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지난밤 뉴욕증시가 유가 급등 및 美 제조업지표 부진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475.87(+3.53P, +0.14%)로 강보합 출발. 장초반 2,472.79(+0.45P, +0.02%)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확대해 2,489.71(+17.37P, +0.70%)에서 고점을 형성. 정오 무렵 2,476선으로 밀려나기도 했지만, 오후 장중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2,488선을 회복하기도 함. 장 후반 2,475선 아래로 재차 상승폭을 반납하기도했던 지수는 장 막판 상승폭을 다소 키워 결국 2,480.51(+8.17P, +0.33%)로 장을 마감.
밤사이 美 증시가 유가 급등, 제조업지표 부진 등에도 양호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전일 급등했던 원/달러 환율이 안정된 모습을 보이면서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기관과 개인은 동반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다만, 외국인 순매도 등에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현지시간으로 2일 OPEC+ 산유국들이 시장 안정을 위해 5월부터 자발적으로 감산에 돌입한다고 밝힌 가운데, 지난밤 뉴욕증시는 에너지 관련주들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98%, 0.37% 상승하는 등 대체로 양호한 모습을 보임. 다만,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가 커지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27% 하락.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OPEC의 이번 결정은 놀라운 일이지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라며, "유가는변동이 심해 따라잡기 어렵지만 인플레이션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는 Fed의 일을 좀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언급.
美 제조업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음.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6.3을 기록했다고 밝힘. 이는 2020년 5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임. S&P 글로벌이 집계하는 美 3월 제조업 PMI도 49.2로 위축 국면에 머물렀음.
한편,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음. 지난 2월에 이어 2개월 연속 하락세임. 지난해 3월 4.1%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1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폭임.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휴장한 가운데, 일본, 중국은 상승한 반면, 홍콩은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과 개인이 2,154억, 792억 순매수, 외국인은 3,12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8,179계약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각각 5,001계약, 2,974계약 순매도.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7원 하락한 1,315.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6.3bp 하락한 3.279%,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7.3bp 하락한 3.31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3틱 오른 104.99로 마감. 외국인이 6,111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3,640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61틱 오른 114.20으로 마감. 외국인이 2,751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2,609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셀트리온(+6.00%), LG전자(+1.85%), 신한지주(+1.74%), NAVER(+1.41%), LG화학(+1.40%), 삼성바이오로직스(+1.29%), KB금융(+0.95%), 카카오(+0.83%), 삼성전자(+0.79%), SK이노베이션(+0.67%), 현대모비스(+0.47%), 삼성물산(+0.18%), 현대차(+0.11%) 등이 상승. 반면, POSCO홀딩스(-6.38%), SK하이닉스(-3.10%), 삼성SDI(-2.55%), 포스코퓨처엠(-1.91%), LG에너지솔루션(-1.88%), 기아(-1.35%)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의약품(+3.21%), 종이목재(+2.46%), 서비스업(+1.65%), 기계(+1.37%), 의료정밀(+1.36%), 섬유의복(+1.34%), 통신업(+1.24%), 금융업(+0.99%), 음식료업(+0.71%), 전기가스업(+0.53%), 증권(+0.50%), 운수장비(+0.41%)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철강금속(-3.70%), 비금속광물(-0.92%), 전기전자(-0.33%)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80.51P(+8.17P/+0.33%)
- 코스닥시장-
밤사이 뉴욕증시가 유가 급등, 美 제조업지표 부진 속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53.92(-1.04P, -0.12%)로 약보합 출발. 이내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키워 오전 중 861.13(+6.17P, +0.72%)에서 고점을 형성. 정오 무렵 856선으로 밀려나기도 했지만, 오후 들어 재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장중 고점 부근까지 올라서기도 함. 장후반 빠르게 상승폭을 반납하던 지수는 하락세로 돌아서며 852.02(-2.94P, -0.3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장막판 반등에 성공해 결국 857.18(+2.22P, +0.26%)로 장을 마감.
밤사이 美 증시가 유가 급등, 제조업지표 부진 등에도 양호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개인이 1,3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상승. 다만,외국인, 기관 순매도 등에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인 반면, 최근 강세를 이어오던 2차전지, 반도체 관련주들은 차익실현 매물 속 약세를 기록.
수급별로는 개인이 1,344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07억, 112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알테오젠(+17.50%), 셀트리온제약(+5.22%), 셀트리온헬스케어(+4.24%), HLB(+3.57%) 등 바이오 관련주들이 강세를 나타냈고, CJ ENM(+4.30%), 스튜디오드래곤(+2.16%), 펄어비스(+1.86%), 에스엠(+1.80%), JYP Ent.(+1.56%), 카카오게임즈(+1.33%), 다우데이타(+1.20%)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4.90%), 성일하이텍(-4.01%), 엘앤에프(-3.66%), 에코프로비엠(-3.23%), 천보(-1.19%) 등 2차전지 관련주들이 약세.
업종별로도 상승업종이 우세. 제약(+4.45%), 기타서비스(+4.22%), 기타 제조(+3.88%), 인터넷(+3.48%), 음식료/담배(+3.23%), 방송서비스(+2.78%), 통신방송서비스(+2.45%), 유통(+2.38%), 디지털컨텐츠(+2.06%), 통신서비스(+1.70%), 섬유/의류(+1.64%), 오락/문화(+1.40%), IT S/W & SVC(+1.37%), 의료/정밀 기기(+1.20%), 출판/매체복제(+0.94%) 등이 상승. 반면, 종이/목재(-3.58%), 금융(-3.34%), 반도체(-2.73%), 일반전기전자(-2.10%), IT H/W(-2.08%), IT 부품(-2.00%), 화학(-1.49%), 기계/장비(-1.25%) 업종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57.18P(+2.22P/+0.26%)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의료기기 수출 5대 강국 위해 민·관 R&D 10조원 투입 예정 소식 등에 의료기기/ 미용기기/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에 따른 풍력/태양광 연간 수요 2배이상 증가 전 망 등에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시멘트 대란 우려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우주항공청 특별법 국무회의 의결 소식 등에 일부 우주항공산업 테마 상승. ▷OPEC+ 자발적 감산 모멘텀 지속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도시가스 테마 상승. ▷아리바이오 경구용 치매치료제 AR1001, 알츠하이머 지표 개선 확인 소식 및 美 일라이 릴리와 스위스로슈가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 기술 개발 협력 소식 등에 치매 테마 상승. ▷中 판호 추가 발급 모멘텀 지속 등에 게임/모바일 게임테마 상승. ▷美 IRA 세부지침 발표 속 배터리 핵심광물 중요성 지속 부각 등에 일부 리튬, 니켈 테마 상승. ▷국제유가 상승 및 LNG선 수주 호황 지속, 신조선가 상승 등에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이 외에 자원개발, 국내 상장 중국기업, 렌터카,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전자결제(전자화폐), 폐기물처리, 양자암호, 영상콘텐츠, 전력설비, 아프리카 돼지열병, 편의점, 화장품, 건설기계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OPEC+ 자발적 감산 모멘텀 지속 등에 국제유가 상승 속 항공/저가 항공사, 여행 테마 하락. ▷1분기 반도체 실적 부진 우려 지속 등에 3D 낸드, 반도체 장비,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등의 반도체 관련주 하락. ▷美 리비안, 1분기 차량 생산·인도량 전분기 대비 감소 속 리비안(RIVIAN) 테마 하락. ▷이 외에 LED장비, MLCC, 2차전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더블폰, IT 대표주, 폐배터리, 전력저장장치(ESS), 스마트폰, 카지노, 아이폰, 백화점, 철강 주요종목,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제약/바이오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기술수출 건수가 총 8건으로 집계된 것으로 전해짐. 올해 1분기 GC셀, 이수앱지스, 진코어, HK이노엔, 대웅제약, 차바이오텍, 온코닉테라퓨틱스, 바이오오케스트라 등이 기술수출에 성공했으며, 이들 8건의 계약규모는 약 2조3,000억원에 달하며, 비공개 3건을 포함하면 규모는 사실상 더 클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시장에서는 작년 부진했던 제약바이오 기술수출 성적이 올해에는 다시 반등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으며, 국내기업들이 활발한 신약개발에 나서고 있는 만 큼 충분히 좋은 성적은 나올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기술수출 및 오픈이노베이션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전일 언론에 따르면 독일계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싸토리우스가 세포유전자 치료제 원료의약품 생산 기업 프랑스 폴리플러스를 24억유로(약 3조4,000억원)에 인수한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밝힌 것으로 전해짐. 이에 시장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세포유전자 치료제 분야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의약품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고,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은 M&A와 공장증설 등을 통해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사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세계 3 대 암학회로 꼽히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가 오는 14~19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이번 AACR 학회에서는 24 개의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이 참석해 항암 신약 전임상 등 초기 단계 연구과제들을 소개하며 최신 항암 기술 마케팅 총력전을 펼칠 예정. ▷한편, 현지시간으로 3일 외신에 따르면, 美 바이든 행정부는 암 종식을 위해 암 조기발견, 암 예방, 효과적 치료법 개발 등 주요 8가지 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한미약품, 녹십자, 일성신약, 젠큐릭스, 진시스템, 바이오니아, 지아이이노베이션, 에이비엘바이오, 알테오젠 등 제약/바이오 테마가 상승. |
|
의료기기/ 미용기기/ U-Healthcare(원격진료) | 의료기기 수출 5대 강국 위해 민·관 R&D 10조원 투입 예정 소식 등에 상승 |
▷보건복지부는 ' 제1차 의료기기 산업 육성·지원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 정부는 종합 계획에서 새로운 기술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민관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국산 의료기기 사용 활성화하며, 글로벌 시장진출을 돕고, 인공지능, 디지털 등 혁신적 기술의 신속한 시장진입을 지원하는 등의 4대 전략을 제시했음. ▷먼저 향후 5년간 민간과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규모를 10조원까지 확대하고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략 분야를 지원하기로 했음. 구체적으로 수출 규모가 큰 체외진단 기기, 영상진단기기, 치과 재료 개발 지원을 확대하는 동시에유망 분야인 디지털헬스, 의료용 로봇, 이식형 기기 등 신기술 투자를 통해 새로운 시장 선점을 도울 계획. ▷아울러 성장 유망분야인 디지털헬스는 AI와 빅데이터 융합 제품과 디지털 치료기기 등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 모델 개발에 나설 예정이며, 환자 맞춤형 수술을 위한 지능형 수술로봇, 비대면 진료와 건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홈케어 로봇 기술 개발도 지원할 예정. ▷이 같은 소식에 파마리서치, 인터로조, 디알텍, 메디톡스, 제이엘케이, 인바디 등 의료기기/미용기기/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가 상승. |
|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 EU,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에 따른 풍력/태양광 연간 수요 2배 이상 증가 전망 등에 상승 |
▷최근 EU 위원회와 의회는 2030년 재생에너지의 최종 에너지 소비에서의 목표를 기존 32%에서 최대 45%로확대하는 것에 잠정 합의했음. 42.5%는 공식 입법화 목표이고 2.5%를 각 국가들의 추가 노력으로 달성한다는 방안으로 전해짐. 2030년 탄소감축 목표를 1990년 대비 55%로 확정한 상태이며, 동시에 러시아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어야 되기 때문에 목표비율을 확대한 것으로 전해짐. ▷유진투자증권은 이번 결정으로 EU의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 산업의 확대가 탄력을 받게 되었다고 분석. 재생에너지의 최종 에너지 소비 비중을 45%(현재 약 22% 수준)까지 올리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전력비중을 약 70% 수준까지 올려야 하기 때문이며, 2030년 목표달성을 위해서 EU의 풍력, 태양광 신규 설치량이 지난해 대비 2배로 확대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미국이 IRA로 2032년까지의 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를 확정한 데 이어, EU도 동일한 정책들을 채택하고 있으며,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 비중이 확대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산업 육성책인 Net-zero Industry Act도 빠르면 연내에 법제화될 것이라고 밝힘. 특히, 과거와 달리 EU도 미국식 보조금을 도입하면서까지 재생에너지 산업을 확대하며, 국내 대표 풍력, 태양광 업체들은 미국에 이어 EU 시장 확대에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대한그린파워, 대창솔루션, 에스와이, OCI 등 풍력에너지/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
|
시멘트/레미콘 | 시멘트 대란 우려 등에 상승 |
▷전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상위 100위권의 건설사의 전국 건설현장 154곳 중 정상적으로 작업이 진행 중인 곳은 단 55곳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짐. 시멘트 부족으로 공사가 지연된 곳은 27곳(18.5%), 아예 중단된 곳도 71곳(46.1%)에 달한 것으로 알려짐. ▷이는 시멘트를 생산하는 필수 시설인 소성로의 절반 이상이 멈춰 섰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전국에 34기 밖에 없는 시멘트 소성로는 평소에도 겨울철에는 정비를 위해 일부가 가동을 멈추지만, 시멘트 업계가 탄소를감축하기 위해 한꺼번에 환경 설비 정비에 나선 탓에 올해는 전년에 비해 33% 증가한 15기가 가동을 멈춘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소식에 고려시멘트, 유니온, 삼표시멘트, 유진기업 등 시멘트/레미콘 테마가 상승. |
|
우주항공산업 | 우주항공청 특별법 국무회의 의결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한국형 NASA(미국항공우주국)'를 목표로 연내 개청을 추진 중인 '우주항공청 특별법'이 국무회의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짐. 지난 3월2일 입법예고된 우주항공청 특별법에는 우주항공 분야의 정책과 연구개발, 산업육성 등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우주항공청을 설치하고,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전문적이고 유연한 조직으로 운영하기 위한 원칙과 기능, 특례 등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윤석열 대통령은 "전세계가 우주 경제를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에 뛰어들고 있고 우리 역시 지난해 우주 경제의 원년을 선포하고 우주 경제를 이끌어갈 담당관청인 우주항공청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이어 우주항공청에 대해서는 "최고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우주항공 정책을 총괄하고 기술개발과 국제 공조를 통해 우주항공산업 육성을 주도할 것"이라며, "동시에 전문성에 기반한 유연한 조직으로 혁신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이수페타시스, 한국항공우주,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일부 우주항공산업 테마가 상승.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디펜스에 이어 한화 방산 부문 인수를 마무리하며 방산 통합사 출범 기대감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
|
정유/ LPG(액화 석유가스)/ 석유화학 등 | OPEC+ 자발적 감산 모멘텀 지속 등에 상승 |
▷현지시간으로 2일 OPEC+ 산유국들이 시장 안정을 위해 5월부터 자발적으로 감산에 돌입한다고 소식이 전해짐. 사우디아라비아는 하루 50만 배럴 감산, 아랍에미리트(UAE)는 14만4,000 배럴 감산, 이와 함께 이라크, 쿠웨이트, 오만, 알제리, 카자흐스탄도 감산에 동참한다고 발표했음. 여기에 러시아는 올해 3~6월 실행 중인 하루 50만 배럴 감산을 연말까지 연장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짐. 이번 감산은 지난해 10월 OPEC+ 회의에서 결정된 대규모 감산 정책과 별도로 실행되는 추가적인 조치로 시장에서는 유가의 추가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골드만삭스는 올해 국제유가 전망을 종전보다 5달러 끌어올린 배럴당 95달러로, 내년 유가는 3달러 상향 조정한 100달러로 제시했음. ▷이 같은 소식에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4.75달러(+6.28%) 상승한 80.42달러에 거래 마감. ▷이 같은 소식 속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대성산업,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경동도시가스 등 도시가스 테마도 상승. 한편, 한국석유도 에너지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다이나믹디자인 (145210) 6,560원 (+29.90%) |
인니 니켈 광물 운송판매 법인 인수 MOA 체결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니켈 광물 운송 판매 법인 PT. Tirta Alam Mineral(이하 PT. TAM)의 사업권 및 지분취득, 니켈 원광에 대한 판매권 등에 대한 포괄적인 협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밝힘. PT. TAM은 지난 1월27일 MOU를 체결한 바 있는 PT. ATN Indonesia Mineral(이하 PT. AIM)의 관계사로 PT. AIM의 코나우에(Konawe) 광산에 대한 IUP-OP(광물 사업권) 라이선스 취득 시 해당 광산에서 채굴된 니켈 광물은 술라웨시 소재 PT.TAM이 유통할 계획이기 때문에 이번 MOA는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PT.AIM 및 관계사로부터 다방면의 협업 제안을 받은 상태이며, 다양한 협업 구조 속에서 니켈 광물 관련 사업을 가속화함으로써새로운 수익창출과 함께 수익성 개선 등 재무구조 개선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
|
한미약품 (128940) 288,500원 (+13.58%) |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급등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3년 1분기 매출액 3,602억원(+12% y-y), 영업이익 530억원(+30% yy)으로 컨센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로수젯이 국내 실적을 이끌 전망이며, 코로나 영향으로 4분기에 아쉬웠던 북경한미는 1분기 매출 1,071억원(+13% y-y)으로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NASH 신약 모멘텀은 여전히 확대중이며, 듀얼 아고니스트는 올해 중반 MSD와 2b상을 개시, 트리플 아고니스트 2b상 60명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 ▷한편, 바이오플랜트 중심으로 높아진 유형자산 상각비로 영업이익 눌린 상황이나, 영업 현금흐름은 지속 확대중이며, 최근 글로벌 GLP-1 약물의 CMO 니즈 확대로 동사 CMO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 ▷투자의견 : Hold -> Buy[상향], 목표주가 : 305,000원 -> 390,000원[상향] |
|
SK아이이테크놀로지 (361610) 85,600원 (+12.78%) |
美 IRA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삼성증권은동사에 대해 美 IRA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의 Clean Vehicle Credit에 대한 세부지침이 지난달 확정된 가운데, 2H23 이후 가동률 증가를 통해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고, 특히 북미시장에서 고객사 수요 증가 및 동사의 투자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HOLD -> BUY[상승], 목표주가 : 82,000원 -> 96,000원[상향] ▷이 같은 소식에 동사가 급등세를 기록, 배터리 음극의 핵심 소재인 동박 생산 기업 SK넥실리스를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SKC도 동반 수혜 기대감에 상승세를 기록. |
|
케이카 (381970) 13,340원 (+8.63%) |
중고차 시장 활성화 및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강세 |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5,216억원(-6.4%yoy), 영업이익은 130억원(+0.1%yoy), 순이익은 78억원(-2.8%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2월을기점으로 중고차 시장 상승 전환했으며, 최근 중고차 거래가 활성화 된 배경은 금리 상승 추세가 꺾이면서 금리 불확실성이 완화된 점, 신차가격의 고공행진이 이어짐에 따라 다소 높다고 여겨졌던 중고차 시세에 소비자들이 적응한 점 등을 꼽을 수 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올해 영업이익/당기순이익 전망치를 각각 기존 대비 13.1%, 15.3% 상향 조정한 950억원, 630억원으로 제시한다고 밝힘. 특히,지난 해 하반기의 중고차 대기 수요가 올해 실현될 경우, 연간으로 최대 실적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8,000원[상향] |
|
넷마블 (251270) 69,800원 (+6.40%) |
하반기부터 신작 출시 및 중국 진출로 가파른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강세 |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하반기부터 신작 출시 및 중국 진출로 가파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중국의 외자 판호 발급에 따른 최대 수혜가 기대되며, 이는 작년 말 제2의나라, A3:스틸얼라이브, 샵타이탄(카밤)이 판호를 획득했기 때문으로 분석. 아울러 2023년 중으로 3개 이상의 게임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3월에도 국내 게임들이 판호를 추가적으로 획득하면서 게임 산업은 중국 모멘텀이 강하게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 ▷한편, 1분기 실적은 매출액 6,256억원(YoY -0.9%, QoQ -8.9%), 영업적자 191억원(YoY적지)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 흥행한 신작 게임이 없지만 마케팅비를 비롯한 비용 통제를 통해 적자폭이 작년 4분기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1,000원 -> 78,000원[상향] |
|
대웅 제약 (069620) 107,800 원 (+4.15%) |
당뇨병 신약 '엔블로' 단독요법 3상 연구 결과 국제학술지 등재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당뇨병 신약 엔블로(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의 단독요법 임상 3상 연구(ENHANCE-A)가 국제학술지 '당뇨, 비만, 그리고 대사(DOM)' 온라인에게재됐다고 밝힘. 3상은 국내 23개 병원에서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167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최대 24주 간 SGLT-2 억제제 엔블로를 1일 1회 투여해 위약군 대비 유효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것으로 전해짐. ▷연구 결과 유효성 평가 지표인 ‘엔블로 복용 후 24주 시점의 당화혈색소(HbA1c) 변화량’에서 엔블로 투약군 -0.88%p, 위약대조군 0.11%p이었으며, 두 군간 차이는 -0.99%p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위약대조군 대비 엔블로의 우월성을 입증했으며, 안전성 결과 역시 이상반응, 약물이상반응 및 중대한 이상반응에 대한 발현율에서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 |
|
엔씨소프트 (036570) 385,500원 (+4.05%) |
하반기 신작 출시 기대감 등에 상승 |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신작 모멘텀이 2분기부터 재점화될 것으로 전망. 특히, 4분기 출시가 기대되는 프로젝트G는 웨스턴 지역에서 인기 있는 실시간 전략 게임(RTS) 장르로 흥행이 기대되며, 추가적으로 블소S, 배틀크러쉬, 퍼즐 등의 신작모바일게임들이 3분기부터 출시될 예정이라고 설명. 아울러 최고 기대작 TL의 출시 일정은 경쟁 게임들의 출시를 고려해서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며, 아마존게임즈가 글로벌 서비스(한국, 대만, 동남아 제외)를 담당하고, 과거 로스트아크 등의 사례를 볼 때 부분유료화가 핵심 BM이될 것으로 예상. ▷다만, 1분기 매출액 4,973억원(YoY -37.1%, QoQ -9.2%), 영업이익 402억원(YoY -83.6%, QoQ -15.3%)을 기록하여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추정. 매출 비중이 높은 리니지W를 비롯해서 PC게임들 전반적으로 전분기의 성수기 효과가 사라진 것으로 파악.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90,000원 -> 520,000원[하향] |
|
BGF리테일 (282330) 187,600원 (+3.82%) |
편의점 업황 긍정적 전망 등에 상승 |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실적 성장은 당초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지만, 편의점 업황은 여전히 긍정적이라 생각한다고 밝힘. 그러한 이유는 신규점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목표치인 연간 800개순증에 문제가 없고, 진단키트를 포함한 기존점 성장률은 1~2% 이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FF 및 즉석식품 매출액 성장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 등으로 분석. ▷아울러 동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부임차 비중 확대에 따라 구조적 마진 개선 구간에 진입했으며, 여기에 상품군 믹스를 통한 마진율 개선도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실적 레벨은 한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힘. 이에 1분기를 제외한 올해 실적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20,000원[유지] |
|
두산밥캣 (241560) 44,700원 (+3.23%) |
1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매출액은 16.5억달러(+21%, YoY, 원화 2조1,006억원, +28% YoY), 영업이익은 1.8억달러(+11% YoY, 원화 2,297억원 +18% YoY), OPM은 10.9%(-0.9%p)를예상. 이는 컨센서스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6.2%, 12.5% 상회하는 서프라이즈 수치임. ▷아울러 사측은 2023년 연간 가이던스로 매출액 69.4억달러(+4% YoY), 영업이익 6.7억달러(-20% YoY), 영업이익률 9.7%(-2.9%p)를 제시했지만, 이러한 보수적 가이던스는 기우일 뿐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가이던스 작성 시점에 금리 인상, 마케팅 비용 증가 등 보수적 가정이 적용됐지만, 2월 미국 건설장비 PPI는 전년동기 대비 12% 급등했고, 북미는 공장 건설, 신재생 설치, 인프라 투자, 농업 등 다양한 전방산업이 호황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 주가 : 51,000원 -> 58,000원[상향] |
|
LS (006260) 80,300원 (+2.42%) |
손자회사 LS머트리얼즈, IPO 추진 본격화 소식 등에 소폭 상승 |
▷LS머트리얼즈는 전일 언론을 통해 KB증권, 키움증권과 기업공개(IPO)를 위한 대표 주관계약을 맺었다고 밝힘. LS머트리얼즈는 '차세대 2차 전지'로 불리는 울트라 커패시터(UC, Ultracapacitor)를 생산하는 회사로 6월까지 예비심사를 청구하고 연내 코스닥 상장을 추진할 계획임. | |
LG전자 (066570) 115,900원 (+1.85%) |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어닝 서프라이즈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KB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21.7조원(-1% QoQ, +3% YoY), 영업이익은 1.3조원(+1,777% QoQ, -33% YoY)으로 전망되어 컨센서스 영업이익(1.09조원)을 +19.3%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가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2분기 영업이익은 가전(H&A), TV(HE) 주문량이 양호한 가운데, B2B 매출비중 확대에 따른 전장부품(VS), 비즈니스솔루션(BS) 흑자규모확대로 전년대비 +14.7% 증가한 9,085억원으로 추정. 이는 2009년2분기(영업이익 1.4조원) 이후 14년 만에 최대 실적 달성으로 전망되어 어닝 서프라이즈는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한편, 현재 동사의 주가는 사상 최대 실적 전망에도 상저하고실적패턴 우려로 12개월 선행 PBR 0.86배, PER 7.8배로 과거 10년간 역사적 하단 밸류에이션을 기록하고 있다며, 향후 실적 변동성 완화로 주가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유지] |
|
SK하이닉스 (000660) 84,500원 (-3.10%) |
2.23조원 규모 외화 해외교환사채권 발행 결정 등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2.23조원 규모의 외화 해외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111,180원, 교환청구일:2023-05-22 ~ 2030-04-01) 공시. ▷이와 관련 미래에셋증권은 동사에 대해 4Q22말 재고자산이 완제품 기준 3.8조원, 재공품 기준 9.0조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현금원가 이하의 판매를 통한 현금화 보다는 재고 고수의 의지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판단. 금번 결정으로 인해 자본 조달 방향성과 관련해 리스크로 여겨져온 유상증자 가능성은 낮아졌다 판단.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
|
한미반도체 (042700) 19,080원 (-7.83%) |
올해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약세 |
▷현대차증권은 2023년 동사의 주요 고객사인 대만과 중국 OSAT업체들의 재고조정 등의 여파로 동사의 실적 역시 2023년 부진할 것으로 전망. 특히, 전방산업의 capex 다운 사이클, 중국 OSAT 업체들의 낮은 가동률과 매크로 불확실성, IT수요 감소 영향으로 인한 재고 소진 문제로 중국 전자제품 재고 일수는 2022년 12월 기준 47일로 전년대비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 1월과 2월 역시 수요 약세, 인플레이션, 매크로 불확실성 등으로 팹리스 업체들의 오더 컷이 지속되고 있어 동사의 중국향 실적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 ▷이에 동사의 2023년 매출액과 영업이익 전망을 기존 추정치 대비 각각 -11.7%, -24.6% 하향한 2,573억원, 712억원으로 조정함.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2,000원[유지] |
특징종목 | 이슈요약 |
비엘팜텍 (065170) 716원 (+29.95%) |
자회사 비엘사이언스, 여성질환 자가진단키트 '가인패드'美 FDA 의료기기 허가 소식에 상한가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비엘사이언스가 여성질환 진단키트 '가인패드'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가인패드는 비엘사이언스가 개발한 생리대 형태의 검사 키트로 자궁경부암의 원인인 인유두종바이러스(HPV)와 질염 및 성병을 유발하는 성매개 감염병(STD)을 진단할 수 있으며, 검사키트를 구입해 검체를 본인이직접 채취한 후, 키트를 분석기관에 보내면 검사 결과를 받는 방식의 의료기기임. ▷이와 관련 비엘사이언스 관계자는 "이번 허가는 미국진출뿐 아니라, 세계 체외진단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갖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미국 유수의 진단서비스, 원격의료 및 텔레메디신 업체들과 현지 진출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 |
|
지엔원에너지 (270520) 13,330원 (+29.92%) |
리튬추출 기업 XtraLit Ltd. 최대주주 등극 예정 등에 상한가 |
▷전일 장 마감 후 리튬사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확장목적으로 XtraLit Ltd. 주식 750,000주를 194.31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29.88%, 취득예정일:2023-04-06) 공시. ▷아울러 기타자금 확보 목적으로 XtraLit Ltd. 대상 832,519주(64.76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7,780원, 상장예정:2023-05-25)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미국, 아르헨티나, 요르단, 터키 등에서 리튬직접추출(DLE) 사업을 진행 중인 XtraLit Ltd.의 지분 취득으로최대주주에 등극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동사가 상한가를 기록, 최대주주인 엔투텍도 동반 상한가를 기록. |
|
알테오젠 (196170) 46,000 원 (+17.50%) |
ALT-B4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39.48억원 수령에 급등 |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39.48억원 수령 공시. 이와 관련, 지난 2019-11-29자로 글로벌 10대 제약사에 기술수출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의 원천기술에 대한 마일스톤 달성했다고 밝힘. | |
제넨바이오 (072520) 1,763원 (+16.60%) |
최대주주 변경 속급등 |
▷전일 장 마감 후 최대주주가 주식회사 제이와이씨로 변경 공시. 변경후 최대주주인 주식회사 제이와이씨 소유비율은 19.54%임. ▷이와 관련, 당해 최대주주가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취득한 신주(11,169,024주, 상장예정일 23-04-19)에 대하여 동사가 거래소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추가상장 일로부터 1년간 의무보유할 예정임이 확인했다고 밝힘. |
|
루닛 (328130) 43,200원 (+16.29%) |
의료 AI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2,000곳 돌파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인공지능(AI) 영상진단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도입 의료기관이 전 세계 2,000곳을 돌파했다고 밝힘. 출시 3년 6개월 만인 지난해 10월에 도입 의료기관 1,000곳을 넘어섰으며, 이후 약 5개월 만에 고객사가 두 배 증가하며 2,000곳을 돌파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서범석 대표는 "루닛 인사이트 제품군은 북미 대만 유럽 등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허가를 획득한 이후 시장 확대가 빠르게 진행됐다"며, "엑스레이 및 유방촬영술 관련 AI 도입 기관 중 동사 제품의 사용 비중은 80% 이상으로 파악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
|
KD (044180) 717원 (+13.99%) |
인도네시아 에너지사업 진출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사업다각화의 일환으로 해외 자원개발 및 판매업에 진출한다고 밝힘. 특히, 2021년 지분(5%) 투자한 인도네시아 남부 칼리만탄에 위치한 탄광개발업체 PT.ABH(PT. ANUGERAH, BARA HAMPANG) 지주회사가 올해 1월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했으며, PT.ABH가 현재 개발 중인 광산은 7,000cal(칼로리) 이상의 고칼로리 석탄이 약 1,100만t 가량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돈으로 환산하면 약 2조원 이상의 가치라고 설명. ▷아울러 PT.ABH가 개발 중인 광산 1개 공구의 하도급 공사 수주도 협의 중이며, 광산자원 투자 확대 등 인도네시아 석탄에너지 사업 진출을 위해 올 상반기 중 칼리만탄에 1차로 100만 달러를 투자해 현지 에너지사업법인을 설립하고, 이르면 9월부터 본격적인석탄 트레이딩 사업에 나선다는 계획임. |
|
바이오니아 (064550) 47,250원 (+13.86%) |
탈모 기능성 화장품을 통한 신규 Cash Cow 발굴 기대감 등에 급등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팬데믹 기간 동안 PCR 시약 및 진단키트를 중심으로매출이 급성장했다고 밝힘. 지난해에는 펜데믹 둔화로 진단키트의 매출이 감소하였음에도 프로바이오틱스의 매출이 성장함에 따라 전체 매출은 유지하는 견고한 모습을 기록했다고 밝힘. ▷올해는 siRNA 기반의 탈모 완화 기능성 화장품 CosmeRNA를 통한 신규 성장동력에 집중해새로운 Cash Cow를 발굴할 계획이며, 향후 차세대 코슈메티컬을 비롯한 신약 등을 통해 성장성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 |
|
팬엔터테인먼트 (068050) 5,370원 (+11.88%) |
Netflix Worldwide Entertainment, LLC와 OTT 콘텐츠(폭싹속았수다) 제작 계약 체결에 급등 |
▷Netflix Worldwide Entertainment, LLC와 공급계약(OTT 콘텐츠(폭싹속았수다) 제작) 체결(계약기간:2023-04-04~2025-10-31) 공시. | |
인터로조 (119610) 33,500원 (+10.74%) |
3세대 콘택트렌즈 美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실리콘 렌즈)가 올초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통과했으며, FDA 승인이 나오면 미국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실리콘 렌즈는 하드렌즈, 소프트렌즈를 잇는 3세 대 렌즈이며, 승인은 시험 결과를 서류로 제출만 하면 되는 행정적인 절차이고, 올 하반기 중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콘택트렌즈 본고장 미국은 단일 국가 기준 시장이 가장 크며, 시장 규모는 소비자 판매 기준 6조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한국 시장(약 3,500억원)의 17배 수준이며, 동사는 FDA 승인을 받아도 올해 꾸준히 기술 투자를 해 경쟁 제품의 품질을 따라잡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에 나설 계획임. |
|
인벤티지랩 (389470) 9,770원 (+8.44%) |
동물용 중성화 약물 기술 해외 3개국 특허 등록 소식 등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반려동물의 영구적 중성화 외과적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데슬로렐린(deslorelin) 기술 관련 특허를 일본, 호주, 남아프리카 등 3개국에서 등록했다고 밝힘. 이번 특허는 데슬로렐린이라는 펩타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서 방성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동사 원천기술인 ‘IVL-DrugFluidic®’이 활용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김주희 대표는 "이번 특허 등록은 동물용 의약픔으로 사업화 실적을 달성했다는 점과 함께 주요 전립선암 치료제인 루프롤라이드(Leuprolide, GnRH agonist·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와 동일 계열 약물인 데슬로렐린을 통해 제조방법 확립 및 제품화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며, "현재 연구 진행 중인 인체의약품 전립선암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의 기술과 특허 확보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사전 검증 결과를 확보했다"고 밝힘. |
|
티앤알바이오팹 (246710) 15,300원 (+6.84%) |
무세포 대체진피 'ADM' 국내 판매 인허가 획득 등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무세포 대체진피 제품 ADM(Acellular Dermal Matrix)에 대한 국내 판매 인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ADM(Acellular Dermal Matrix)은 무세포 대체진피로 세포를 포함하지 않은 인공피부임. ▷이와 관련 정승교 전략기획 전무는 "ADM 제품의 연간 시장 규모는 글로벌 기준 약 9조 8천 억원, 국내 기준 약 1,560억원으로 추정된다"며 "해당 제품을 통해 해외 매출과는 별도로 국내에서만 2~3년 내에 연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설명. |
|
컴투스 (078340) 77,200원 (+6.04%) |
서머너즈워: 크로니클, 글로벌 매출 300억원 돌파 소식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소환형 역할수행게임(RPG)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이 글로벌 출시 이후 300억원 매출을 돌파했다고 밝힘. 지난달 9일 글로벌 출시한 ‘크로니클’은 25일이라는 짧은 시간에 당초 올해 매출 목표로 제시한 1,000억원의 30%를 넘어섰으며,현재까지 일평균 매출 10억원을 상회하는 기록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글로벌 앱마켓 상위권 진입 지역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태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높은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특히, 애플 앱스토어 13개, 구글플레이스토어 10개 지역에서 매출 톱10을 달성했고 20위권까지 확대하면 각각 23개, 27개 지역에서 매출 상위권을 기록중임. |
|
감성코퍼레이션 (036620) 2,340원 (+5.64%) |
올해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1,857억원(yoy +58%), 영업이익은 270억원(yoy +6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스노우피크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따른 온/오프라인 매출 확대와 여성/키즈 라인업 추가는 동사의 외형 성장에 기여하고, 이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중화권 시장 진입은 올해 를 기점으로 중장기적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힘. 또한, 동사는 브랜드 인기에 힘입어 재고 이슈 영향이 적다는 점과 꾸준한 엑티몬(모바일 디바이스 기기) 매출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 |
|
티움바이오 (321550) 10,240원 (+5.57%) |
혈우병 우회인자 TU7710 의 한국 MFDS 임상 1a상 시험계획 승인 등에 상승 |
▷전일장 마감 후 혈우병 우회인자 TU7710 의 한국 MFDS 임상 1a상 시험계획(IND) 승인 공시. 임상시험의 목적은 와파린항응고 전처치된 건강인 대상자들에서 TU7710을 정맥투여시 안전성과 내약성 평가임. | |
웨이브일렉트로 (095270) 5,020원 (+5.46%) |
보통주 800,000주(38.8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800,000주(38.8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3-04-04~2023-07-03) 공시. | |
올리패스 (244460) 4,520원 (+5.36%) |
Vanda 제약으로부터 신약 공동연구개발 연구개발비 수령 속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Vanda 제약과 신약 공동연구개발 연구개발비 수령 공시. 수령금액은 비공개이며, 상기 연구개발매출은 Vanda제약의 요청에 의해 계약 기간까지 공개를 유보하지만, 당사의 2022년말 매출액(약 23억원)의10%를 초과하는 금액으로 의무공시에 해당한다고 설명. | |
매일유업 (267980) 49,850원 (+4.95%) |
스타벅스차이나와 아몬드브리즈 바리스타 제품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스타벅스차이나와 아몬드브리즈 바리스타 제품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는 동사가 아몬드브리즈 제품을 해외 기업간 거래를 하게 된 첫 사례이며, 중국 전역 6천여개의 스타벅스에 아몬드브리즈 바리스타 1L 제품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해짐. | |
드래곤플라이 (030350) 793원 (+4.34%) |
게임형 디지털 치료제 '가디언즈 DTx' 임상 착수 소식에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게임형 디지털 치료제 '가디언즈 DTx(가칭)'가 임상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 임상 시험을 진행하면서 단순 개발에만 치중하지 않고, 경쟁력을 갖춰 명확한 타깃팅으로 실제 환자들 치료에 효능과 안정성을 보증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겠다는 계획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지난해 이미 의료기기로 인정받은 '가디언즈 DTx'가 올해 본격적으로 임상에 들어가면서 상용화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올해 국내 최대 의료기기 전시회(KIMES)에 게임사 최초로 참가해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다"고 밝힘. ▷한편, 디지털 치료제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 일반적으로 1~3상 단계를 거치며 임상 승인 시간이 오래 걸리는 약물 치료제와 달리 탐색·확증 두 단계 승인만 거치면 상용화 가능하며, 지난해 새로 도입된 ‘통합심사’ 제도 심사대상으로 지정되면 390일이 소요되는 일반심사와 달리 80일 만에 평가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짐. |
|
한주라이트메탈 (198940) 5,490원 (+3.98%) |
글로벌 자동차 경량화 부품 수요 증가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자동차의 경량화 추세와 함께 초경량 알루미늄 부품 수요 증가로 동사는 안정적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동사는 차세대 주조공법 개발(멀티/이종접합 중력주조, 대형/중공저압주조, 전자교반고압주조 등. 특허 등록 10건, 특허 출원 8건)을 통해 자동차 경량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자동차 경량화 부품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를구축했다고 밝힘. ▷아울러 중장기 성장을 위한 차종 확대, 해외 진출 및 신규사업 추진도 긍정적이라고 밝힘. 이와 관련, 기존 샤시 부품(네클/캐리어, 하이브리드디스크, 사이드멤버 등)을 모든 차종(내연기관 자동차,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차, 수소차 등)으로 적용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신규 제품인 컨트롤암도 GM 및 현대차 코나 후속 모델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힘. 또한, 국내 최초 유럽 슬로바키아 진출로 유럽 생산기지 본격화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수주 확대를 예상한다고 밝힘. |
|
자람테크놀로지 (389020) 49,950원 (+3.42%) |
신규제품 본격 사업으로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기술 및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통신시장의 성장과 함께 기가와이어 및 광트랜시버 제품은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힘. ▷아울러 신규제품인 XGSPON 장비의 본격 사업으로 큰 폭의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자체 개발한 XGSPON STICK 제품이 국내 일부 통신사에 공급이 예상되고 있으며,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등의 통신사 등에 내년부터는 점차 고객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 |
|
씨앤씨인터내셔널 (352480) 39,500원 (+3.27%) |
1분기 분기 최대 매출 전망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418억원(YoY +65%), 영업이익 45억원(YoY+93%)으로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전지역 호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북미 매출 증가가 가장 돋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1분기 지역별 전년동기비 매출 성장률은 국내 +50%, 북미 +180%, 중국 +30% 전망하며, 상위 Top 5개 고객사로의 매출 확대가 집중되고 있다고 설명. 품목군 중에서는 립(Lip)/틴트(Tint) 제품이 동사의 시그니처이자 동사를 설명하는 아이덴티티로 글로벌 수주 증가 + 리오프닝 효과가 립제품 수주로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아울러 2023년 연결 실적은 매출 1,762억원(YoY+35%), 영업이익 234억원(YoY+34%)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북미를 중심으로 해외 매출이 951억원(YoY+49%) 기록, 비중이 50%를 상회할 것으로 기대. 또한, 2023년은 국내 수요 증가, 글로벌 물량확대로 고성장이 무난할 것으로 예상하며, 추가적으로 2023년 글로벌 Y브랜드의 중국 온/오프라인 본격 런칭, 하반기 글로벌 E사, L사 프레스티 지 제품 수출은 동사가 글로벌 색조 ODM사로 도약하는 시작이 될 것이라고 밝힘. |
|
알에프세미 (096610) 8,340원 (-10.61%) |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속 급락 |
▷최대주주 이진효 외3인이 알에스 투자 조합, 알에스 5호 조합, 김신섭, 김혜영에 보유주식 1,824,967주를 87.59억원에 양도하는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변경예정일:2023-05-30) 공시.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블랙펄3호조합 대상 200.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6,924원, 전환청구일:2024-06-02 ~ 2025-05-02) 공시. |
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다이나믹디자인 (145210) 6,560원 (+29.90%) |
2 | 인니 니켈 광물 운송판매 법인 인수 MOA 체결 소식에 상한가 |
이브이첨단소재 (131400) 3,585원 (+29.89%) |
2 | 국내 기업에 수산화리튬 공급 완료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
젠큐릭스 (229000) 4,490원 (+29.96%) |
1 | 유방암 예후진단키트 '진스웰BCT'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
비엘팜텍 (065170) 716원 (+29.95%) |
1 | 자회사 비엘사이언스, 여성질환 자가진단키트 '가인패드' 美 FDA 의료기기 허가 소식에상한가 |
엔투텍 (227950) 1,358원 (+29.95%) |
1 | 지엔원에너지, 리튬추출 기업 XtraLit Ltd. 최대주주 등극 예정 속 동사가 지엔원에너지의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상한가 |
지엔원에너지 (270520) 13,330원 (+29.92%) |
1 | 리튬추출 기업 XtraLit Ltd. 최대주주 등극 예정 등에 상한가 |
넥스턴바이오 (089140) 2,340원 (+29.86%) |
1 | 이브이첨단소재, 국내 기업에 수산화리튬 공급 완료 모멘텀 지속에상한가 속 동사가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상한가 |
진시스템 (363250) 13,920원 (+19.90%)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인도 진단시장 공략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 |
STX (011810) 7,860원 (+18.20%) |
美 IRA 세부지침 발표 속 배터리 핵심광물 중요성 지속 부각 등에 니켈 테마 상승 속 급등 | |
보로노이 (310210) 37,550원 (+17.90%)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알테오젠 (196170) 46,000원 (+17.50%)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ALT-B4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39.48억원 수령에 급등 | |
엠아이텍 (179290) 15,770원 (+17.25%) |
의료기기 수출 5대 강국 위해 민·관 R&D 10조원 투입 예정 소식 등에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 |
아이진 (185490) 5,030원 (+16.98%)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지아이이노베이션 (358570) 21,800원 (+16.89%)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제넨바이오 (072520) 1,763원 (+16.60%) |
최대주주 변경 속 급등 | |
루닛 (328130) 43,200원 (+16.29%) |
의료 AI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2,000곳 돌파 소식에 급등 | |
현대엘리베이 (017800) 35,600원 (+15.40%) |
현정은 회장, 동사에 1,700억원 배상 판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334970) 5,780원 (+14.68%)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KD (044180) 717원 (+13.99%) |
인도네시아 에너지사업 진출 소식에 급등 | |
바이오니아 (064550) 47,250원 (+13.86%)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탈모 기능성화장품을 통한 신규 Cash Cow 발굴 기대감 등에 급등 | |
한미약품 (128940) 288,500원 (+13.58%)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급등 | |
에이프로 (262260) 16,990원 (+12.82%) |
美 IRA 불확실성 해소 모멘텀 지속 및 포스코그룹, 실리콘 음극재에 3,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SK아이이테크놀로지 (361610) 85,600원 (+12.78%) |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美 IRA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23,750원 (+12.03%)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팬엔터테인먼트 (068050) 5,370원 (+11.88%) |
Netflix Worldwide Entertainment, LLC와 OTT 콘텐츠(폭싹속았수다) 제작 계약 체결에 급등 | |
파마리서치 (214450) 83,700원 (+11.45%) |
의료기기 수출 5대 강국 위해 민·관 R&D 10조원 투입 예정 소식 등에 의료기기/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 |
태경비케이 (014580) 9,670원 (+11.15%) |
지질연, 충북 단양 리튬광산 발표 소식 재부각 속 단양공장 보유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
인터로조 (119610) 33,500원 (+10.74%) |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3세대 콘택트렌즈 美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급등 | |
네이처셀 (007390) 21,200원 (+10.70%)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에이디엠코리아 (187660) 2,215원 (+10.20%)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압타바이오 (293780) 11,170원 (+10.16%)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한국석유 (004090) 11,500원 (+10.15%) |
OPEC+ 자발적 감산 모멘텀 지속 속 에너지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
이구산업 (025820) 4,840원 (+10.00%) |
글로벌 구리 수요 증가 기대감 속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 |
KH 필룩스 (033180) 462원 (+10.00%)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커넥트웨이브 (119860) 14,380원 (+9.94%) |
다나와, '디아블로' 효과에 PC부품 거래액 증가 소식 등에 급등 | |
지아이텍 (382480) 5,290원 (+9.87%) |
美 IRA 불확실성 해소모멘텀 지속 및 포스코그룹, 실리콘 음극재에 3,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고려시멘트 (198440) 2,780원 (+9.66%) |
시멘트 대란 우려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속 급등 | |
한창 (005110) 861원 (+9.40%) |
국내 기업들 '도시 유전' 사업 본격 추진 계획 소식 속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장 준공허가 완료 사실 부각에 급등 | |
클리노믹스 (352770) 8,290원 (+9.37%) |
美 바이든 행정부 조기 암 탐지 계획 발표 속 암 진단용 혈액검사 ‘랩온어디스크(Lab-On-A-Disc)’ 시스템 개발 사실 부각에 급등 | |
초록뱀이앤엠 (131100) 2,590원 (+9.05%) |
美 IRA 불확실성 해소 모멘텀 지속 및 포스코그룹, 실리콘 음극재에 3,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다이나믹디자인
(145210)
6,560원
(+29.90%)
2
인니 니켈 광물 운송판매 법인 인수 MOA 체결 소식에 상한가
이브이첨단소재
(131400)
3,585원
(+29.89%)
2
국내 기업에 수산화리튬 공급 완료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젠큐릭스
(229000)
4,490원
(+29.96%)
1
유방암 예후진단키트 '진스웰BCT'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비엘팜텍
(065170)
716원
(+29.95%)
1
자회사 비엘사이언스, 여성질환 자가진단키트 '가인패드' 美 FDA 의료기기 허가 소식에상한가
엔투텍
(227950)
1,358원
(+29.95%)
1
지엔원에너지, 리튬추출 기업 XtraLit Ltd. 최대주주 등극 예정 속 동사가 지엔원에너지의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상한가
지엔원에너지
(270520)
13,330원
(+29.92%)
1
리튬추출 기업 XtraLit Ltd. 최대주주 등극 예정 등에 상한가
넥스턴바이오
(089140)
2,340원
(+29.86%)
1
이브이첨단소재, 국내 기업에 수산화리튬 공급 완료 모멘텀 지속에상한가 속 동사가 최대주주인 점이 부각되며 상한가
진시스템
(363250)
13,920원
(+19.90%)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인도 진단시장 공략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STX
(011810)
7,860원
(+18.20%)
美 IRA 세부지침 발표 속 배터리 핵심광물 중요성 지속 부각 등에 니켈 테마 상승 속 급등
보로노이
(310210)
37,550원
(+17.90%)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알테오젠
(196170)
46,000원
(+17.50%)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ALT-B4 관련 마일스톤 기술료 39.48억원 수령에 급등
엠아이텍
(179290)
15,770원
(+17.25%)
의료기기 수출 5대 강국 위해 민·관 R&D 10조원 투입 예정 소식 등에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진 (185490) 5,030원 (+16.98%)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지아이이노베이션 (358570) 21,800원 (+16.89%)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제넨바이오 (072520) 1,763원 (+16.60%) |
최대주주 변경 속 급등 | |
루닛 (328130) 43,200원 (+16.29%) |
의료 AI 솔루션 도입 의료기관 2,000곳 돌파 소식에 급등 | |
현대엘리베이 (017800) 35,600원 (+15.40%) |
현정은 회장, 동사에 1,700억원 배상 판결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334970) 5,780원 (+14.68%)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KD (044180) 717원 (+13.99%) |
인도네시아 에너지사업 진출 소식에 급등 | |
바이오니아 (064550) 47,250원 (+13.86%)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탈모 기능성화장품을 통한 신규 Cash Cow 발굴 기대감 등에 급등 | |
한미약품 (128940) 288,500원 (+13.58%) |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급등 | |
에이프로 (262260) 16,990원 (+12.82%) |
美 IRA 불확실성 해소 모멘텀 지속 및 포스코그룹, 실리콘 음극재에 3,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SK아이이테크놀로지 (361610) 85,600원 (+12.78%) |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美 IRA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
에이비엘바이오 (298380) 23,750원 (+12.03%)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팬엔터테인먼트 (068050) 5,370원 (+11.88%) |
Netflix Worldwide Entertainment, LLC와 OTT 콘텐츠(폭싹속았수다) 제작 계약 체결에 급등 | |
파마리서치 (214450) 83,700원 (+11.45%) |
의료기기 수출 5대 강국 위해 민·관 R&D 10조원 투입 예정 소식 등에 의료기기/미용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 |
태경비케이 (014580) 9,670원 (+11.15%) |
지질연, 충북 단양 리튬광산 발표 소식 재부각 속 단양공장 보유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
인터로조 (119610) 33,500원 (+10.74%) |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3세대 콘택트렌즈 美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급등 | |
네이처셀 (007390) 21,200원 (+10.70%)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에이디엠코리아 (187660) 2,215원 (+10.20%)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압타바이오 (293780) 11,170원 (+10.16%)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한국석유 (004090) 11,500원 (+10.15%) |
OPEC+ 자발적 감산 모멘텀 지속 속 에너지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 |
이구산업 (025820) 4,840원 (+10.00%) |
글로벌 구리 수요 증가 기대감 속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 |
KH 필룩스 (033180) 462원 (+10.00%) |
신약 기술수출 순항 및 바이오 시장 성장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 등에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
커넥트웨이브 (119860) 14,380원 (+9.94%) |
다나와, '디아블로' 효과에 PC부품 거래액 증가 소식 등에 급등 | |
지아이텍 (382480) 5,290원 (+9.87%) |
美 IRA 불확실성 해소모멘텀 지속 및 포스코그룹, 실리콘 음극재에 3,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고려시멘트 (198440) 2,780원 (+9.66%) |
시멘트 대란 우려 등에 시멘트/레미콘 테마 상승 속 급등 | |
한창 (005110) 861원 (+9.40%) |
국내 기업들 '도시 유전' 사업 본격 추진 계획 소식 속 폐플라스틱 열분해 공장 준공허가 완료 사실 부각에 급등 | |
클리노믹스 (352770) 8,290원 (+9.37%) |
美 바이든 행정부 조기 암 탐지 계획 발표 속 암 진단용 혈액검사 ‘랩온어디스크(Lab-On-A-Disc)’ 시스템 개발 사실 부각에 급등 | |
초록뱀이앤엠 (131100) 2,590원 (+9.05%) |
美 IRA 불확실성 해소 모멘텀 지속 및 포스코그룹, 실리콘 음극재에 3,000억원 투자 소식 등에 일부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 이구산업(025820) | 일진전기(103590) | STX(011810) |
현대엘리베이(017800) | 한미약품(128940) | 넷마블(251270) | GS글로벌(001250) |
한화시스템(272210) | 와이투솔루션(011690) | 한미사이언스(008930) | 다이나믹디자인(145210) |
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DB하이텍(000990) | 코스모화학(00542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 두산밥캣(241560) |
CJ(001040) | 오리온(271560) | 영풍제지(006740) | 다올투자증권(030210) |
성안(011300) |
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
4. 연속 상한가 종목
한화갤러리아우(45226K) 3일 | 다이나믹디자인(145210) 2일 | 한국ANKOR유전(152550) 2일 |
5. 당일 거래 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 이구산업(025820) | 태경비케이(014580) | 일진전기(103590) |
STX(011810) | SKC(011790)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 현대엘리베이(017800) |
한미약품(128940) | 대창(012800)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일진홀딩스(015860) |
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없음 |
7. 보조지표① 단기 골든 크로스 MA(5,20)
LG화학(051910) | 삼성SDI(006400) | 한미약품(128940) | 한국석유(004090) |
HL만도(204320) | LG생활건강(051900) | 대성에너지(117580) | SK케미칼(285130) |
율촌화학(008730) | 한미글로벌(053690) | 현대건설기계(267270) | 하이트진로(000080) |
② 중기 골든 크로스 MA(20,60)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 플레이그램(009810) | 아세아시멘트(183190) |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일진전기(103590) | NAVER(035420)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 한화시스템(272210) |
HMM(011200) |
④ 일목균형표(9,26)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 한미약품(128940) | 일진홀딩스(015860) | 한국석유(004090) |
솔루스첨단소재(336370) | 대성에너지(117580) | 현대건설(000720) | 녹십자(006280) |
SK네트웍스(001740) | GS리테일(007070) | HSD엔진(082740) | STX중공업(071970) |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돌파
LG화학(051910) | 셀트리온(068270) | 두산에너빌리티(034020) | 한미약품(128940) |
와이투솔루션(011690) | 유한양행(000100) | 광명전기(017040) | 종근당(185750) |
콘텐트리중앙(036420) | 한세실업(105630) | 코리안리(003690) | 신일전자(002700) |
⑥ 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일진전기(103590) | KT(030200) | 한미약품(128940) | 엔씨소프트(036570)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솔루엠(248070) | 와이투솔루션(011690) | 한미사이언스(008930) |
LG(003550) | 유한양행(000100) | SK바이오팜(326030) | 파미셀(005690) |
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셀트리온(068270) | 이수페타시스(007660) | KT(030200) | 한미약품(128940) |
크래프톤(259960)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 일진홀딩스(015860) | 신한지주(055550) |
케이카(381970) | 삼성엔지니어링(028050) | 카카오뱅크(323410) | 한신기계(011700) |
⑧ CCI(9) 0선 상향돌파
셀트리온(068270) | KT(030200) | 한미약품(128940) | 엔씨소프트(036570) |
하이브(352820) | 하나금융지주(086790) | 솔루엠(248070) | 메리츠금융지주(138040) |
대성에너지(117580) | LG(003550) | 카카오페이(377300) | 유한양행(000100) |
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셀트리온(068270) | SKC(011790) | 이수페타시스(007660) | NAVER(035420) |
LG전자(066570) | 카카오(035720) | 한미약품(128940) | 엔씨소프트(036570) |
하이브(352820) |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 신한지주(055550) | 현대모비스(012330) |
* 적출빈도 9회 : 한미약품(128940)
* 적출빈도 4회 : 일진전기(103590) 셀트리온(068270)
* 적출빈도 3회 :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일진홀딩스(015860) 대성에너지(117580) 와이투솔루션(011690)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유한양행(000100) KT(030200) 엔씨소프트(036570)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피)
효성ITX(094280) |
스카이라이프(053210) | 아이마켓코리아(122900) |
없음 |
없음 |
금양(001570) | 이수화학(005950) | 이엔플러스(074610) | 삼아알미늄(006110) |
한화솔루션(009830) | 드림텍(192650) | 영원무역(111770) |
이마트(139480) | 현대일렉트릭(267260) | 일진다이아(081000) | YG PLUS(037270) |
없음 |
LG유플러스(032640) | 세아베스틸지주(001430) | 일동홀딩스(000230) |
기아(000270) | 삼성전기(009150) | 효성첨단소재(298050) | 자화전자(033240) |
서울가스(017390) | 영원무역(111770) |
SK하이닉스(000660) | 조일알미늄(018470) | 한화솔루션(009830) | 후성(093370) |
LG디스플레이(034220) | 신한지주(055550) | LX세미콘(108320) | 대성에너지(117580) |
SK스퀘어(402340) | 대한유화(006650) | 남선알미늄(008350) | CJ제일제당(097950) |
코스모신소재(005070) | 조일알미늄(018470) | 후성(093370) | 삼성전기(009150) |
LG디스플레이(034220) | 한농화성(011500) | TCC스틸(002710) | 아모레퍼시픽(090430) |
KG케미칼(001390) | 이아이디(093230) | 한솔케미칼(014680) | 삼성물산(028260) |
SK하이닉스(000660) | 한미반도체(042700) | 이수화학(005950) | 삼성전기(009150) |
LG디스플레이(034220) | TCC스틸(002710) | LX세미콘(108320) | 삼아알미늄(006110) |
HMM(011200) | 대덕전자(353200) | 효성티앤씨(298020) | 효성첨단소재(298050) |
POSCO홀딩스(005490) | 코스모신소재(005070) | LG에너지솔루션(373220) | 금양(001570) |
삼성SDI(006400) | 한미반도체(042700) | 기아(000270) | 삼성전기(009150) |
LG 이노텍(011070) | LG디스플레이(034220) | 한농화성(011500) | KG케미칼(001390) |
* 적출빈도 4회 : 삼성전기(009150) LG디스플레이(034220)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닥)
알테오젠(196170) | 엔켐(348370) | 지투파워(388050) | 이브이첨단소재(131400) |
컴투스(078340) | 에이프로(262260) | 파마리서치(214450) | 네이처셀(007390)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넥스턴바이오(089140)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334970) | 보로노이(310210) |
KBG(318000) | 어반리튬(073570) | 지아이텍(382480) | 새로닉스(042600) |
지엔원에너지(270520) | 엠아이텍(179290) | 진시스템(363250) | 케어젠(214370) |
감성코퍼레이션(036620) | 중앙디앤엠(051980) | 한스바이오메드(042520) |
지엔원에너지(270520) | 넥스턴바이오(089140) | 비엘팜텍(065170) | 젠큐릭스(229000) |
이브이첨단소재(131400) 2일 |
바이오니아(064550) | 알테오젠(196170) | KBG(318000) | 에코플라스틱(038110) |
엘컴텍(037950) | 피코그램(376180) | 지아이텍(382480) | 더블유씨피(393890) |
대명에너지(389260) | 컴투스(078340) | 에이프로(262260) | 파마리서치(214450) |
없음 |
피코그램(376180) | 메디톡스(086900) | 파마리서치(214450)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레고켐바이오(141080) | 아프리카TV(067160) | 바이오인프라(199730) | 씨티씨바이오(060590) |
인터로조(119610) | 휴젤(145020) | 중앙에너비스(000440) | 비올(335890) |
에이비프로바이오(195990) | 진시스템(363250) | 인터로조(119610) | 힘스(238490) |
샘씨엔에스(252990) |
엔켐(348370) | BGF에코머티리얼즈(126600) | 고바이오랩(348150) | 와이지-원(019210) |
제놀루션(225220) | 예스티(122640) |
피엔티(137400) | 파마리서치(214450)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레고켐바이오(141080) |
인포뱅크(039290) | 보로노이(310210) | 고려시멘트(198440) | 유니트론텍(142210) |
인터로조(119610) | 태광(023160) | 팬엔터테인먼트(068050) | 테라사이언스(073640) |
KBG(318000) | 에코플라스틱(038110) | 피코그램(376180)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인포뱅크(039290) |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 | 네오위즈(095660) | 다우데이타(032190) |
씨티씨바이오(060590) | 압타바이오(293780) | KG모빌리언스(046440) | 클리노믹스(352770) |
KBG(318000) | 메디톡스(086900) | 박셀바이오(323990)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루닛(328130) | 뷰노(338220) | 네오위즈(095660) | 신라젠(215600) |
휴젤(145020) | 스튜디오드래곤(253450) | 압타바이오(293780) | 레이(228670) |
바이오니아(064550) | 알테오젠(196170) | 지아이텍(382480) | 메디톡스(086900) |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 위메이드(112040)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레고켐바이오(141080) |
카카오게임즈(293490) | 마인즈랩(377480) | 인포뱅크(039290) | 고바이오랩(348150) |
바이오니아(064550) | 엘컴텍(037950) | 강원에너지(114190) | 원준(382840) |
위메이드(112040) | 마인즈랩(377480) | 인포뱅크(039290) | 지에스이(053050) |
루닛(328130) | 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 뷰노(338220) | 네오위즈(095660) |
바이오니아(064550) | 에코플라스틱(038110) | 메디톡스(086900) |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
선익시스템(171090) | 원준(382840) | 박셀바이오(323990) | 위메이드(112040)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HLB(028300) | 마인즈랩(377480) | 인포뱅크(039290) |
* 적출빈도 7회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 적출빈도 4회 : KBG(318000) 파마리서치(214450) 인포뱅크(039290) 메디톡스(086900) 바이오니아(064550)
* 적출빈도 3회 : 알테오젠(196170) 지아이텍(382480) 피코그램(376180) 인터로조(119610) 레고켐바이오(141080) 에코플라스틱(038110) 네오위즈(095660) 위메이드(112040) 마인즈랩(377480)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양지사(030960) | 크린앤사이언스(045520) | 펌텍코리아(251970) | 스타플렉스(115570) |
제닉(123330) | 이노테라피(246960) | 유비쿼스홀딩스(078070) |
2. 저점하회종목(1년 기준)
없음 |
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
4. 연속 하한가 종목
없음 |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어반리튬(073570) | 포스코엠텍(009520) | 강원에너지(114190) | 알에프세미(096610) |
셀바스헬스케어(208370) | 뉴로메카(348340) | EG(037370) | 엠로(058970) |
아스타(246720) | 석경에이티(357550) | 탑머티리얼(360070) | 중앙디앤엠(051980) |
6. 보조지표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셀바스AI(108860) | 휴마시스(205470) | 유일로보틱스(388720) | HLB이노베이션(024850) |
이랜텍(054210) | 케이피에스(256940) | 한컴위드(054920) | 자이언트스텝(289220) |
엠투아이(347890) | 오토앤(353590) | 유티아이(179900) | 퓨쳐켐(220100) |
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갤럭시아머니트리(094480) | 휴림로봇(090710) | 고영(098460) | 오픈베이스(049480) |
씨이랩(189330) | 아이씨에이치(368600) | 영풍정밀(036560) | 케이아이엔엑스(093320) |
브레인즈컴퍼니(099390) | 시노펙스(025320) | 범한퓨얼셀(382900) |
③ 장기 데드 크로스 MA(60,180)
없음 |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HLB(028300) | 브리지텍(064480) | 폴라리스오피스(041020) | 우리기술투자(041190) |
HLB제약(047920) | 에스씨엠생명과학(298060) | 제로투세븐(159580)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288330) |
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에코프로(086520) | 레몬(294140) | 에스피지(058610) | 인탑스(049070) |
코스텍시스(355150) | 로보스타(090360) | 가온칩스(399720) | 피에스케이(319660) |
탑머티리얼(360070) | 코아시아(045970) | 켐트로닉스(089010) | 코윈테크(282880) |
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자이글(234920) | 넥슨게임즈(225570) | 대주전자재료(078600) | 에코앤드림(101360) |
나노팀(417010) | 동진쎄미켐(005290) | 씨아이에스(222080) | 알에프세미(096610) |
하림지주(003380) | HB테크놀러지(078150) | 윤성에프앤씨(372170) | 이엠앤아이(083470) |
⑦ 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에코프로(086520) | 에코프로비엠(247540) | 제이오(418550) | 미래나 노텍(095500) |
넥슨게임즈(225570) | 대주전자재료(078600) | 대명에너지(389260) | 동진쎄미켐(005290) |
씨아이에스(222080) | 피엔티(137400) | HB테크놀러지(078150) | 대보마그네틱(290670) |
⑧ CCI(9) 0선 하향돌파
에코프로비엠(247540) | 성일하이텍(365340) | 에코앤드림(101360) | 동진쎄미켐(005290) |
대보마그네틱(290670) | 이오플로우(294090) | 원익IPS(240810) | 비에이치(090460) |
저스템(417840) | 리노공업(058470) | 칩스앤미디어(094360) | 유니셈(036200) |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에코프로(086520) | 미래나노텍(095500) | 성일하이텍(365340) | 대주전자재료(078600) |
동진쎄미켐(005290) | 하림지주(003380) | HB테크놀러지(078150) | 대보마그네틱(290670) |
윤성에프앤씨(372170) | 에스코넥(096630) | 주성엔지니어링(036930) | 두산테스나(131970) |
* 적출빈도 4회 : 동진쎄미켐(005290)
* 적출빈도 3회 : 에코프로(086520) 대주전자재료(078600) HB테크놀러지(078150) 대보마그네틱(290670)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