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용어 2편입니다.
앞글에서는
ㄱ부터 ㅂ까지 살펴봤습니다.
주식시장 용어.의미(ㄱ, ㄴ, ㄷ,ㄹ,ㅁ,ㅂ)편....괴리율,기세,등가격,모멘텀..(47건)
주식용어 편입니다. 주식관련해서 여러 단어를 접하게 되는 내용들은많지만막연하게 알고 있는 단어들이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도그동안 무심하게 접해온많은 단어들에 대해서이 기회에
goodp7.tistory.com
이제부터는
ㅅ부터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48 . 사이드카 (Sidecar)
파생상품시장에서 선물가격이 급등락할 경우
프로그램매매가 주식시장(현물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주식시장 프로그램매매호가의 효력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제도이다.
Side Car와 Circuit Breakers
Side Car(사이드카, 호가효력 일시정지)는
경찰 오토바이 Side Car가 길을 안내하듯이
급변하는 가격으로 사고가 나지 않도록
유도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선물가격이 급변하는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체결을 중단시키는 제도입니다.
선물가격이 전일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하여 1분 간 지속될 경우 발동되며,
발동 후 5분간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효력이 정지됩니다.
즉 Side Car 발동 시에는 프로그램 매매호가의 체결만 중단될 뿐
현물과 선물의 거래가 중단되지는 않습니다.
이에 반해, Circuit Breakers(CB, 필요적 중단)는
거래를 중단시키는 제도입니다.
서킷 브레이커란 과열된 회로(Circuit)를
차단한다(Break)는 뜻으로 전기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면
자동으로 회로를 끊어 화재를 방지하는 부품인
서킷브레이커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CB는
20분간 현물과 선물의 매매를 중단시키거나 장을 종료시킵니다.
Side Car와 CB는 미국에서 사상 최대 폭락을 기록했던
1987년 10월의 '블랙먼데이' 이후 주식시장 붕괴를 막기 위해
과열된 투자심리를 냉각시키자는 취지로 최초로 도입되었습니다.
49 . 상대가격 평균 회귀
조회 대상 종목과 여타 종목들의 상대적 가격을 변수로 한
시계열 모형에 의해 조회 대상 종목과 유사한
주가 흐름을 나타냈던 종목을 표출합니다.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며,
수치가 클수록 상이한 패턴을 지닙니다.
50 . 상장 주식 회전율
거래량을 당해 기간 중의
평균상장주식수로 나눈 것으로
주식의 유통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산출되는 지표이다.
상장주식회전율 (거래량회전율) = 총 거래량 ÷ 평균 상장주식수 × 100
상장주식회전율은
특정 종목이나 특정 시장의 유통 상황을 파악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시장별로 또는 상장회사별로 1주당 주가수준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별 종목 또는 시장 간 비교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값이 싼 주식이 많이 거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저가주가 많은 시장이라면
고가주가 많은 시장에 비해 회전율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주식 유통 정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는 상장주식회전율보다
시가총액회전율을 활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
51 . 상장 지수 증권 (ETN, Exchange-traded Note)
여러 상품과 관련한 기초지수변동과 투자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회사가 담보 없이 신용으로만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이다.
ETN의 발행주체는 증권회사이며,
발행사는 변동하는 지수수익률에 의해
결정되는 실질가치를 정해진 만기에 투자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즉, 채권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Note’라는 이름이 붙었다.
즉, ETN의 수익은 기초자산(지수)의 수익과 같다고 볼 수 있다.
ETN의 수익 = 투자기간동안의 기초지수 수익 - 수수료(제비용)
수익구조 등 경제적 실체 측면에서 비교해 보면
ETN은 그 상품구조가 ETF와 유사하다.
하지만 ETF는 자산운용사가 발행하고,
ETN은 증권회사가 발행한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한국거래소는 저금리·저성장 현상을 보이는
최근 금융환경 하에서 중수익·중 위험의 상품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아울러 국내 증권회사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수익원 창출 수요가 증대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해외에서 활성화된 ETN시장의 도입을 추진하였다.
52 . 상장지수 펀드 (ETF, Exchange-traded Funds)
코스피200과 같은 특정 지수 또는
특정 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로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를 말한다.
주식의 성격을 갖추게 되어
개별주식의 매매 편의성과 인덱스펀드의 구성종목에 대한
분산투자 및 낮은 거래비용 등 장점이 많아
미국, 유럽, 아시아 및 남미 등 전 세계적인 금융투자상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 4월 「증권투자신탁업법」과 「증권투자회사법」을
개정하여 ETF 도입근거가 마련되어
같은 해 10월 14일 코스피200과 코스피50을 기초지수로 하는
4개의 ETF가 처음으로 상장된 시장이 개설되었다.
처음에는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대부분이었지만
진화를 거듭해 국내 주식, 해외 지수, 채권, 차생상품, 원자재,
부동산, 외화 등을 활용한 상품으로 영역이 넓어졌다.
53 . 샤프 비율
특정 종목에 대해
과거 일정거래일동안
주가가 상승한 거래일의 비율(%)이며,
통상 12거래일을 사용합니다.
투자심리선은
해당 종목이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인지를 파악함으로써
투자자 심리가 낙관적인지 비관적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75% 이상이면 해당 주식이 과매수 상태,
25% 이하이면 과매도 상태로 해석합니다.
54 . 서킷브레이커스 (CB, Circuit Breakers)
증시의 내·외적 요인에 의해
주가지수가 일정수준 이상 급락하는 경우
시장참여자들에게 냉정한 투자판단의 시간(Cooling-off Period)을
제공하기 위해 증권시장 전체의 매매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제도이다.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98.12월 가격제한폭을 확대(12%→15%)하면서
이에 따른 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완화하기 위해
CB제도(10% 이상 하락 시 20분 중단, 1일 1회 발동)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우리 증시의 낮아진 변동성 수준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발동기준(10%)으로 인해
시장에 큰 충격이 발생하는 때에도 중단되지 않고,
1일 1회 발동구조에서는 발동 직후 추가적인 하락 시
대응이 어려운 등 시장전체 차원의 안정화장치로서의
유효성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15.6월 가격제한폭 30% 확대와 함께
동 제도를 단계적 발동구조로 대폭 개선하였다.
1단계 | 전일대비 8% 이상 하락하여 1분 간 지속 | 20분 간 매매중단 후 10분 간 단일가매매로 시장재개 |
2단계 | ① 전일대비 15% 이상 하락하여 1분 간 지속 & ② 1단계 발동시점 대비 1% 이상 추가하락 |
20분 간 매매중단 후 10분 간 단일가매매로 시장재개 |
3단계 | ① 전일대비 20% 이상 하락하여 1분 간 지속 & ② 2단계 발동시점 대비 1% 이상 추가하락 |
당일 장종료 조치 |
55 . 선물 (Futures)
특정일에 계약만 하면서
상품과 대금 인수도는
계약 이후의 특정 날짜에 하는 것으로 약속하고,
그 인수도일에 계약을 이행하는 거래이다.
선물거래는 매매계약이 이뤄지는
즉시 상품과 대금을 주고받는 현물거래와 대비된다.
선물거래에서 중요한 것은
미리 정한 계약일이 오면
그 사이 거래 당사자들이 거래하기로 한
상품의 시세가 오르든 내리든 거래를 이행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약정한 상품 인수도일의 상품 시세가
계약 당시 상품 시세와 달라지면
거래자 쌍방 간에 희비가 엇갈리게 된다.
한 쪽이 이익을 보면 다른 쪽은 반드시 손실을 보게 되어 있다.
소위 제로섬(zero sum) 거래이다.
오늘날 선물거래는
농산물, 금속 등 원자재와 증권, 외환,
금융상품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거래소에서
다양한 상품을 대상으로 한 선물거래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56 . 설정
투자자가 투자자금을 불입한 다음,
ETF 증권을 새로 발행하는 것을 말하며,
ETF 설정은 발행시장에서 이루어진다.
투자자가 발행시장의 지정참가회사(Authorizes Paricipant, AP)인
증권사를 통해 ETF 설정에 필요한 현금 등을 납입하면
CU(Creation Unit., 설정 및 환매 공식 단위)에 해당하는 수량 단위로만
ETF 수익증권이 발행된다.
57 . 설정단위 (CU, Creation Unit)
ETF 설정과 환매가 이루어지는 단위로,
1CU는 보통 수만 주~수십만 주로 정해진다.
개인투자자들은 주로 거래소를 통해 ETF 한 주,
열 주 등 주 단위로 매매하지만
기관투자자들은 발행시장에서의 설정과 환매를 통해
CU단위로 ETF에 투자하게 된다.
58 . 성장성 측정지표
기업의 매출 증가액을 기준으로 수치화한 성장성 지표로
기업가치 판단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치가 높은 기업이
낮은 기업에 비해
성장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나타냅니다.
59 . 소액 채권 시장
주택구입·부동산 등기·자동차 등록 등
각종 인·허가시에 반드시 매수해야 하는
첨가소화채권이 헐값에 매각되는 폐단을 해소하고
환금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1995년 개설된 특수 목적의 시장이다.
이에 따라 소액채권시장에는
소액채권매입의무자,
소액채권매수전담회원,
소액채권매도대행회원,
소액채권매출대행기관 등
여타 시장에는 존재하지 않는
제도적 기능을 수행하는 시장참여자들이 있다.
60 .손실제한 ETN
기초지수에 선형이 아닌
다양한 수익구조로 연계되는 ETN으로,
2017년 3월 도입되었다.
손실제한 ETN은 기초지수가 하락하더라도
만기 때 최소상환가격(제비용 차감 전)이
사전에 약정된 수준(발행가액(10,000원)의
70% 이상 98% 이하)으로 보장되기 때문에
최대 손실이 제한되는 특징이 있다.
손실제한 ETN은
2017년 12월말 기준으로
한국거래소에 총 23종목이 상장되어 있다.
기초지수는 국내 대표지수인 코스피200 지수이며,
수익구조 유형은 콜, 콜스트레드, 풋, 풋스프레드, 콘도르, 버터플라이 등
다양한 유형의 상품이 상장되어 있다.
현재 상장된 기초지수와 수익구조 유형 이외에도
다양한 국내외 대표지수와 수익구조를 갖는 상품이
단계적으로 상장될 예정이다.
61 . 수익률 상관관계
조회 대상 종목과 여타 종목간의
과거 수익률 상관관계를 산출하여
상관관계가 높은 종목을 표출합니다.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며,
수치가 0에 가까울수록 상이한 패턴을 지닙니다.
62 . 수익성 측정지표
기업의 분기별 매출액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을
기준으로 수치화한 수익성 지표로
기업가치 판단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치가 높은 기업이
낮은 기업에 비해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나타냅니다.
63 . 수익증권
투자전문기관이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할 목적으로
일반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서
특정 증권에 투자를 하여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기로
계약한 권리증서이다.
즉, 일반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서
특정 증권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펀드를 구성해야 한다.
펀드투자는 일반투자자들의 직접 투자에 따르는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투자전문기관인
투신운용·자산운용 회사에 투자를 위임하는 간접투자 방식이다.
일반투자자들로서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음과 동시에
직접투자에 따르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64 . 수정 거래 회전율
특정 종목에 대해
하루동안의 거래회전율에
해당 거래일의 주가가
상승했을 경우 (+1)의 값을,
하락했을 경우 (-1)의 값을 곱하여 구합니다.
수정 거래회전율이
큰 양의 값을 가지면 투자심리가 낙관적이며,
큰 음의 값을 가지면 비관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65 . 순자산가치 (NAV, Net Asset Value)
다른 증권과 달리 ETF에 투자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 중에서는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가 있다.
순자산가치는
주식, 현금, 배당, 이자소득 등을 포함한
ETF의 순자산가치이며,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 또는 순자산총액이라고 한다.
한 좌당 순자산가치(NAV)는
전체 순자산총액(AUM, Asset Under Management)을 발행
ETF 증권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순자산가치(NAV)는 보통 하루 한번 저녁에 산출되고,
이 지표는 판매회사의 영업점포나 거래소에 공시된다.
또한 거래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전일 발표된 자산구성내역을 기초로
추정 순자산가치를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보여준다.
이는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시장가격이 실시간 순자산가치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데,
순자산가치를 실시간 공시하면
시장가격이 실제 순자산가치에 수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ETF 자산에서 운용사에게 운용보수를 지급해야 한다.
보통 분기별로 3개월에 해당하는 운용보수를 현금으로 지급한다.
그러나 매일 회계처리를 할 때는 하루치의 보수를 계산하여
미지급보수라는 이름으로 부채를 인식하고
이 금액만큼 NAV에서 차감하게 된다.
66 . 시가총액
전체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것으로,
개별 상장회사의 가치는
주식시장에서 형성된 주가와 상장주식수로 계산되며,
개별 상장회사의 시가총액을 모두 합치면
전체 증권시장의 시가총액이 된다.
시가총액 = 주가 × 상장주식수
시가총액은 회사별 자산총액,
매출액 등과 함께 회사의 가치를 재는 핵심 데이터이며,
타 회사와 비교할 때 자주 이용되는 중요한 지표이다.
67 . 시가 총액 회전율
일정기간 중의 거래대금을
당해 기간 중의 평균시가총액으로 나눈 것으로,
주식 유통 정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는
나라마다 1주당 주가수준에 차이가 있으므로
상장주식회전율보다 시가총액회전율을 활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시가총액회전율 (거래대금회전율) = 총 거래대금 ÷ 평균 시가총액 × 100
68 . 시장가호가 (Market Order)
수량을 지정하되
가격은 지정하지 않는 호가로서,
현 시점에서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으로
즉시 매매거래를 하고자 하는 호가이다.
시장가호가는
매매거래가 신속히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방 주문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현재가와 현저히 괴리된 가격으로 체결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정리매매종목,
신주인수권증서,
신주인수권증권,
ELW와 같이
가격제한이 없는 종목 등의 경우에는
시장가호가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69 . 시장 경보 제도
투기적이거나 불공정거래의 개연성이 있는
종목 또는 주가가
단기간에 비정상적으로 급등하는 종목의 경우
투자자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이다.
일반투자자의 추종매매를 억제하고
불공정거래의 확산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하여
‘투자주의종목→투자경고종목→투자위험종목’으로 이어지는
3단계의 경보체계로 운영되고 있다.
투자경고종목으로서
그 지정일 이후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 경우,
투자위험종목으로 지정되는 경우 및
투자위험종목 지정일 이후
추가적으로 주가가 계속 상승하는 경우에는
각각 1일간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70 . 신규상장기업 분석 보고서
코스닥 신규상장기업에 대한 기업분석 정보를
투자자에게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상장주선인에게 신규상장법인의 재무상황등을
한국거래소에 제출하고 주관하고
주관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3년간 6회 이상(반기별 1회 이상) 게시하도록 의무화한 보고서 입니다.
71 . 신용거래
투자자가 증권회사로부터
주식 매입자금을 빌리거나 주식을 빌려서 매매하는 거래형태이다.
신용거래 투자자는 정해진 기한까지
증권회사로부터 빌린 현금이나 주식을 되돌려 주어야 한다.
원래 신용거래 도입 취지는
시장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데 있다.
주식 매입(매도) 신용거래에서는
증권사가 상환시까지 매입(매도)한 주식(대금)을 담보로 잡아 놓는다.
담보 잡힌 주식을(대금으로) 되팔아(주식을 되사서) 상환할 수도 있다.
72 .신용거래 잔고
상환되지 않은 현금이나 주식을 말하며,
매수 주식잔고 또는 매도 현금잔고라고 한다.
이는 가까운 장래의 시장수급 동향 파악에 활용할 수 있다.
매수 잔고는 멀지 않아 주식을 팔아야 할 잠재적 매도 세력이고,
매도 잔고는 가까운 장래에 주식을 사들일 잠재적 매수 세력인 셈이다.
경제학에서 얘기하는
수요와 공급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하면
신용거래 잔고는 증권시장 수급동향 파악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신용거래잔고가 적정 수준을 초과하면
투기성을 내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많아서
급격한 주가변동을 초래하고
주식시장을 과열시킬 우려도 있다.
신용거래잔고가 적정수준을 넘었다고 판단되면
시장관리자가 신용거래를 제한하기도 한다.
73 . 신주인수권 부사채 (BW, Bond with Warrant)
일정기간 내에 미리 정해진 가격(신주인수가격)으로
일정액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Warrant)가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
신주인수권의 분리 유통성 여부에 따라
분리형과 비분리형으로 나누어지고
신주인수권의 행사청구방법에 따라
현금납입형과 대용납입형으로 분리된다.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신주인수권행사에 의한
주식매입으로 자본이득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낮은 표면이자율로 발행이 가능하다.
동 사채의 발행은 기업측면으로 볼 때
자금조달이 용이하고
투자자 측면에서는 주가가 상승하면
시가 이하로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환사채와 비교하여 보면
전환사채의 경우 전환권을 행사하면
사채권자로서의 지위가 소멸되나
신주인수권부사채의 경우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여도
사채 자체는 소멸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수 권리를 행사할 때에는
신주의 대금은 따로 지불해야 한다.
74 . 실시간 가격 제한 제도
2014년 9월 1일부터 착오거래로 인한 가격 급변과
대규모 손실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투자자를 보호하고 시장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유동성이 풍부한 상품에 한해 실시간가격제한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실시간가격제한은 경쟁매매시간(접속거래시간) 동안
직전 체결가격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를 벗어난
호가(고가매수 또는 저가매도)의 접수를 거부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때 일정 범위는 코스피200선물 및
달러선물의 경우 ±1%, 3년 국채선물의 경우 ±0.5%이다.
실시간가격제한제도는
코스피200선물·옵션, 주식선물, 통화선물, 3년·10년국채선물의 최근월물,
최근월물 최종거래일 4거래일 전부터의 차근월물, 최-차근월물 간
스프레드에 한해 적용되고 있다.
75 . 실시간 순자산 가치 (iNAV, indicative Net Asset Value)
투자자들이 적절하지 못한 가격으로 매매하는 것을 방지하고
ETF의 시장가격이 기초지수의 성과대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ETF NAV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데,
이 지표를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라고 한다.
ETF의 실시간 가치를
100%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추정'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ETF 중에서도 국내에서 거래되는 자산에 투자하는 ETF의 iNAV는
그 정확성이 높아 사실상 그 시점의 실제 가치이다.
투자자는 iNAV를 기준으로
매수 또는 매도호가를 제출하여 거래가 체결되기 때문에
ETF의 가격이 기초지수의 움직임을 잘 따라갈 수 있다.
각 증권회사 HTS마다 iNAV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iNAV라고 하거나, 장중/당일/현재 NAV라고도 하고 아무런 수식어구 없이
NAV로 표시되기도 하여 이 경우
해당 숫자가 계속 변하고 있다면 iNAV를 뜻하는 것이다.
76 . 실시간 지표 가치 (iIV, interday Indicative Value)
ETN 1증권당 장중실질가치로서,
전일 지표가치에 당일 장중 기초지수 변동률을 반영하여 산출하며,
제비용, 배당금 등의 세부적인 변동은 반영하지 않는다.
기초지수가 실시간 변하는 부분을 반영하고
투자자간의 정보 불균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출주기는 기초지수 산출주기와 동일하게 15초 이하로 설정해
투자자들은 iIV를 모니터링하면서 ETN의 적정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iIV는 장중에 ETN을 매매할 때 시장가격의 고평가,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77 . 실적개선랭킹
기업별로 전년 동기/전년 대비
주요 실적 개선 비율을 산출하여 상위 기업 순으로 제공합니다.
흑자 전환 종목들의 경우
흑자 규모 순으로 별도 순위를 산출합니다.
78 . 알고리즘 매매
매매기회를 포착하여 주문을 내는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만든 거래방식이다.
미리 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시장상황이 연출되면
지체 없이 주문이 자동으로 나가게 된다.
거래 건수가 많아지므로
시장가격에 미칠 영향(시장충격, market impact)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문을 소규모로 분할하고
단시간에 많은 주문을 내도록 해야 한다.
시장 환경에 대응하여 매매전략이 수시로 변하므로
주문 취소율도 증가하며,
따라서 거래체결률은 낮아진다.
알고리즘 거래는
시장에 풍부한 유동성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시장 안정성을 해친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79 . 애널리스트 분석 보고서
애널리스트 보고서(Analyst Reports)는
전문분석가(Analyst)에 의해 작성된 보고서로서,
국내외 경제상황, 산업 및 개별기업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기업의 투자등급, 목표가격, 실적 전망치 및
기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정보와 관련 논평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 보고서를 통하여
다양한 경로로 유통되는
주요 기업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기업과 투자자 사이의 존재하는
정보 불균형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80 . 액티브ETF
기초자산 수익률 뿐만 아니라
초과수익 실현을 목표로
편입 종목이나 매매 시점 등을
펀드매니저가 재량적으로 운용하는 ETF로,
2017년 6월 도입되었다.
현재 액티브 ETF는 저비용·접근성 등 ETF의 제도적 장점과
시장 수익률 대비 초과성과 달성을 추구하는
장외 액티브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이다.
액티브 ETF는 벤치마크 대상인 ""비교지수""를 설정하고
비교지수 대비 초과수익 달성을 목표로 한다.
즉 성과를 추종하는 기초지수가 존재하지 않고
성과평가의 지표가 되는 비교지수만 존재하며,
편입자산도 비교지수와 달리 구성할수 있다.
다만 비교지수와 상관관계가 0.7 이하로 3개월 이상 지속 시
상장폐지하도록 하여 상품의 계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자산유형은 채권형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일반 ETF처럼 매일 PDF를 공시하고 있다.
또한 LP의무에 해당하는
호가스프레드 비율 및 괴리율을 기존 ETF와 동일하게 유지하며,
투자자의 원활한 거래를 돕고 있다.
액티브 ETF는 지수를 초과하는 성과를 내기 위해 고안되었으나,
매니저의 운용능력 및 시장 상황에 따라서
목표한 초과성과를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투자설명서와
해당 액티브 ETF의 투자 전략에 대해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81 . 옵션 (Option)
① 특정시점(만기일)에
② 미리 정한 가격(행사 가격)과 수량으로
③ 거래쌍방 중 어느 일방이
④ 기초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계약을 말한다.
기초자산을 행사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계약을
‘콜 옵션(call option)’,
행사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계약을
‘풋 옵션(put option)’이라고 부른다.
또한, 옵션계약에서 권리를 부여받은 자를
‘옵션 매수자’라고 부르며
옵션계약에서 권리를 보장하는 자를
‘옵션 매도자’ 또는 ‘옵션 발행자’라고 말한다.
선물거래가 양 쪽 모두에게 의무와 권리를 부여한 반면,
옵션의 경우 어느 한 쪽은 권리만을 취하고
어느 한 쪽은 의무만을 가지게 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옵션도 선물처럼 주식, 통화, 채권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만들어내는
파생상품(derivatives)의 일종으로,
선물거래와 비슷하다.
매매계약 때 증거금을 납부해야 하고
상품 매매 후 일정 기일 내지 기간 안에
거래계약을 결제해야 한다.
하지만 옵션에는 선물과 달리 일일정산제도는 없다.
82 . 옵션 프리미엄 (Option Premium)
권리를 취한 ‘옵션 매수자’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의무를 부담한
‘옵션 매도자’에게 지급하는 대가를 말한다.
이것을
‘옵션 가격’또는 ‘옵션 프리미엄(option premium)’이라 한다.
옵션의 가치가 올라가면
프리미엄은 비싸지고
가치가 떨어지면 프리미엄은 싸지게 된다.
옵션프리미엄은
기초자산의 가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으며,
그 외에도 행사가격, 기초자산 가격의 변동성,
만기일까지의 잔존기간,
단기금리 등 여러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시장참가자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국거래소는 일정한 기준을 통해
변동성을 공표해 투자시 참조하도록 하고 있다.
83 . 외가격
옵션의 행사가격과 기초자산의
시장가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콜 옵션의 매입 시
기초자산의 시장가격이 옵션의 행사가격보다 낮은 경우,
풋 옵션의 매도 시 기초자산의 시장가격이 옵션의 행사가격보다 높은 경우를 가리키며,
이론적으로 옵션의 가치가 없다.
행사가치가 없고 오로지 시간가치만 갖는 옵션
즉, 권리 행사로 이익을 얻지 못하는 옵션은
외가격옵션(Out-of-The-Money Option, OTM)이라 한다.
외가격옵션 종목 중 특히 권리를 행사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은 과외가격옵션(Deep-Out-of-The-Money Option, Deep OTM)이라고 한다.
84 . 외국인 투자자
증권투자자는
크게 개인, 기관투자자, 외국인, 기타 투자자로 구분된다.
외국인은 금융감독원에 외국인투자등록을 한 외국인과
6개월 이상 국내 거주 등의 요건에 따라
투자등록이 면제된 기타외국인으로 구분한다.
투자자 중에서도
특히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는
대규모 자금과 전문지식,
고도의 투자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장을 주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를 포함한
투자자별 거래동향 파악이 시황 분석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85 . 위탁증거금
회원이 고객으로부터
증권의 매매거래를 수탁하는 경우
해당 위탁자의 결제이행을 확보하기 위해
징수하는 현금 또는 증권을 말한다.
즉, 위탁주문이 체결된 후에 결제를 이행하지 않을 가능성에 대비하여
회원이 채권확보를 위한 담보를 해당 위탁자로부터 미리 징수하는 것이다.
회원은 매수주문을 수탁하는 경우에는
현금 또는 대용증권, 매도주문을 수탁하는 경우에는
해당 매도증권, 현금 또는 대용증권을
위탁증거금으로 징수할 수 있다.
86 . 유가 증권 시장 (KOSPI Market)
한국거래소 주식시장은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및 ‘코넥스시장’ 등
3개 시장으로 구분된다.
한국의 대표 증권시장인
유가증권시장에는 1956년 개장 이래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및 POSCO 등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대형 우량기업 주식이 상장되어 있다.
87 . 유동주식수 가중 시가총액식 지수
현재 한국거래소의 KOSPI200지수, KRX100지수 등은
유동주식수 기준 시가총액으로 산출하고 있다.
유동주식수 기준 시가총액식이란
실제 매매가 가능한 주식을 대상으로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이
기준시점 시가총액의 몇 배나 되는지를 계산해 지수를 구하는 방식이다.
유동주식수기준 시가총액식 주가지수 = 유동주식수 기준의 비교시점 시가총액 / 유동수직수 기준의 기준시점 시가총액 X 100
예를 들어,
KOSPI200지수는 유동주식수로 가중하여 산출하며,
유동주식수는 개별 종목의 지수반영주식수에 유동비율을 곱하여 산출한다.
유동비율 = 1 - (비유동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여기서
비유동주식수는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 해당 상장법인(자사주),
우리사주조합 및 정부(5% 이상인 경우)의 지분과 기타 유통이 제한되었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되고,
거래소가 공식적으로 확인 가능한 주식을 말한다.
88 . 이벤트 효과 분석
조회 대상 종목의
이벤트 시점을 기준으로
이벤트 이전 및 이벤트 이후 기간의
주요 시세 관련 성과를 표출합니다.
이벤트 시점 및 기간은
사용자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며,
이벤트 전후의 결과 비교를 통해
이벤트 효과를 확인하고
향후 투자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89 . 인버스 (Inverse) ETF
주식관련 장내외 파생상품 투자 및 증권차입매도 등을 통해
기초지수(KOSPI200)의 일일 변동률(일별수익률)을
음의 1배수 즉, 역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수익이 나도록 설계된 ETF이다.
예를 들어, KOSPI200 지수가 1% 상승하면
인버스ETF는 마이너스 1%의 수익률,
반대로 KOSPI200 지수가 1% 하락하면
인버스ETF는 플러스 1%의 수익률이 나도록 설계하여 운영한다.
인버스ETF는 KOSPI200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이 나는 등
주식시장의 하락에 대비하기 위한
헤지수단으로 소액투자가 가능하다.
90 . 일반상품선물
미래 일정시점에 거래할 일반상품(원자재, 귀금속, 에너지 상품 등)을
현재 미리 거래하는 계약으로
한국거래소에는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산출하는 돈육대표가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돈육선물,
순도 99.99%의 금지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선물이 일반상품선물로 상장되어 있다.
91 . 일반 채권 시장
시장참가에 자격제한이 없어
모든 투자자가 참여할 수 있는 시장으로서,
주식매매에 익숙한 투자자라면
큰 어려움 없이 채권을 매매할 수 있다.
국채, 지방채, 특수채, 회사채 등
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채권이 거래대상이며,
주로 회사채와 주권관련사채(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등) 및
제1·2종 국민주택채권의 거래가 많다.
일반채권시장에서 매매되는 채권 중
전환사채(CB)의 매매는 공정한 가격형성 및 유동성 제고를 위해
반드시 거래소시장을 통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채권시장의 거래는 최근 들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92 . 일부 충족 조건 (IOC, Immediate or Cancel)
해당 호가의 접수시점에서 호가한 수량 중
체결할 수 있는 수량에 대하여는 거래를 성립시키고
체결되지 아니한 수량은 취소하는 조건을 말한다.
93 . 일일 정산
파생상품거래는 최종거래일에 기초자산을 인수도하거나
차금을 수수하기로 하는 계약이므로
최초 계약체결 후 기초자산의 가격이 크게 변동하면
결제할 금액이 매우 커지게 된다.
즉 선물 상품의 가격변동에 따라
미결제약정의 평가손익이 변하다 보면
결제일까지 손익처리를 하지 않고 미룰 경우
결제 이행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말하자면 신용위험(credit risk)이 생기는 것이다.
투자자의 선물거래를 대행하는 증권사는
이 같은 고객의 신용위험을 예방하고
결제이행을 확보하기 위해
매일 손익 계산 작업을 해서 가격상승 또는
가격하락으로 발생된 손익을 계산하고
그 손익을 고객 계좌에 반영한다.
이를 일일정산이라고 한다.
일일정산을 달리 말하면,
증권사가 고객이 보유한 포지션을 거래소가 정하는
매일의 기준 가격으로 재평가하여
평가손익을 당일 중 고객의 증거금에 반영시키는 것인데,
이때 일일정산의 기준이 되는 가격을
정산가격이라고 한다.
'주식업종, 공모주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 용어.의미(ㄱ, ㄴ, ㄷ,ㄹ,ㅁ,ㅂ)편....괴리율,기세,등가격,모멘텀..(47건) (0) | 2024.08.04 |
---|---|
2024년 1월 공모주 달력(2023년 자료 포함) (0) | 2024.01.09 |
2023년 신규상장주 살펴보기(종목명.공모주금액.청약경쟁률등...) (2) | 2024.01.02 |
거래정지종목(코스피.코스닥) (0) | 2022.08.01 |
관리종목(코스피.코스닥) (0) | 2022.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