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시장 간단 브리핑/상승 종목&하락종목

2023.04.06(목),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유니온, 현대비앤지스틸, HLB이노베이션, 넥스트아이, 유니온머티리얼, 아바코, 제이스코홀딩스, 세토피아, KC코트렐, 피엔티, 동원시스템즈....

by goodpoint77777 2023. 4. 7.
728x90
반응형

4월-6일-목요일

 


 

- 코스피시장-

4/6 KOSPI 2,459.23(-1.44%)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경기 침체우려 지속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대부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488.00(-7.21P, -0.29%)으로 하락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낙폭을 확대해 2,473선까지 밀려나기도 함. 오전 중 일부 낙폭을 만회해 2,482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재차 낙폭을확대. 오후 들어 빠르게 낙폭을 키운 지수는 장후반 2,458.50(-36.71P, -1.4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2,459.23(-35.98P, -1.44%)으로장을 마감.

美 경제지표 부진 등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심화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재차 큰 폭으로 상승한 점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최근 지수 상승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등도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4거래일 연속, 기관은 3거래일만에 순매도.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24,000계약 넘게 순매도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음.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등 시총 상위 대부분 종목들이 하락.

美 고용지표 등 주요 경제지표가 연일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심화되는 모습. 최근 美 제조업지표에 이어 고용지표가 연일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나타냄. 현지시간으로 지난 4일 발표된 美 2월 구인건수가 2021년 5월 이후 약 2년 만에 1,000만건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 전일 발표된 민간 고용까지 부진한 모습을 보임.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3월 민간 부문 고용은 전월대비 14만5,000명 증가했음.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1만명 증가를 대폭 하회하는 수치로, 전월치에 비해서도 크게 둔화했음. 이에 오는 7일(현지시간) 발표되는 고용동향보고서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는 모습. 시장에서는 3월 비농업 고용이 23만8,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는 지난 2월 대비 증가폭이 크게 둔화된 수치임.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대만이 하락한 반면, 중국, 홍콩은 상승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835억, 5,065억 순매도, 개인은 9,568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4,074계약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13,347계약, 9,192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8.6원 상승한 1,319.1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3bp 하락한 3.211%,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4.8bp 하락한 3.278%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3틱 오른 105.14로 마감. 외국인이6,026계약 순매수, 은행, 금융투자는 2,223계약, 1,632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8틱 오른 114.48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1,591계약, 1,306계약 순매수, 보험, 금융투자는 1,575계약, 749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하락. 삼성SDI(-4.24%), NAVER(-3.66%), 카카오(-3.14%), POSCO홀딩스(-2.95%), KB금융(-2.51%), 삼성전자(-2.50%), LG전자(-2.48%), LG화학(-2.19%), 신한지주(-2.14%), 삼성물산(-1.92%), SK이노베이션(-1.62%), LG에너지솔루션(-1.36%), SK하이닉스(-0.95%), 현대모비스(-0.92%), 현대차(-0.86%), 기아(-0.37%) 등이 하락.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2.16%), 셀트리온(+0.57%), 포스코퓨처엠(+0.34%)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하락. 의료정밀(-2.73%), 전기전자(-2.19%), 섬유의복(-2.17%), 증권(-1.91%), 철강금속(-1.81%), 운수창고(-1.79%), 금융업(-1.61%), 서비스업(-1.57%), 제조업(-1.48%), 보험(-1.40%), 화학(-1.25%)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의약품(+1.20%), 전기가스업(+0.33%), 비금속광물(+0.31%), 통신업(+0.04%)만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459.23P(-35.98P/-1.44%)

 


- 코스닥시장-

4/6 KOSDAQ 865.58(-0.78%)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밤사이 뉴욕증시가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69.65(-2.71P, -0.31%)로 하락 출발. 장초반 869.94(-2.42P, -0.28%)에서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낙폭을 확대. 오전 중 낙폭을 축소하기도 했지만, 재차 낙폭을 확대했고 장후반 859.13(-13.23P, -1.52%)에서 저점을 형성. 장 막판 일부 낙폭을 만회한 지수는 결국 865.58(-6.78P, -0.78%)로 장을 마감.

美 고용지표 부진 등에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는 나흘만에 하락. 최근 지수 강세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등이 출회된 점도 부담으로 작용. 다만, 개인순매수 속 일부 2차전지, 바이오 관련주들이 상승하며 낙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 특히, 시총 1, 2위 에코프로비엠(+5.32%), 에코프로(+1.36%)가 강세를 기록.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192억, 1,190억 순매도, 개인은 3,373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레인보우로보틱스(-5.20%), 엘앤에프(-3.95%), 카카오게임즈(-3.73%), 펄어비스(-3.14%), 성일하이텍(-3.10%), 리노공업(-2.85%), 케어젠(-2.11%), 스튜디오드래곤(-1.71%), 삼천당제약(-0.82%) 등이 하락. 반면, 에코프로비엠(+5.32%), 알테오젠(+2.87%), 셀트리온헬스케어(+1.94%), 에스엠(+1.87%), 에코프로(+1.36%), 하림지주(+1.22%), 셀트리온제약(+1.08%), JYP Ent.(+0.91%), HLB(+0.70%),천보(+0.20%) 등은 상승. 오스템임플란트는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음식료/담배(-3.95%), 섬유/의류(-2.81%), 통신장비(-2.69%), 반도체(-2.34%), IT H/W(-2.30%), 디지털컨텐츠(-2.27%), IT 부품(-2.17%), IT S/W & SVC(-2.11%), 소프트웨어(-2.03%), 인터넷(-1.95%), 통신서비스(-1.89%), 정보기기(-1.86%), 비금속(-1.83%), 컴퓨터서비스(-1.65%), 화학(-1.65%)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일반전기전자(+2.98%), 금융(+0.50%), 유통(+0.22%) 등 일부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865.58P(-6.78P/-0.78%)

특징 테마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美·日·中 갈등 우려 속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정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대규모 투자 기대감 지속, '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 결성 추진 소식 등에 일부 마이크로바이옴 테마 상승.

▷정부, 체코 원전 수출 제동 보도 해명 소식 등에일부 원자력발 전 테마 상승.

▷정부, UAM 시범사업 비수도권으로 확대 소식 등에 일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테마 상승.

▷이 외에 니켈, 렌터카, 철강 중소형, 시멘트/레미콘, 태양광에너지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반면, 美 바이든 대통령 AI 위험성 언급 및 캐나다의 챗GPT 개인정보 침해 조사 착수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하락.

▷美 리튬 업체주가 약세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리튬 테마 하락.

▷국내 주요 은행 합산 1분기 순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은행 테마 하락.

▷메타, 메타버스서 AI 사업으로 사업 체제 변환 가능성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테마 하락.

▷경기 침체 우려 속 美 주요 대형 기술주 약세 등에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 등 테마 하락.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는 금감원 '빅테크 그룹 감독제도 개선' TF 가동 예정 소식 등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

▷美 경기 침체 우려 부각,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국내 증시 하락 등에 증권 테마 하락.

▷해운사 주요 매출원인 장기운송계약 운임 하락세 지속 등에 해운 테마 하락.

▷삼성디스플레이 4.1조 투자 소식 등에 최근 시장에서 부각됐던 OLED, 마이크로 LED 테마 하락.

▷이 외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아이폰, 웹툰, 사물인터넷, 탄소나노튜브(CNT), NI(네트워크통합), 3D 프린터, 야놀자(Yanolja), PCB(FPCB 등), 백신여권, 음성인식, 갤럭시 부품주, 핀테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료, 5G, 애플페이, 블록체인, LED장비, 마스크, 모듈러주택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증시 부진속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

희귀금속(희토류 등) 美·日·中 갈등 우려 속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국가 안보와 사회 공공이익을 이유로 '중국 수출규제·제한기술 목록' 개정안에 네오디뮴과 사마륨 코발트 자석 제조기술을 추가하는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연내에 확정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네오디뮴 자석과 코발트 자석에서 중국 점유율은 각각 84%, 90% 이상이며, 자석은 모터의 주요 부품으로 항공기,로봇, 휴대전화, 에어컨, 무기 등에 폭넓게 쓰이는 것으로 알려짐.

▷시장에서는 미국·일본 등이 중국 패권주의를 견제하며 반도체장비 등 수출규제에 나선 것에 대한 보복으로 분석하는 모습.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중국에 대한 첨단 컴퓨터용 반도체 수출금지, 고사양 반도체 생산장비 판매금지 등 두 가지 형태로 수출통제를 시행 중이며, 일본 정부는 지난달 말 정밀한 회로패턴을 그려내는 노광장치를 비롯해 첨단 반도체 장비 등 23개 품목을 수출관리 규제 대상에 추가하고 이를 7월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한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 노바텍, 티플랙스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 아울러,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체인 성림첨단산업의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현대비앤지스틸과 펀드를 통해 투자한 코리아에셋투자증권이 시장에서 부각. 또한, 바나듐이 희토류 대체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소식 속 바나듐 추출 장치와 관련 특허권을 취득한 바 있는 KC코트렐과 희토류 사업 진출 목적으로 네오디뮴 자석 분말 파우더 제조업체인 KCM인더스트리 인수 관련 MOU를 체결한 바 있는 세토피아도 시장에서 부각.
마이크로바이옴 정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대규모 투자 기대감 지속, '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 결성 추진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 8년간 4,000억원을 투자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업체들이 ‘마이크로바이옴 협의체(가칭)’ 결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차세대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산업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기업들이 협의체 성격의 공식 모임을 만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전해짐.

▷협의체는 지난 4일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세미나’를 공동 주최한 CJ 바이오사이언스·지놈앤컴퍼니·고바이오랩·이뮤노바이옴·에이치이엠파마 등이 주축이 돼 결성되며, 결성 초기에는 해당 기업들이 주축이 되지만 앞으로 협의체 참여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을 것으로 알려짐.

▷한편, 지난 4일 한국바이오협회가 개최한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김형철 바이오PD는 "2025년부터 2032년까지 8년 동안 4,000억원 규모로 진행된다"고 밝힌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CJ 바이오사이언스, 고바이오랩, 지놈앤컴퍼니 등 일부 마이크로바이옴 테마가 상승.
원자력발전 정부, 체코 원전 수출 제동 보도 해명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美 정부가 한국수력원자력의 체코 원전 수출에 제동을 걸었다는 소식이 들려온 가운데, 전일 대통령실은 한국수력원자력이 체코 원전 수출을 미국 정부에 신고했으나 반려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특별한 장애가 없다고 밝힘. 또한, 한수원도 해명 자료를 통해 “미국 에너지부는 자국 수출통제 규정에 따라 절차상 수출통제 신고가 미국 기업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안내한 것에 불과하다”며 “미 정부가 원전수출에 제동을 걸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지투파워, 비에이치아이, 일진파워 등 일부 원자력발전테마가 상승.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美 바이든 대통령 AI 위험성 언급 및 캐나다의 챗GPT 개인정보 침해 조사 착수 소식 등에 하락
▷전일 언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의 위험성을 언급하며 기술 기업들을 상대로 제품 안전에 대한 책임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짐. 이날 바이든대통령은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 회의에서 "기술 기업들은 제품을 공개하기 전에 제품이 안전한지 확인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으며, AI가 위험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그럴 수도 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미국의 AI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인 C3 AI, 태국 보안 회사 가드포스 AI, 데이터 분석 기업인 빅베어 AI홀딩스, 대화 지능 회사인 사운드하운드 AI 등 AI 관련 주식들이 이틀 연속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음. C3 AI의 주가는 회계 문제 지적 등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

▷전일 언론에 따르면, 캐나다가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개인정보 침해 여부를 두고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짐. 캐나다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프라이버시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챗GPT가 사용자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공개했다는 내용의 진정서가접수돼 개발사인 오픈AI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힘. 한편, 지난주 이탈리아 당국이 개인정보 보호 우려 등 을 이유로 챗GPT의 접속을 잠정 차단했으며, 다른 유럽 국가들도 규제 여부를 놓고 검토에 들어간 가운데, 챗GPT를 겨냥한 규제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브레인즈컴퍼니, 코난테크놀로지, 마인즈랩, 셀바스AI, 인포뱅크, 솔트룩스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가 하락.
리튬 美 리튬 업체 주가 약세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하락
▷지난밤 미국 최대 리튬 생산업체 앨버말 주가가 6% 넘는 하락세를 기록. 언론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앨버말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하회’로 낮추고 목표주가도 262달러에서 195달러로 25.6% 하향 조정한 여파 때문인 것으로전해짐.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배터리용 리튬인 탄산리튬 가격이 지난해 11월 미터톤당 9만달러에서 최근 3만3,000달러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리튬가격 하락은 앨버말의 수익성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평가했음. 美 리튬 업체 주가 약세 속 국내 리튬 테마 종목들 도 최근 가파르게 오른데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한편, 외신에 따르면, 중국에서 전기자동차 판매 감소 등으로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가격이 1년 반 전 수준인 t당 20만 위안(약 3천830만원) 초반대로 하락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 4일 상하이 비철금속 거래시장에서 탄산리튬은 t당 21만9천 위안(약 4천190만원)까지 떨어졌으며, 이는 2021년 12월 수준으로 작년 평균 가격과 비교할 때 56.4% 떨어진 것임. 중국 내 전기차용 배터리 누적 재고는 2018년 13.6기가와트시(GWh), 2019년 23.2GWh, 2020년 19.8GWh, 2021년 65.2GWh, 2022년 251GWh로 늘어난 상태이며,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할 때 탄산리튬 가격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와 관련, 지엔원에너지, 광무, 강원에너지 등 리튬 테마가 하락.
은행 국내 주요 은행 합산 1분기 순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하락
▷현대차증권은 유니버스 은행(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기업은행, 카카오뱅크 등 6사) 1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1.5% 증가한 5.4조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1.6% 하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가계 대출이역성장하며 원화 대출 G/R이 0.4%까지 하락하고, 대출 금리 상승은 다소 둔화되는 동시에 수신 금리 상승은 지속된 영향으로 은행 NIM은 8bp 하락할 것으로 추정. 또한, 연체율 상승세를 반영한 은행의 경상 대손비용 증가와 카드 등 비은행 충당금 증가 등으로 인해 그룹 Credit Cost Ratio는 36bp에 이를 것으로 예상.

▷아울러 당초 예상보다 NIM 하락세가 가파른 점 반영하여 실적 추정치를 하향, 이에 따라 유니버스 은행 목표 시총도 -6.2% 조정. 은행업은 매크로 및 규제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만이 아니라 펀더멘털도 약화되는 구간이라 금융산업 내 상대 선호도는 높지 않지만, 현재 시중은행 주가는 P/B 0.3x까지 하락하였기 때문에 초과 하락할 여지는 다소 제한적이라고 분석.

▷이와 관련, 카카오뱅크, KB금융, 신한지주 등 은행 테마가 하락.
메타버스(Metaverse)/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메타, 메타버스서 AI 사업으로 사업 체제 변환 가능성 등에 하락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사명까지 메타로 바꾸고 메타버스에 막대한 투자를 했던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최고경영자)가 AI(인공지능)에 몰두하고 있는것으로 전해짐.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실적발표 자리에서 인공지능을 28번 언급하는 동안, 메타버스는 단 7차례만 입에 올리며 무게 중심을 이동하겠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음. 이에 시장에서는 메타버스를 미래 먹거리로 보고, 매년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온 메타가새로운 게임체인저로 부상한 AI 시장으로 사업체제를 전환할 지에 주목하고 있음.

▷한편, 메타는 자체 개발한 생성AI를 올해 12월까지 상업화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상업화와 관련해 구체적인 시점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선익시스템, 신도기연, 웨이버스, 자이언트스텝, 맥스트, 셀바스AI, 알체라, 아프리카TV 등 메타버스(Metaverse)/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테마가 하락.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 등 경기 침체 우려 속 美 주요 대형 기술주 약세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경제지표 부진 속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주요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하락. 특히, 애플(-1.13%), 마이크로소프트(-0.98%), 아마존(-2.74%), 알파벳A(-0.24%), 메타(-1.51%), 엔비디아(-2.08%), 테슬라(-3.67%), 넷플릭스(-1.27%) 등 美 주요 기술주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美 주요 경제지표가 연일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 특히, 현지시간으로 4일 발표된 2월 구인건수가 2021년 5월 이후 약 2년 만에 1,000만건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지난밤 발표된 민간 고용까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오는 7일 발표되는 고용동향보고서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음.

▷금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빅테크들에 대한 규제 체계 마련을 위해 업계, 연구계 등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협의체를꾸릴 것으로 전해짐. 금감원의 TF 운영 계획안에는 이달 중 '빅테크 그룹 감독제도 개선' TF를 가동할 예정으로 이는 지난 2월 금감원이 주최한 '빅테크 금융업 진출 진단 및 향후 과제' 세미나의 후속 조치이며, 해외사례들을 조사하고 국내 빅테크 그룹들에 대한 종합적인 감독방안을 만들겠다는 게 이번 TF의 목표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이와 관련,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패스, LG전자 등 반도체 관련주/IT 대표주와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가 하락. 대표적인 성장주로 꼽히는 플레이위드, 대원미디어, 컴투스, 조이시티 등의 게임/모바일 게임 테마도 하락.
반응형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이슈요약
동원시스템즈
(014820)
47,850원
(
+15.02%)
동국산업과 이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 원재료 소재 공급, 판매및 개발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동국산업과 ‘이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원재료 소재의 공급, 판매 및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원통형 배터리 캔의 핵심 원재료 중 하나인 니켈도금강판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됐으며, 공급 받은 니켈도금강판을 성형 및 가공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원통형 배터리 캔의 생산에 박차를 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동국산업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전기 자동차용배터리의 핵심 원재료를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이차전지 소재 생산 능력을 적극 확대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기술고도화로 국내외 고객사를 늘려나가 글로벌 첨단 소재 기업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이 같은 소식에 동국산업도급등세를 기록.
일진홀딩스/일진파워
오리니아, 세계 최초 루프스신염 치료제 '루프키니스' 3상 우수 탑라인 발표 소식 속 그룹 계열사 일진에스앤티, 오리니아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5일(현지시간) 캐나다 제약사 오리니아 파마슈티컬스(Aurinia Pharmaceuticals)가 루푸스 신염 경구치료제 'LUPKYNIS™(루프키니스, 성분명 보클로스포린)'에 대한 우수한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루프키니스의 임상 3상 지속 연구(AURORA 1·2)에서 루푸스 신염 환자에게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MMF) 및 저용량 스테로이드를사용하는 표준 치료법에 루프키니스를 병용한 결과, 안정적인 신장 기능을 유지하면서 단백뇨는 훨씬 더 일찍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일진그룹 계열사인 일진에스앤티가 오리니아에 지분 투자한 사실이 시장에서 부각되며 일진홀딩스와 일진파워가 상승.
[종목]: 일진홀딩스, 일진파워
유한양행
(000100)
53,400원
(
+3.69%)
1분기 컨센서스 부합 전망 및 렉라자 임상 기대감 등에 상승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매출액은 4,513억원(+9.8% YoY), 영업이익은 140억원(+129.0% YoY)으로 추정한다고 밝힘. 이는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양호한 수준으로, 약품사업부가 약 10% 증가하며 성장을 견인할 것이며 국내 출시한 폐암 신약 렉라자의 시장 침투도 안정적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최대 관전 포인트는 렉라자라고 밝힘. 이와 관련, 얀센의 리브리반트와 병용으로 1차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MARIPOSA’ 임상 결과가 연내, 타그리소 내성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MARIPOSA-2’ 임상 결과는 빠르면 3분기에 발표될 예정이라고 밝힘. 이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 미국과 유럽에서 허가 시 약 1억 달러 수준의마일스톤 유입도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0,000원[유지]
유유제약
(000220)
6,170원
(
+2.66%)
안구건조증 신약 후보물질 ‘YP-P10’ 조성물 美 특허 취득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안구건조증 신약 후보물질 ‘YP-P10’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미국 특허청(USPTO)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힘. 이번 미국 특허 취득으로 4개국(미국, 한국, 호주, 러시아) 특허 등록을 완료했으며, 유럽, 중국,인도 등 11개국에 특허출원을 완료해 심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안구건조증 신약 후보인 'YP-P10'은 합성 펩타이드를 활용한 신약으로 전임상시험을 통해 기존 약물 대비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했으며, 동사는 해당 물질이 항염증과 각막 손상 개선을 통한 근본적인 안구건조증 치료제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현대건설
(000720)
38,100원
(
+2.42%)
올해 연결 영업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등에 소폭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연결 영업이익을 기존 7,531억원에서 8,320억원으로 상향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대부분 현대엔지니어링의 영업이익 상향(1,162억원→1,827억원)이며, 올해 계열사향 매출이 기존 예상보다 더 빠르게 올라올 것으로 추정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가장 큰 투자포인트는 올해 이익 증익을 보면서도, 동시에 해외 수주 기대감이 있다는 것이라고 밝힘. 1분기 결과를 기다렸던 현장들이 2 분기로 밀렸지만, 수주 가능한 규모와 가능성은 동일하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5,000원 -> 55,000원[상향]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805,000원
(
+2.16%)
견조한 향체의약품 수요 확인 속 하반기 성장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 3월17일 제2바이오캠퍼스 내 5 공장 신설을 공시했다며, 이를 통해 4공장의 수주가 충분히 진행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고 분석. 5공장 증설은 2025년 9월 가동을 목표로 상반기 내 착공 예정이며, 계속되는 증설 계획은 견조한 향체의약품의 수요를 확인할 수 있다고 언급.
▷아울러 하반기부터 가장 생산능력이 큰 4공장의 매출액이 더해지면서 높은 성장률을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매수 적기라고 판단. 또한,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차별화된 경쟁력 및 파트너사를 통한 시장 진출로 빠른 MS 선점이 기대된다고 밝힘.
▷다만,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 5,650억원(YoY +10.5%, QoQ -24.4%), 영업이익 1,889억원(YoY +7.2%, QoQ -38.8%)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15.7% 하회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00원[유지]
한화솔루션
(009830)
49,750원
(
+1.63%)
PVC 가공업체와 탄소저감을 위한 바이오 PVC 사업 협력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7개 PVC 가공업체와 '탄소저감을 위한 바이오 PVC 사업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동사와 각 가공업체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최초로 바이오 PVC를 적용한 바닥재·벽지·파이프·타포린·랩 등의 제품을 생산할 방침이며, 동사는 이달부터 울산과 여수 공장에서 바이오 PVC를 생산해 각 업체에 공급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정두영 PVC 사업부장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글로벌 시장 수요와 고객 요청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각 분야에서 선두에 있는 업계 대표기업들과 함께 경쟁력 있는 바이오 PVC 기반 제품 확산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힘.
한미약품
(128940)
307,000원
(
+1.15%)
비만치료제 위탁생산 수주 기대감 및 신약 매출 호조 등에 소폭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비만치료제(GLP-1 기반) ‘위고비’가 생산시설 부족에 따라 수요 대비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가운데, 현재 GLP-1 효능제의 공급 부족 이슈와 제조공정 특성을 고려할 때, 미생물 기반 생산시설을 보유한 동사의 위탁생산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GLP-1 효능제 위탁생산 수주 시 1조6,560억원의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된다고 분석.
▷아울러 동사의 주요 신약 중 하나인 ‘롤베돈’의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면서 신약 가치를 기존의 2,690억원에서 2,850억원으로 상향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80,000원 -> 390,000원[상향]
HL만도
(204320)
45,750원
(
-2.45%)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소폭 하락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2.1조원(+23% YoY), 영업이익은 658억원(-4.4% YoY)을 기록해 영업이익이 컨센서스 672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1분기 고객사 물량 회복에 따른 외형 개선에도 불구, 원재료비 부담 지속되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를 하회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완성차 가동률 회복에 따른 주요 고객사 물량 개선(고객사 생산량 단순 합산 YoY +12.4%)됨에 따라 2분기 연속 2조원대 매출 시현 예상되지만, 납품업체 원자재 비용 보전에 따른 원자재 부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5,000원 -> 60,000원[하향]
카카오
(035720)
58,600원
(
-3.14%)
검찰·금감원, SM 시세조종 혐의로 동사 압수수색 소식에하락
▷언론에 따르면, 검찰과 금융당국이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시세조종 혐의를 수사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번 압수수색은 하이브가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 공개매수를 진행하던 지난 2월 동사와 카카오엔터 테인먼트의 주식 대량 매집 행위가 시세조종 혐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SM 경영권을 두고 카카오엔터와 경쟁을 벌였던 하이브는 지난 2월28일 SM 공개매수 진행 과정에서 '특정세력이 에스엠 주가를 끌어올려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는정황이 있다'며 금감원에 조사를 요청하는 진정서를 제출했으며, 금감원은 이에 SM 주식을 인수한 기타법인의 정체와 거래내역 분석을 통해동사 내 임직원들이 연루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짐.
SKC
(011790)
111,400원
(
-4.21%)
1분기 영업적자 지속 전망 등에 하락
▷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은 -21억원으로 화학 부진 지속과 2차전지소재 수익성 둔화에 따른 영업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2차전지소재 부문의 매출액은 1,757억원(-4.0%QoQ), 영업이익은 107억원(-11.8%QoQ)으로 연초까지 지속된 재고조정 영향과 수요 부진에 따른 출하량 감소가 예상되며, 수익성 또한 구리 가격 상승(4Q22 $7,998/t→1Q23 $8,957/t)과 전력비 상승으로 인한 부진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
▷다만, 2분기부터 동박 출하량 성장 및 화학 수익성 개선 효과가 기대되며, 1분기는 바닥을 지나는 업황으로 하반기 말레이시아 본격 가동에 따른 수익성 개선도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40,000원[유지]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이슈요약
넥스트아이
(137940)
651원
(
+29.94%)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상한가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한편, 지난달 중순 동사는 지난해 중국 코로나19 재확산과 봉쇄정책의 영향으로 연결 감사보고서 제출이 지연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음.
아바코
(083930)
20,600원
(
+24.47%)
경상북도 및 상주시와 이차전지 생산장비전용공장 신설 관련 투자 양해각서(MOU) 체결 소식 등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경상북도 및 상주시와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오는 9월까지 상주일반산업단지 내 약 5만제곱미터(㎡) 부지에 이차전지 생산 기계 장비 전용공장을 신설한다고 밝힘. 신규 공장 건 설을 통해 제품 라인업을 다양화하고 최신 생산 설비를 도입해 생산량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으로 상주 공장 신축 후 이차전지 장비 관련 연간 약 2,500억원의 추가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차전지장비 매출액이 점점 늘어나 올해는 전체 매출액 가운데 이차전지 장비 비중이 약 40%를 차지할 것”이라며 “국내외 이차전지 업체들의 생산시설 투자에 발맞춰 이차전지 생산 장비 공급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밝힘.
제이스코홀딩스
(023440)
4,000원
(
+21.21%)
니켈 사업 목적 필리핀 자회사에 투자금 납입 완료 소식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정정(취득금액) 공시. 필리핀 자회사 JSCO PH CORP 주식 취득 건으로 기존 45.34억원(자기자본대비 5.10%)에서 48.71억원(자기자본대비 5.49%)으로 취득금액이 확대됐으며, 전일자로 투자금 납입을 완료했음. 이로써 현지 자회사의 지분 95%를 취득하게 됐음.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필리핀 자회사 JSCO PH CORP에 49억원 규모 투자금 납입을 완료했다며, 필리핀 니켈 광산 사업 부지에 대한 1차(1059ha) 탐사승인권(EP) 허가에 이어 3433ha에 대한 2차 EP 허가를 앞두고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한상민 대표는 "지난해 12월부터 추진했던 니켈 광물 신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올해 허가, 인증 등 모든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채굴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최근 미국 IRA에 따라 중국산 원자재 대신 미국과 FTA 체결된 국가에서 광물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나타나고 있다"며 "실제로 광물자원 확보를 위해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필리핀 니켈광산 지분을 확보한 동사에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
피엔티
(137400)
61,600원
(
+17.78%)
수주 잔고 우상향 및 매출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3 매출액 1,326억(+40%, YoY), 영업이익 197억원(+56%, YoY), OPM 15%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일부프로젝트 매출 인식 지연으로 기존 추정치 대비 각각 -18%, -6% 소폭 하향 조정한다고 밝힘.
▷올해 실적은 상저하고를 기록할 전망이며, 2H23부터 매출 인식 구간에 돌입하며 24년에는 높은 성장성이 기대된다고 밝힘. 국내 장비 업체 중 24년 매출액 성장률이 가장 높은 업체라며, 24년 매출액 9,839억원(+52% YoY), 영업이익 1,576억원(+55% YoY), OPM 16%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올해 신규 수주도 1조원 이상으로 추정, 23년 연말까지 지속적인 수주잔고 우상향이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6,500원[유지]
▷한편, 전일 장 마감 후 시설자금 등 확보 목적으로 엔브이메자닌플러스 사모투자 합자회사 등 대상 우선주 2,981,809주(1,49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50,305원, 상장예정:-) 공시.
퓨쳐켐
(220100)
8,290원
(
+10.39%)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글로벌 사업 개발 가속화 분석 등에 급등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요 임상 파이프라인으로 PSMA 표적의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전립선암 진단제 FC303 등을 보유하고 있는 가운데, 핵심 자산인 전립선암 치료제 FC705의 글로벌 사업 개발이 가속화 중이라고 밝힘. FC705의 글로벌 사업 개발 가능성 높고 특히, 중국 등 아시아 지역 진출 가능성 매우 고무적이라고 설명. 이어 23년4월FC705의 중국 특허 등록이 예정되어 있어 IP 확보에 성공할 경우 사업 진행 속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
▷또한, 현재 진단 제품인 FC303은HTA로 기술 이전되어 중국 3상에 진입한 상황으로 진단제/치료제를 함께 보유할 경우 상업적 시너지 효과 극대화가 가능하다고 밝힘. 아울러현재 제약바이오 업종 투자 심리가 빠르게 개선 되고 있어 Quality Bio-Tech에 대한 수급 집중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전방인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할 정도로 효능을 입증하면서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설명.
일부 HLB 그룹주
HLB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 차세대 CAR-T 치료제, 美 FDA 패스트트랙 지정 소식에 급등
▷HLB 언론을 통해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Verismo Therapeutics)의 차세대 CAR-T 치료제 'SynKIR-110'이 중피종(Mesothelioma)에 대해 미국 FDA로부터 패스트트랙을 지정 받았다고 밝힘. 베리스모가 보유하고 있는 KIR-CAR 플랫폼은 NK면역세포의수용체 구조와 유사한 멀티체인 수용체를 T세포에 발현시키는 기술을 적용해 혈액암 치료에만 국한된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여러 고형암에도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특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브라이언 김 베리스모 대표는 "이번에 FDA로부터 패스트트랙 지정을 받게 돼 매우 기쁘다"며, "패스트트랙 지정은 새로운 치료 옵션이 절실한 환자들에게 혁신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노력중인 당사에 기념비적인 마일스톤으로, 앞으로 다각적 임상을 통해 다양한 적응증에 대한 SynKIR의 뛰어난 효과를 입증해 가겠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HLB이노베이션, HLB글로벌, HLB제약 등 일부 HLB 그룹주가 상승.
[종목]: HLB제약, HLB이노베이션, HLB글로벌
플리토
(300080)
28,700원
(
+8.71%)
AI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전망 등에 강세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AI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ChatGPT가 AI 경쟁을 촉발시킨 가운데, 산업 전반에 LLM(Large Language Model) 적용 서비스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밝힘. AI 서비스의 핵심은 ‘개인화’로 개인화를 위해서는 사용자나 상황에 따라 언어를 다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AI를학습시킬 수 있는 언어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동사는 메타 데이터(연령, 성별, 직업 등)와 상황 데이터가 연결된 언어 데이터 보유, 플랫폼을 통한 빠르고, 저렴한 언어 데이터 구축으로 AI 시장 내 경쟁력이 높다고 설명. 이어 다수의 글로벌 IT 기업들을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밝힘. 아울러 올해 흑자전환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외형 성장이 기대된다며, 올해 매출액 220억원(+61.7% YoY), 영업이익 2억원(흑전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지놈앤컴퍼니
(314130)
24,950원
(
+4.18%)
230억원 규모 사모 CB발행 결정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등대상 23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0,960원, 전환청구일:2024-04-07 ~ 2028-03-07) 공시.
▷아울러 최근 정부가 4,000억원 규모의 마이크로바이옴 지원 사업 추진 계획을 밝힌 점도 모멘텀이 지속되는 모습.
엑세스바이오
(950130)
10,060원
(
+2.34%)
자회사 웰스바이오, G6PD 결핍 분석장비 日 수출 추진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자회사 웰스바이오는 언론을 통해 G6PD(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 결핍을 측정하는 분석장비 'careSTART™ G6PD Biosensor Analyzer'의 일본 PMDA(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 인증을 획득하고 이달 중 일본 수출에 나선다고 밝힘. 세계 최초로 G6PD의 정량적 검사 결과를 4분 만에 도출할 수 있도록 개발된 시스템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 방법이 간편해 현장진단(POC)에 특화됐다고 언급.
▷이와 관련, 웰스바이오 관계자는 "G6PD검사는 말라리아 치료제의 처방 전 검사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신생아 황달 및 선천성 용혈 질환의 진단 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다목적 검사 항목"이라며 "일본의 경우, 성형외과 시술 후 회복 촉진이나 피부노화방지 등을 위한 비타민 치료 요법의 인기가 좋은데, 이러한치료 전에 G6PD 측정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매출 전망이 매우 밝은 편"이라고 밝힘.
와이지엔터테인먼트
(122870)
57,800원
(
+2.12%)
좋은 업황 속 활동 아티스트 라인업 증가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좋은 업황 속 활동 아티스트 라인업의 증가가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7월 파리 앵콜콘 외에도 추가 투어 발표가 예상되는 블랙핑크와 아시아투어를 돌고 있는 트레저는 물론이고 2분기 내에 선공개곡과 함께 데뷔 예정인 베이비몬스터, 연내 컴백을 예고한 지드래곤까지 2023년에는 소속 아티스트 라인업의 왕성한 활동이 펼쳐질 예정. 아울러 최근 지수 솔로를 포함해 주요 기획사 아티스트들의 앨범 판매 고성장이 이어지는 등 업황도 호조를 띄고 있으며, 2022년 둔화되었던 K-POP 앨범 수출액 성장률도 2023년 들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
▷한편, 1Q23 매출액/영업이익은 1,232억원/160억원(YoY +63%/+162%)으로, 컨센서스(154억원)에 부합할 전망. 블랙핑크 월드투어(16회, 아레나/스타디움급)와 연초까지 진행된 트레저 일본 투어 관련 수익이 반영될 예정이며, 3월31일 발매된 지수 솔로(선주문 130만장)앨범은 1분기와 2분기에 나눠서 반영될 예정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5,000원 -> 66,000원[상향]
카카오게임즈
(293490)
39,950원
(
-3.73%)
엔씨소프트, 동사 신작 '아키에이지 워' 대상 저작권 소송 제기 소식에 하락
▷엔씨소프트는 전일 동사의 신작 '아키에이지 워'가 자사의 게임 '리니지2M'의 저작권을 침해했다며 소송에 나섰다고 밝힘. 엔씨소프트는 5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동사와 엑스엘게임즈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 및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소장을 접수했다고 언급했음.
▷이와 관련, 엔씨소프트 관계자는 "IP는 장기간의 연구개발(R&D)을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로 마땅히 보호받아야 하는 기업의 핵심 자산"이라며"IP 보호를 위한 노력과 대응을 지속할 것이이며, 대한민국 게임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게임 콘텐츠 저작권 기준의 명확한 정립을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언급했음.
우리넷
(115440)
8,950원
(
-4.79%)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속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 세티밸류업홀딩스 유한회사가 유한회사 우리넷벨류업파트너스에 보유주식 2,692,696주를 320.00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3-05-19) 공시.
조광ILI/대유
김우동 대표이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 등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대유와 조광ILI는 김우동 대표이사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현재 구속되어 수사 중에 있으나, 본 건 혐의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확정된 사실은 없다고 밝힘.
▷이와 관련, 전일 언론에 따르면 김우동 대표는 무자본으로 코스닥 상장 기업 여러 개를 인수·합병하면서 허위 공시로 주가를 띄운 혐의와 인수한 기업의 회삿돈을 빼돌린 의혹을 받고 있으며, 검찰은 금융감독원의 패스트트랙(긴급조치) 및 고발을 통해 김우동 대표에 대한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짐.
[종목]: 조광ILI, 대유
오가닉티코스메틱
(900300)
107원
(
-22.46%)
지난해 실적 부진에 급락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50.85억원(전년대비 -9.39%), 영업손실 719.69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890.37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자회사 복건통호무역유한공사, 22년 개별기준 순손실 187.5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자회사 복건해천약업과기발전유한공사, 22년 개별기준 매출액 446.73억원(전년대비 -83.48%), 영업손실 500.7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462.01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자회사 복건조농실업발전유한공사, 22년 개별기준 매출액 16.18억원(전년대비 +7.96%), 영업손실 9.6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07.04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상한가
일수
사유
유니온
(000910)

8,710원
(+30.00%)
1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현대비앤지스틸
(004560)

15,210원
(+30.00%)
1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속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체 성림첨단산업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상한가
HLB이노베이션
(024850)

3,965원
(+30.00%)
1 HLB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 차세대 CAR-T 치료제, 美 FDA 패스트트랙 지정 소식에 일부 HLB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넥스트아이
(137940)

651원
(+29.94%)
1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상한가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3,725 원
(+24.79%)
  美日·中 갈등 우려,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아바코
(083930)

20,600원
(+24.47%)
  경상북도 및 상주시와 이차전지 생산장비 전용공장 신설 관련 투자 양해각서(MOU) 체결 소식 등에 급등
제이스코홀딩스
(023440)

4,000원
(+21.21%)
  니켈 사업 목적 필리핀 자회사에 투자금 납입 완료 소식 등에 급등
세토피아
(222810)

1,805원
(+20.33%)
  美日·中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속 희토류 사업 진출 목적으로 KCM인더스트리 인수 관련 MOU 체결 사실 부각에 급등
KC코트렐
(119650)

2,565원
(+19.86%)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속 희토류 대체 자원으로 바나듐 부각에 따른 바나듐 추출 장치 특허권 보유 사실부각에 급등
피엔티
(137400)

61,600원
(+17.78%)
  수주 잔고 우상향 및 매출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동원시스템즈
(014820)

47,850원
(+15.02%)
  동국산업과 이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 원재료 소재 공급, 판매및 개발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급등
DB
(012030)

1,973원
(+12.74%)
  강성부 펀드 KCGI, 자회사 DB하이텍 지분 매입에 따른 경영권 분쟁 가능성 지속 부각에 급등
대원화성
(024890)

2,540원
(+12.64%)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엘컴텍
(037950)

2,180원
(+11.79%)
  금 가격 역대 최고치 근접 모멘텀 지속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동국산업
(005160)

6,550원
(+11.21%)
  동원시스템즈와 이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 원재료 소재 공급, 판매 및 개발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급등
CJ 바이오사이언스
(311690)

42,950원
(+10.98%)
  정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대규모 투자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마이크로바이옴 테마 상승 속 급등
STX
(011810)

7,940원
(+10.58%)
  니켈 테마 상승, 美 IRA 세부지침 발표 속배터리 핵심광물 중요성 지속 부각 등에 급등
THE E&M
(089230)

318원
(+10.42%)
  정부, UAM 시범사업 확대 소식 속 베셀의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퓨쳐켐
(220100)

8,290원
(+10.39%)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글로벌 사업 개발 가속화 분석 등에 급등
HLB제약
(047920)

15,100원
(+10.06%)
  HLB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 차세대 CAR-T 치료제, 美 FDA 패스트트랙 지정 소식에 일부 HLB 그룹주 상승 속 급등
노바텍
(285490)

28,250원
(+9.92%)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차량 내 전장부품 및 로봇 관절용 차폐자석에 사용되는 응용자석 수요 증가 수혜전망 등에 급등

유니온
(000910)

8,710원
(+30.00%)

1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현대비앤지스틸
(004560)

15,210원
(+30.00%
)

1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속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체 성림첨단산업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상한가


HLB이노베이션
(024850)

3,965원
(+30.00%)

1

HLB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 차세대 CAR-T 치료제, 美 FDA 패스트트랙 지정 소식에 일부 HLB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넥스트아이
(137940)

651원
(+29.94%)

1

적정의견 감사보고서 제출 속 상한가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3,725 원
(+24.79%)

美日·中 갈등 우려,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아바코
(083930)

20,600원
(+24.47%)

경상북도 및 상주시와 이차전지 생산장비 전용공장 신설 관련 투자 양해각서(MOU) 체결 소식 등에 급등


제이스코홀딩스
(023440)

4,000원
(+21.21%)

니켈 사업 목적 필리핀 자회사에 투자금 납입 완료 소식 등에 급등


세토피아
(222810)

1,805원
(+20.33%)

美日·中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속 희토류 사업 진출 목적으로 KCM인더스트리 인수 관련 MOU 체결 사실 부각에 급등


KC코트렐
(119650)

2,565원
(+19.86%)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속 희토류 대체 자원으로 바나듐 부각에 따른 바나듐 추출 장치 특허권 보유 사실부각에 급등


피엔티
(137400)

61,600원
(+17.78%)

수주 잔고 우상향 및 매출 성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동원시스템즈
(014820)

47,850원
(+15.02%)

동국산업과 이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 원재료 소재 공급, 판매및 개발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급등


DB
(012030)

1,973원
(+12.74%)

강성부 펀드 KCGI, 자회사 DB하이텍 지분 매입에 따른 경영권 분쟁 가능성 지속 부각에 급등


대원화성
(024890)

2,540원
(+12.64%)

美日·中 갈등 우려, 中 희토류 자석 수출 금지 모멘텀 지속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엘컴텍
(037950)

2,180원
(+11.79%)

금 가격 역대 최고치 근접 모멘텀 지속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동국산업
(005160)

6,550원
(+11.21%)

동원시스템즈와 이차전지용 니켈도금강판 원재료 소재 공급, 판매 및 개발 관련 MOU 체결 소식에 급등


CJ 바이오사이언스
(311690)

42,950원
(+10.98%)

정부,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대규모 투자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마이크로바이옴 테마 상승 속 급등


STX
(011810)

7,940원
(+10.58%)

니켈 테마 상승, 美 IRA 세부지침 발표 속배터리 핵심광물 중요성 지속 부각 등에 급등


THE E&M
(089230)

318원
(+10.42%)

정부, UAM 시범사업 확대 소식 속 베셀의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퓨쳐켐
(220100)

8,290원
(+10.39%)

전립선암 치료제 FC705 글로벌 사업 개발 가속화 분석 등에 급등


HLB제약
(047920)

15,100원
(+10.06%)

HLB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 차세대 CAR-T 치료제, 美 FDA 패스트트랙 지정 소식에 일부 HLB 그룹주 상승 속 급등


노바텍
(285490)

28,250원
(+9.92%)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차량 내 전장부품 및 로봇 관절용 차폐자석에 사용되는 응용자석 수요 증가 수혜전망 등에 급등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피)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유니온머티리얼(047400) 케이카(381970) 동원시스템즈(014820)
KC코트렐(119650) 현대비앤지스틸(004560) 조광피혁(004700) 플레이그램(009810)

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유니온(000910) TCC스틸(002710) 경동인베스트(012320) 농심(004370)
오리온홀딩스(001800) 유니켐(011330)  

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

현대비앤지스틸(004560)      

4. 연속 상한가 종목

한국ANKOR유전(152550) 4일      

5. 당일 거래 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한화솔루션(009830) 유니온머티리얼(047400) 씨에스윈드(112610)
하이브(352820) 유니온(000910) DB(012030) STX(01181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경동인베스트(012320) KG스틸(016380) 케이카(381970)

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없음      

7. 보조지표① 단기 골든 크로스 MA(5,20)

셀트리온(06827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현대모비스(012330) KT(030200)
유한양행(000100) 메리츠금융지주(138040) 솔루엠(248070) 바이오노트(377740)
LG유플러스(032640) HLB글로벌(003580) 디아이씨(092200) 종근당(185750)

② 중기 골든 크로스 MA(20,60)

성신양회(004980) 다이나믹디자인(145210) 조광피혁(004700)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유니온(000910) SK네트웍스(001740) 명신산업(00990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

KC코트렐(119650) F&F(383220) KC그린홀딩스(009440) 솔루엠(248070)
NI스틸(008260) HLB글로벌(003580) 조광피혁(004700) 한국가스공사(036460)
HD현대(267250) 코웨이(021240) SPC삼립(005610) 더블유게임즈(192080)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돌파

씨에스윈드(11261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동원시스템즈(014820) 솔루엠(248070)
HLB글로벌(003580) YG PLUS(037270)  

⑥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코스모신소재(005070) STX(01181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TCC스틸(002710)
케이카(381970) 대원화성(024890) LG유플러스(032640) HLB글로벌(003580)
제일기획(030000)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다올투자증권(030210) KTis(058860)

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코스모신소재(005070) 유니온머티리얼(047400) 하이브(352820) 유니온(00091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KG스틸(016380) 제주은행(006220)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동원시스템즈(014820) KC코트렐(119650) 황금에스티(032560) 엔씨소프트(036570)

⑧ CCI(9) 0선 상향돌파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동원시스템즈(014820) 삼영화학(003720) YG PLUS(037270)

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유니온(000910) DB(012030) KG스틸(016380) 동원시스템즈(014820)
태경비케이(014580) KC코트렐(119650) 일진홀딩스(015860) 한국전력(015760)
삼영화학(003720) 세방(004360) 삼천리(004690) 대성홀딩스(016710)

* 적출빈도 5회 : 유니온(00091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동원시스템즈(014820)
* 적출빈도 4회 : KC코트렐(119650) HLB글로벌(003580)
* 적출빈도 3회 : 유니온머티리얼(047400) 케이카(381970) 조광피혁(004700) 솔루엠(248070) KG스틸(01638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피)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카카오뱅크(323410) HMM(011200) 금호석유(011780) 미래에셋증권(006800)
기신정기(092440) 모나리자(012690) 한솔PNS(010420) 대교(019680)
대동전자(008110) 시디즈(134790) 신영증권(001720)  

2. 저점하회 종목(1 년 기준)

신한알파리츠(293940) 스카이라이프(053210)    

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4. 연속 하한가 종목

없음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금양(001570) 이수화학(005950) 이엔플러스(074610) 다이나믹디자인(145210)

6. 보조지표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카카오(035720) 삼성물산(028260) PI첨단소재(178920) 삼화콘덴서(001820)
한온시스템(018880) 삼익THK(004380) CJ CGV(079160)  

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HL만도(204320) 더존비즈온(012510) 효성화학(298000) 한화손해보험(000370)

③ 장기 데드 크로스 MA(60,180)

LG생활건강(051900) BNK금융지주(13893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카카오(035720) 효성티앤씨(298020) 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 신세계(004170)
일성신약(003120) 한샘(009240) 디와이(013570) 국도화학(007690)

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SK하이닉스(000660) NAVER(035420) LG 에너지솔루션(373220) 카카오(035720)
삼성전기(00915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카카오뱅크(323410) 한농화성(011500)
삼성에스디에스(018260) KG케미칼(001390) 삼성생명(032830) KEC(09222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삼성전자(005930)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이노베이션(096770) 금양(001570)
LG이노텍(011070) 제주은행(00622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HMM(011200)
OCI(010060) LG생활건강(051900) 삼성물산(028260) 고려아연(010130)

⑦ 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삼성SDI(006400) SK이노베이션(096770) LG화학(051910) DB하이텍(000990)
TCC스틸(002710) LG이노텍(011070) 삼성전기(00915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태경비케이(014580) 이수페타시스(007660) 현대모비스(012330) HMM(011200)

⑧ CCI(9) 0선 하향돌파

삼성전자(005930) 삼성전기(009150) KB금융(10556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이엔플러스(074610) 조일알미늄(018470) HMM(011200) 하나금융지주(086790)
우리금융지주(316140) LG생활건강(051900) 삼성물산(028260) F&F(383220)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삼성전자(005930) POSCO홀딩스(005490) 삼성SDI(006400)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 이노베이션(096770) LG화학(051910) LG전자(066570) LG이노텍(011070)
삼성전기(009150) SKC(011790) KB금융(10556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 적출빈도 4회 : 삼성엔지니어링(028050) HMM(011200) 삼성전기(009150)
* 적출빈도 3회 : 카카오(035720) LG에너지솔루션(373220) LG생활건강(051900) 삼성물산(028260) SK이노베이션(096770) LG이노텍(011070) 삼성전자(00593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 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닥)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피엔티(137400) 박셀바이오(323990) 알테오젠(196170) HLB제약(047920)
네이처셀(007390) 티플랙스(081150) 크리스탈신소재(900250) 메드팩토(235980)
젠큐릭스(229000) 서남(294630) 풍원정밀(371950) 라이트론(069540)

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엘컴텍(037950) 아바코(083930) 대주전자재료(078600) 제이스코홀딩스(023440)
성우하이텍(015750) 루닛(328130) 프로이천(321260) HLB이노베이션(024850)
CJ 바이오사이언스(311690)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033790) 디이엔티(079810) 테크엘(064520)

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

넥스트아이(137940)      

4. 연속 상한가 종목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033790) 2일      

5. 당일 거래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피엔티(137400) 엘컴텍(037950) 박셀바이오(323990) 아바코(083930)
대주전자재료(078600) 금양그린파워(282720) 제이스코홀딩스(023440) 동국산업(005160)
HLB(028300) 셀바스헬스케어(208370) 프로이천(321260) HLB이노베이션(024850)

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솔트룩스(304100) 폴라리스오피스(041020)    

7. 보조지표① 단기 골든 크로스 MA(5,20)

동국산업(005160) 루닛(328130) HLB제약(047920) 바이오니아(064550)
랩지노믹스(084650) 아이티센(124500) 이원컴포텍(088290) 현대바이오(048410)
엑세스바이오(950130) CBI(013720) 지노믹트리(228760) 네오위즈(095660)

② 중기 골든 크로스 MA(20,60)

알테오젠(196170) ISC(095340) 글로벌텍스프리(204620) 인베니아(079950)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지놈앤컴퍼니(314130) 대명에너지(389260) 아진산업(013310) 코스나인(082660)
아모센스(35758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상향돌파

HLB(028300) HLB이노베이션(024850) HLB제약(047920) 이오플로우(294090)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JYP Ent.(035900) 천보(278280) 에스티팜(237690)
이원컴포텍(088290) 베셀(177350) 비엘(142760) 코리아에셋투자증권(190650)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 돌파

HLB이노베이션(024850) HLB제약(047920) 위메이드(112040) 메디톡스(086900)
HLB생명과학(067630) 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033790) 아이티센(124500) 플리토(300080)
이엠텍(091120) 노터스(278650) 범한퓨얼셀(382900) 지노믹트리(22876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에코프로비엠(247540) 에코프로(086520) 대주전자재료(078600) 금양그린파워(282720)
HLB이노베이션(024850)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고바이오랩(348150) 동국알앤에스(075970)
HLB생명과학(067630) 코아시아옵틱스(196450) 디이엔티(079810) 플리토(300080)

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피엔티(137400) 아바코(083930) 금양그린파워(282720) 동국산업(005160)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세토피아(222810) HLB 생명과학(067630)
네온테크(306620) 소니드(060230) 티쓰리(204610) 에스케이오션플랜트(100090)

⑧ CCI(9) 0선 상향돌파

아바코(083930) 금양그린파워(282720) 동국산업(005160) 셀바스헬스케어(208370)
셀트리온제약(068760) 에스엠(041510)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티에스아이(277880)
네온테크(306620) 소니드(060230) 에스케이오션플랜트(100090) 큐렉소(060280)

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에코프로비엠(247540) 에코프로(086520) 아바코(083930) 동국산업(005160)
포스코엠텍(009520) 이오플로우(294090)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티에스아이(277880)
네온테크(306620) 서남(294630) 하림지주(003380) 디어유(376300)

* 적출빈도 5회 : 아바코(083930) HLB이노베이션(024850) 동국산업(005160)
* 적출빈도 4회 : HLB제약(047920) 금양그린파워(282720)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 적출빈도 3회 : 피엔티(137400) 대주전자재료(078600) HLB생명과학(067630) 네온테크(30662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 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닥)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카카오게임즈(293490) NHN한국사이버결제(060250) 맥스트(377030) 대 한광통신(010170)
다올인베스트먼트(298870) NICE평가정보(030190) 위닉스(044340) 크린앤사이언스(045520)
키네마스터(139670) 엠에스씨(009780) 유니온커뮤니티(203450) 아이비김영(339950)

2. 저점하회 종목(1년 기준)

조광ILI(044060) 대유(290380) 앤디포스(238090) 메가스터디교육(215200)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 엑스게이트(356680) 펌텍코리아(251970) 스킨앤스킨(159910)
티에스넥스젠(043220) 네오리진(094860) 라이온켐텍(171120)  

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4. 연속 하한가 종목

없음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지엔원에너지(270520) 이브이첨단소재(131400) 카나리 아바이오(016790) 강원에너지(114190)
엔투텍(227950) 포스코엠텍(009520) 뉴로메카(348340) 어반리튬(073570)
알에프세미(096610) 중앙디앤엠(051980) EG(037370) 탑머티리얼(360070)

6. 보조지표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MDS테크(086960) 에스비비테크(389500) 리노공업(058470) 모트렉스(118990)
고영(098460) 에이디테크놀로지(200710) 제이씨현시스템(033320) 티씨케이(064760)
위지윅스튜디오(299900) 코닉오토메이션(391710) 아진엑스텍(059120) 덱스터(206560)

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이랜텍(054210) 뉴프렉스(085670) 엑셈(205100) 유비케어(032620)
우리로(046970)  

③ 장기데드 크로스 MA(60,180)

없음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셀바스AI(108860) 성일하이텍(365340) 큐렉소(060280) 모델솔루션(417970)
케이피에스(256940) 아진엑스텍(059120) 미래에셋벤처투자(100790) 디와이피엔에프(104460)

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비에이치(090460) 소니드(060230)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 KG ETS(151860)
HPSP(403870) 석경에이티(357550) 인텔리안테크(189300) 원익IPS(240810)
덕산네오룩스(213420) 하나머티리얼즈(166090) 상아프론테크(089980) 나래나노텍(13708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엘앤에프(066970) 카나리아바이오(016790) 티플랙스(081150) 켐트로스(220260)
네온테크(306620) 에스케이오션플랜트(100090) 웰크론한텍(076080) 컴투스(078340)
KG ETS(151860) 더블유씨 피(393890)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274090) 에프에스티(036810)

⑦ 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엘앤에프(066970) 하이드로리튬(101670) 미래반도체(254490) 인탑스(049070)
상신이디피(091580) 동국알앤에스(075970) 제이오(418550) 삼천당제약(000250)
카카오게임즈(293490) 어반리튬(073570) 하나기술(299030) 다믈멀티미디어(093640)

⑧ CCI(9) 0선 하향돌파

카카오게임즈(293490) 나노팀(417010)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 선익시스템(171090)
레몬(294140) 석경에이티(357550) SFA반도체(036540) 다우데이타(032190)
펄어비스(263750) 인텔리안테크(189300) 원익IPS(240810) 원준(382840)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엘앤에프(066970) 카나리아바이오(016790) 상신이디피(091580) 자이글(234920)
엔투텍(227950) 제이오(418550) 카카오게임즈(293490) 나노팀(417010)
하나마이크론(067310) 씨아이에스(222080) 윈텍(320000) 켐트로스(220260)

* 적출빈도 4회 : 카카오게임즈(293490)
* 적출빈도 3회 : 카나리아바이오(016790) 엘앤에프(06697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