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마 전체 정리(총 2,000개 예정)/**관련주, **테마(일반)...

DMZ 평화공원관련주, 20종목 NO.214

by goodpoint77777 2020. 12. 4.
728x90
반응형

214번 DMZ 평화공원관련주입니다.

 

 

 

DMZ(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조성 기대감에 관련주로 언급되는 종목군.

<본 섹터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므로 종목별로는 실제 영위하는 사업내용과

섹터 내용의 상관관계나 매출비중이 다소 낮을 수 있음>

 


 

  • 동사는 위생용포장용기를 제조 및 판매할 목적으로 1980년 8월 25일에 설립되어 1992년 12월 22일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함.
  • 동사의 주 사업은 위생용포장용기(액체음료용기)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부 사업으로는 임대업을 겸업하고 있음.
  • 카톤팩시장은 국내 우유시장에 연동하여 움직인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우유소비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

 

 

 

 

 

  • 동사는 1992년 5월 설립되어 2003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함.
  • 기능성 극세사 섬유를 이용한 침구 및 생활용품을 제조하며 부수적인 사업으로는 복합방사방식의 나노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필터여제 와 방위산업 제품 제조업을 영위중임. 전세계 약 40여개국에 극세사 청소용품을 수출함.
  •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2020년 3월 20일 기준 현재 8개사이며, 이중 주요종속회사는 4개사임.

 

 

 

 

 

  • 1982년 10월 운송전문업체인 영대운수를 설립하여 운송업을 영위하다, 1994년 9월에 건설업으로 업종전환하였으며 1992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POSCO의 포항, 광양사업소의 토건정비공사를 시작으로 조달청, 지자체의 발주공사 등 다수 관급 및 민간공사를 수주하며, 지역주택사업을 영위하는 중견건설업체.
  • 2009년 4월 고속도로 휴게소 및 주유소 운영권을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수주하여 몇몇의 휴게소 등을 운영하고 있음.

 

 

 

 

 

  • 동사는 토목자재 부품제조 및 판매, 시공,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1995년 1월 설립되었으며 2008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 동사는 일본의 SE사와 기술제휴를 통해 사면안정공법의 불모지인 우리나라에 영구앵커, 타이케이블 등의 신제품을 출시하여 영구적인 사면안정공법의 국내보급에 매진하고 있음.
  • 영구앵커는 토압에 의한 위험이 예상되는 곳에 고하중의 인장력을 가하여 위험요인을 영구 제거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되는 토목자재임.

 

 

 

 

 

  • 동사는 2001년 고분자 소재의 개발, 생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됨
  • 동사는 고분자 신소재 개발기술을 바탕으로 자동차 내장재용, 건축용 및 레저용 등 다양한 고부가 신소재를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고부가 신소재를 활용한 건축용 외장재를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음.
  • 자동차용 인테리어 및 봉지(Encapsulation) 내장재 시장에서 과점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음.

 

 

 

 

 

  • 동사는 1988년 2월 설립된 이래 현재까지 31년간 국내 전시문화산업의 발달사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수많은 전시문화사업을 수행하여 왔으며 1999년 8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박물관, 테마파크 등과 같이 인간의 삶과 문화의 현장에서 창출된 지식과 정보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전시문화산업을 하고 있음.
  • 전시문화산업이란 세계의 수많은 박물관과 과학관 등에 채워지는 각종 전시물과 콘텐츠를 창조하는 비즈니스를 말함.

 

 

 

 

 

  • 동사는 컴퓨터시스템 개발 및 판매업,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및 판매업, 정보통신 관련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관련 사업, 컴퓨터 관련 용역, 기타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 사업부문은 IT사업부문, 유통사업부, 부동산 사업으로 구성됨.
  • 2018년 4월 소프트웨어 개발/자문/공급업을 영위하는 한국도서관정보센터를 인수함. 2018년 12월 유,무선통신장비 등을 개발 제조 판매하는 씨그널정보통신를 인수하여 종속회사로 편입함.

 

 

 

 

 

  • 동사는 2000년 2월에 법인설립 되었으며, 2016년 5월 27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 동사의 주요 사업은 콘도 숙박시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리조트 운영사업과 콘도 및 골프 회원권 분양을 중심으로 하는 분양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 동사는 버치힐콘도, 포레스트레지던스, 베르데힐콘도 등 프리미엄 콘도와 타워콘도, 빌라콘도, 그린피아콘도 등 대중형 콘도를 함께 개발하여 다양한 타깃을 대상으로 리조트 운영업을 지속함.

 

 

 

 

 

  • 동사는 2017년 3월 식품사업부문(크라운제과)을 인적분할의 방법으로 분할하였으며 분할존속 회사로서 자회사의 지분 소유를 통해 자회사 사업을 지배하는 투자사업을 영위함.
  • 동사의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은 음식료품 제조 및 판매업(크라운제과, 해태제과식품) 임업 및 부동산임대업(해성농림) 등이 있음.
  • 종속회사들의 주요 제품으로는 쿠크다스, 홈런볼, 오예스, 뽀또, 빅파이, 부라보콘 등이 있음.

 

 

 

 

 

  • 동사는 1971년 설립되어 건축석재 가공 및 판매, 석산개발 및 채석, 석공사, 건축석 수출입, 석재공예품 판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원석채취, 원석 및 석제품 가공, 석판재 수출입 및 유통 그리고 석공사 시공을 영위하는 종합석재업체로, 기업집단 '통일그룹'에 소속된 기업임.
  • 석재업체 중 유일한 상장회사로써 화강석 최대 생산단지인 경기도 포천에 연간생산량 약 2,000,000재 규모의 석산을 보유하고 있음.

 

 

 

 

 

  • 동사는 철강재 및 건축자재의 가공,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사업 목적으로 1980년 6월 10일에 설립되었음.
  • 자동차, 전기가전, 건설산업 등의 산업원자재인 코일을 자동화 기계설비를 갖추고 수요자가 원하는 규격으로 전·절단 가공하여 공급하는 것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함.
  • 또한, 주요종속회사인 대창에이티는 2019년 3월 주요생산시설을 매각함에 따라 유통영업 활동만 영위하고 있음.

 

 

 

 

 

  • 동사는 1956년 주식회사 동지로 설립된 기업으로 1971년 이화공영 주식회사로 상호가 변경됨.
  • 건축, 토목, 전기, 소방 등 건설관련 면허를 가지고 여러 분야에서 건설업을 영위하고 있음.
  • 건축공사는 오피스, 학교, 제시설물 건설을 중점사업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토목공사는 정수처리시설공사, 교량공사, 토지조성공사 등을 중심으로 한 공동도급이행방식으로 시행하고 있음.

 

 

 

 

 

  • 동사는 1992년 7월24일에 설립하였으며, 2005년 8월 4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함.
  • 동사의 주된사업은 가구제작 및 판매업, 사무용기기 제조 가공 및 판매업, 실내칸막이 공사 및 기타 전문공사업, 주방기기제조 및 판매업, 커튼 및 침구류 제조 및 판매업을 수행하고 있음.
  • 사무용 가구산업은 노동집약적 특성과 기술집약적인 특성이 공존하고 있는 산업, 경기변동에 민감한 내구소비재 산업임. 동사는 22%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음.

 

 

 

 

 

  • 주요사업으로 환경생태복원사업, 조경사업, PC저류조사업, 환경플랜트사업, 기타 건축공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주요사업으로 환경생태복원사업, 조경사업, PC저류조사업, 환경플랜트사업, 기타 건축공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동사의 지오그린 다공성 식생블록은 토목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시멘트의 독성을 없애고 식물의 생육과 토양 미생물 및 소곤충이 생육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보존과 치수의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

 

 

 

 

 

  • 동사는 1975년 9월 25일 설립되었으며, 1989년 5월 10일 상장함.
  • 동사의 주요사업의 내용으로는 전자계산기기 및 주변 관련기기 생산, 판매 및 그 임대서비스업, 정밀기계 생산 및 그 제품 판매업, 수출입업, 부동산 임대 및 판매업 등이 있음.
  • 방위산업은 정부주도 및 대규모 사업을 통해 국가를 방위하는데 필요한 무기 및 기타의 장비 등을 연구개발, 생산, 정비하는 산업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