75%), 의료/정밀 기기(-0.14%) 등 일부 업종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1,031.84P(+8.33P/+0.81%)
https://auto.v.daum.net/v/20210830140003090
https://news.v.daum.net/v/20210830183831594
https://news.v.daum.net/v/20210830191830194
https://news.v.daum.net/v/20210830165106716
https://news.v.daum.net/v/20210830181332130
https://news.v.daum.net/v/20210830201533857
https://news.v.daum.net/v/20210830202606935
https://news.v.daum.net/v/20210830174115222
'이슈 테마 스케쥴 > 이슈.테마.스케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9.02(목)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09.02 |
---|---|
2021.09.01(수)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09.01 |
2021.08.30(월)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08.27 |
2021.08.27(금)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08.26 |
2021.08.26(목)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