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시장 -
7/4 KOSPI 2,300.34(-0.22%)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외국인/개인 순매도(-), 기관 순매수 속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등(+)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경기 침체 우려에도 美 국채금리 급락 속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ECB 금리 인상 예고 주목 속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310.73(+5.31P, +0.23%)으로 소폭 상승 출발. 장초반 하락 전환한 지수는 2,290선 아래로 밀려나기도했지만, 이내 반등에 성공한 뒤 2,318.31(+12.89P, +0.5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전 중 재차 하락세로 돌아선 뒤 2,284선까지 밀려나기도 함. 오전 장 후반 강보합 전환하기도 했던 지수는 이내 낙폭을 확대했고, 오후 들어서도 낙폭을 키워 2,276.63(-28.79P, -1.25%)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장 마감까지 서서히 낙폭을 만회한 지수는 결국 2,300선을 회복하며 2,300.34(-5.08P, -0.22%)로 장을 마감.
이날 밤 미국 증시 휴장(독립기념일)을 앞두고 시장을 움직일 만한 변수가 뚜렷하지 않은 가운데,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며 지수는 나흘째 하락. 장중 기준, 종가 기준 연저점 재차 경신. 외국인이 5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으며, 개인도 5거래일만에 순매도 전환. 다만, 기관이 6거래일만에 순매수한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등에 성공하며 낙폭은 다소 제한된 모습.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경계감이 지속되는 모습. 지난 주말 S&P 글로벌이 발표한 美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는 52.7을 기록해 약 2년 만에최저치를 경신했으며, 전미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6월 PMI도 53.0을 기록해 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음. 제조업 지표 악화 속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美 2분기 GDP 성장률 전망치는 마이너스(-) 2.1%로 집계됐음. 1분기 GDP 성장률 -1.6%에 이어 2분기마저 성장률이 마이너스대를 기록할 경운 美 경기 침체가 현실화됨.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6,253명을 기록. 위중증 환자는 56명, 사망자는 4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이 상승한 반면, 대만, 홍콩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385억, 1,835억 순매도, 기관은 3,12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1,004계약, 1,735 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2,741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0.2원 하락한 1,297.1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0.9bp 하락한 3.430%,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0.1bp 하락한 3.48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0틱 오른 103.96으로 마감. 외국인, 투신이 6,103계약, 2,061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은행은 4,384계약, 3,346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전거래일 대비 29틱 오른 112.20으로 마감. 외국인이 842계약 순매수, 은행은 1,027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다소 우세. KB금융(-2.59%), LG화학(-1.77%), 신한지주(-1.72%), 삼성SDI(-1.17%), 현대차(-1.11%), POSCO홀딩스(-1.08%), SK(-0.95%), NAVER(-0.84%), 삼성물산(-0.82%), LG에너지솔루션(-0.14%) 등이 하락. 반면, SK하이닉스(+1.83%), 삼성전자(+1.60%), 삼성바이오로직스(+1.28%), 카카오(+1.19%), 기아(+0.64%), LG전자(+0.33%), 셀트리온(+0.28%) 등은 상승. 현대모비스, SK이노베이션은 보합.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건설업(-4.08%), 기계(-3.37%) 업종의 하락세가 두드러졌으며, 운수장비(-1.82%), 화학(-1.51%), 비금속광물(-1.28%), 종이목재(-1.07%), 금융업(-1.05%), 철강금속(-1.00%), 보험(-0.88%), 유통업(-0.83%)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의료정밀(+2.78%), 통신업(+1.22%),의약품(+0.91%), 음식료업(+0.85%), 전기전자(+0.83%)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300.34P(-5.08P/-0.22%)
- 코스닥시장 -
7/4 KOSDAQ 722.73(-0.93%)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경기 침체 우려에도 美 국채금리 급락 속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33.35(+3.87P, +0.53%)로 상승 출발. 장초반 하락 전환하기도 했던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한 뒤 상승폭을 키워 736.73(+7.25P, +0.9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재차 하락세로 돌아선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낙폭을 키워 오후 장중 712.53(-16.95P, -2.32%)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해 결국 722.73(-6.75P, -0.93%)로 장을 마감.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과 기관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며 연중 최저치 재차 경신.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81억, 154억 순매도, 개인은575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위메이드(-11.68%), 리노공업(-3.82%), 카카오게임즈(-3.41%), CJ ENM(-2.13%), 솔브레인(-1.52%), 동진쎄미켐(-1.41%), 셀트리온제약(-1.40%), 천보(-0.63%), 셀트리온헬스케어(-0.58%), 에코프로(-0.44%) 등이 하락.반면, 에스티팜(+5.40%), 에스엠(+4.36%), 씨젠(+3.39%), JYP Ent.(+3.23%), HLB(+3.00%), 에코프로비엠(+2.95%), 펄어비스(+2.54%), 알테오젠(+1.56%), 엘앤에프(+1.16%), 스튜디오드래곤(+0.14%)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금속(-3.27%), 건설(-2.85%), 비금속(-2.77%), 디지털컨텐츠(-2.69%), 기계/장비(-2.55%) 업종의 하락세가 두드러졌으며, IT S/W & SVC(-1.93%), 운송(-1.85%), 통신장비(-1.80%), 금융(-1.77%), 인터넷(-1.76%), 반도체(-1.70%), 컴퓨터서비스(-1.64%), 화학(-1.54%), 방송서비스(-1.43%) 업종 등이 큰 폭 하락. 반면, 오락/문화(+1.57%), 일반전기전자(+0.70%), 제약(+0.40%) 업종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22.73P(-6.75P/-0.93%)
테마시황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반등 추세 등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코로나19(음압병실/음압구급차) 등 코로나19 테마 상승.
▷美 원숭이두창 대응 미흡 속 통제력 상실 우려 등에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러시아 원유 생산량 500만배럴 감산시 국제유가 380달러까지 상승 전망 등에 일부 LPG(액화석유가스)/정유 테마 상승.
▷국제유가 상승 속 자전거 수요 증가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자전거 테마 상승.
▷이 외에 통신, 백화점, 반도체 대표주(생산), 도시가스 등 일부 테마가 상승.
▷반면, 현대차·기아 10개 차종 독일 배기가스검사 불합격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 하락.
▷5월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1억대 미만 소식에 스마트폰 테마하락.
▷한-중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차이 확대 소식 등에 2차전지 테마 하락.
▷2분기 순이익 전분기 대비 감소 전망 등에은행 테마 하락.
▷GS건설, DL이앤씨 등 주요 건설주 2분기 실적 우려 등에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 하락.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시장에서 부각됐던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건설기계 등의 테마 하락.
▷EU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 기대감 등으로 상승했던 풍력에너지/태양광에너지 테마 하락.
▷국내 증시 부진 속 증권 테마 하락.
▷이 외에 조선, 조선기자재, 원자력발전, 항공기부품, 야놀자 관련주, 우주항공산업,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철도, 리츠(REITs), 골프 등의 테마가 하락률상위를 기록.
코로나19 관련주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반등 추세 등에 상승
▷금일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6,253명을 기록.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6,089명, 해외 유입 확진자는 164명이며, 누적 확진자는 1,839만5,864명임. 신규 확진자 수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정점을 찍은 지난 3월 이후 꾸준히 감소하다가 최근 다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날 발표된 확진자 수는 일주일 전 같은 요일 확진자 3,423명보다 3,000명 가까이 늘어난 수치이며 같은 요일 기준 지난 5월23일(9,971명) 이후 6주 만에 가장 많은 수치임.
▷이 같은 소식에 수젠텍, 휴마시스, 랩지노믹스, 피씨엘, 씨젠 등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가 상승. 한편, EDGC는 우즈베키스탄 디지털헬스케어플랫폼 구축 사업 컨소시엄을 통한 참여 소식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반면, 제주항공, 티웨이홀딩스 등 항공/저가 항공사, 노랑풍선, 하나투어 등 여행, 글로벌텍스프리, 호텔신라, JTC, HDC 등 면세점 등의 리오프닝 관련주들은 하락.
원숭이두창美 원숭이두창 대응 미흡 속 통제력 상실 우려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원숭이두창이 전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전문가들이 미국의 원숭이두창대응이 너무 느리다는 우려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짐. 전문가들은 국가의 대응이 코로나19 초기 때와 유사하다며, 원숭이두창이 기존과 다른확산세를 보이고 있는데도 상당히 제한된 검사와 백신 보급으로 발병 확산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음.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 주창 비정부기구인 '프렙포올'의 공동 설립자 제임스 크렐런스타인은 "우린 원숭이두창 진단 상황이 얼마나 나쁜지 한 달간 큰 소리로주장해왔다"며, "바이든 행정부 대응은 명백한 오류를 범하고 있고, 이는 초기 코로나19 사태로부터 교훈을 전혀 얻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언급했음. 아울러 美 전국성병예방협력센터(NCSD) 데이비드 하비 이사는 “미국은 검사 간소화와 가용 백신 제공, 치료제 접근 합리화 모두에 뒤처져 있다”며, “세 영역 모두 관료적이고 느리며, 이는 발병을 억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휴마시스, 바디텍메드, 엑세스바이오, 미코바이오메드, HK이노엔 등 원숭이두창 테마가 상승. 한편, 바디텍메드는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 중인 연구개발 과제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도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고 밝힘.
LPG(액화석유가스)/정유
러시아 원유 생산량 500만배럴 감산시 국제유가 380달러까지 상승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JP모건 체이스는 지난 2일(현지시간) 러시아가 하루 500만배럴의 석유를 감산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국제유가는 배럴당 380달러로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 러시아는 현재 재정 상태가양호하기 때문에 자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지 않고 하루 원유 생산량을 500만배럴까지 줄일 수 있다고 진단했음.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와 같은 미국과 유럽의 대(對) 러시아 제재 조치 강화가 오히려 러시아로 하여금 보복 제재에 나서도록 하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분석.
▷이어 러시아는 서방의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원유 수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가장 크다며, 러시아 정부가 원유 감산을 통해 서방에 고통을 주려 할 것이고 국제 원유 시장의 공급 악화 여부는 러시아 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음. 러시아가 하루에 원유 생산량을 300만배럴만 감산해도 국제 유가의 기준인 브렌트유가 배럴 당 190달러가 될 것이며, 최악의 경우 500만배럴을 줄이면 배럴 당 380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중앙에너비스, S-Oil 등 일부 LPG(액화석유가스)/ 정유 테마가 상승. 한편, 한국석유는 PI첨단소재에 제품 공급 본격화 소식 및 에너지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승.
자동차 대표주/부품
현대차·기아 10개 차종 독일 배기가스검사 불합격 소식 등에 하락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이날 "현대차·기아가 지난 28일(현지시간) 독일에서 검찰 압수수색을 받은 것과 관련해 확인한 결과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배기가스 검사를 받은 10개 모델 모두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밝힘. 그린피스는 해당 10개 모델 중 i20·ix30·싼타페·투싼·쏘렌토 등 5개 차종의 질소산화물 배출량 검사 결과를 입수해 공개했음.
▷그린피스에 따르면, 독일 연방도로교통청(KBA)이 실제 주행시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측정한 검사에서 현대 i20은 903.09 ㎎으로 유로6 기준인 ㎞당 허용치 80㎎보다 최대 11.2배나 많이 배출했고, 현대 ix35의 배출량은 1,118.28㎎으로, 유로5 기준인 ㎞당 180㎎보다 최대 6.2배 많았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실제 도로에서 주행 측정을 한 모든 현대차·기아 모델에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했다"며 "이는 현대·기아차가 실험실에서만 배출가스 정화 성능을 높이는 장치 등 다양한 조작 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위아, 만도, 현대차, 엠에스오토텍, 한일단조, 대우부품, 포메탈 등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가 하락.
스마트폰5월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1억대 미만 소식에 하락
▷지난 주말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5월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9,600만대로, 전월대비 4%, 전년동월대비 10% 감소. 이러한 감소세는 전월 대비 2개월 연속, 전년동기대비 11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부품 공급 문제는 올해 들어 점차 해소되고 있지만, 스마트폰 시장은 인플레이션, 중국 경기 침체,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여전히 수요 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모다이노칩, 육일씨엔에쓰, 크로바하이텍, 이미지스, LG이노텍 등 스마트폰 테마가 하락.
2차전지한-중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차이 확대 소식 등에 하락
▷중국 배터리 점유율 상위 3대 기업의 점유율과 한국 3대 기업 점유율 격차가 2배 가까이 벌어진 것으로전해짐.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5월 中 CATL의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동기대비 112.1% 늘어난 53.3GWH를 기록해 시장 점유율이 33.9%로확대된 것으로 전해짐. BYD는 210.5% 확대된 19.0GWh, 시장 점유율 12.1%, CALB는 154.3% 확대된 6.7GWh, 점유율 4.3%를 기록해 3개 업체의점유율은 50.3%를 기록해 과반을 넘긴 것으로 전해짐. 이에 반해 국내 상위 3대 기업 점유율은 25.6%로 지난달 수치대비 0.3%P 하락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올해 1~5월 누적 기준 세계 각국 차량 등록된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총량은 157.4GWh로 전년동기대비 77.3% 증가했으며 중국계 배터리 업체들은 대부분 시장 성장률을 상회한 반면, 국내 업체는 SK온을 제외하고는 시장 성장률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 1.7조원 규모 美 단독공장 건설 전면 재검토 소식에 따른 투자심리 악화 지속 등도 연일 부담으로 작용.
▷이러한 소식 속 코스모화학, 솔루스첨단소재, 엔켐, 나인테크, 삼성SDI 등 2차전지 테마가 하락.
은행2분기 순이익 전분기 대비 감소 전망 등에 하락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감독당국의 보수적 충당금 적립 권고에 따라 2분기 은행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예상보다 더 커질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2분기 은행 순이익은 약 5.7조원 내외로 컨센서스는 상회하겠지만, 1분기 순이익 5.9조원 대비로는 약 3.5% 감소할 것으로 추정. 대부분 은행들의 2분기 순이익이 1분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
▷한편, 은행주 평균 PBR이 0.33배까지 하락했으며 최근 대내적으로 규제 이슈가 크게 불거졌는데 규제리스크 등의 센티멘트 약화 요인은 주가에 상당부분 반영된 것으로 판단. 따라서 단기 반등은 충분히 가능한 시점이지만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계속 확산되고 있다는 점에서 추세적인 반등은 제한적일 것이고, KOSPI 대비 초과상승세 전환도 당분간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
▷이 같은 소식에 제주은행, 하나금융지주, JB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KB금융 등 은행주가 하락. 한편, 한국투자증권은 하나금융지주에 대해 환율 영향 등으로 2분기 지배순이익이 컨센서스를 10% 하회할 것으로 전망.
페이퍼코리아
(001020)
1,800원
(+21.62%)매각 본격화 소식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최대주주 유암코(연합자산관리)와 매각자문사 EY한영은 오는 5일 원매자들을 대상으로 예비입찰을 실시할 것으로 알려짐. 이번 거래 대상은 유암코기업리바운스제7차PEF 및 유앤아이대부가 동사 주식(2,534만8,983주) 및 채권(1,954억원)으로 전해짐.
▷한편, 당초 6월 말 동사에 대한 예비입찰을 실시 하려고 했지만, 매각 준비 및 시장 상황 분석 등으로 늦어진 바 있음.
에스와이/범양건영/금강공업/자연과환경
우크라 부총리, 모듈러주택 직접 지원 요청소식 속 모듈러 주택 관련주로 부각되며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리나 베레슈크 우크라이나 부총리 겸 임시점령지역 재통합 장관이 인터뷰를 통해 한국에 지원을 직접 요청한 것으로 전해짐. 부총리는 "전쟁 때문에 우크라이나를떠났던 국민들이 많이 돌아오고 있으며, 그들은 일자리와 집을 잃어 이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 같다“며 ”한국에는 모듈러주택 건설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고 싶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모듈러 건축물의 중요 자재중 하나인 구조용 단열패널을 판매중인 에스와이, 모듈러주택 제조업을 영위중인 범양건영, 모듈러건축업을 영위중인 금강공업, PC모듈러 주택을 연구개발한 바 있는 자연과환경 등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 범양건영, 금강공업, 자연과환경, 에스와이
LF
(093050)
16,300원
(+5.50%)400억원 규모 케이스퀘어데이터센터피에프브이 주식 추가 취득 결정에 상승▷지난 1일 장 마감 후 종속기업인케이스퀘어데이터센터피에프브이 주식회사의 시설자금 확보 목적으로 케이스퀘어데이터센터피에프브이 주식회사 주식 4,000,000주를 400.00억원에 추가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66.90%, 취득예정일:2022-07-07) 공시.
한올바이오파마
(009420)
16,800원
(+5.33%)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앱시토정' 출시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앱시토정'(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을 발매했다고 밝힘. 앱시토정이 추가되면서 동사는 기존 보유한 '노르믹스', '바이오탑' 등 소화기계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게 됐으며, 소화기계 치료제 처방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 특히, 5년 내 앱시토정을 기존 베스트셀러제품인 노르믹스, 바이오탑 등 하부 소화기계 치료제 라인에 이은 매출 100억 제품으로 육성한다는 목표임.
한국석유
(004090)
11,750원
(+3.98%)PI첨단소재에 리사이클링 유기용제 제품 공급 소식 등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친환경 리사이클 공정을 완공하고 리사이클링 유기용제 본격 양산에 돌입해 금일부터 PI첨단소재에 제품을 공급한다고 밝힘. 동사는 지난 5월 폴리이미드(PI) 소재 세계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PI첨단소재에 리사이클링 유기용제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독보적 기술력과 생산력을 동시에 확보한 만큼 다양한 리사이클링 제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매출 본격화 이후 제반 시설을 순차 증설하고 신규 제품 개발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힘.
▷아울러 국제유가가 3배 이상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 속 수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CJ대한통운
(000120)
117,500원
(+3.07%)2분기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DB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 2조 9,297억원(+7%YoY, +3%QoQ), 영업이익 1,130억원(+25%YoY, +49%QoQ)으로 컨센서스(1,091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택배부문 M/S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며, 파업 등의 영향으로 1분기 45%까지 하락했던 M/S는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고 밝힘. 판가 인상 작업 역시 순조롭다며, 4월 기준 택배부문 ASP는 2,274원으로 전년 대비 6% 높은 수준이라고 언급.
▷또한, ASP 상승은 M/S 회복과 더불어 택배부문의 하반기 수익성 개선을 이끌 전망. 우려와 달리로킨 매각에도 불구하고 저수익 사업의 철수와 포워딩 사업의 호조로 글로벌 부문의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다고 밝힘. 이어 e커머스 사업 역시 높은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주가부진으로 밸류에이션 역시 역사적 저점에 가깝다며, 절대적인 저평가 상태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70,000원[유지]
후성
(093370)
17,650원
(+1.73%)1,060.53억원(자기자본대비 37.41%) 규모 신규시설(이차전지 전해질(LiPF6) 생산시설) 투자 결정에 소폭 상승▷지난 1일 장 마감 후 1,060.53억원(자기자본대비 37.41%) 규모 신규시설(이차전지 전해질(LiPF6) 생산시설) 투자 결정 공시.
제일기획
(030000)
24,150원
(+1.47%)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2 연결기준 매출총이익은 3,610억원(+14.2% YoY), 영업이익은 873억원(+21.1%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858억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국내는 삼성전자 단말기에 이어 가전 수요까지 확대, 해외는 전 지역의 순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언급.
▷아울러 올해 연결기준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 4,538억원(+13.6% YoY), 3,128억원(+26.0%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올해 북미 시장 점유율 확대 전망, 유럽/중남미 등 최근 오프라인 물량 확대 때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5,000원[유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46,950원
(-6.85%)中 락다운에 비방산 매출 감소 전망 등에 약세▷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매출액은 1조8,508억원(YoY +10%, QoQ +34%), 영업이익은 1,130억원(YoY -15%, QoQ +70%), 지배순이익 648억원(YoY -14%, QoQ +69%)으로 컨센서스 수준이 예상된다고 밝힘. 이와 관련, 2분기 실적 추정을 낮추었는데 이는 중국 락다운에 따른 정밀기계 부진 등으로 비방산 부문을 하향 조정했기 때문 등이라고밝힘. 비방산4사 매출액은 5,587억원(YoY -4%, QoQ +3%), 영업이익은 402억원(YoY -56%, QoQ -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0,000원[유지]
DL이앤씨
(375500)
39,200원
(-7.00%)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약세▷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Q22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7% 감소한 1조8,328억원으로 컨센서스 대비 5.1%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연초 EPC 전환을 기대했던 러시아 플랜트 수주가 불발되면서 플랜트 부문의 매출 공백에 따른 영향 때문이라고 설명.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5.1% 감소한 1,257억원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1,924억원 대비 34.6% 하회하는 아쉬운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이는 1분기에 이어 건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주택 현장들의 진행예정원가 재조정에 크게기인했다고 설명.
▷아울러 동사의 금년도 영업이익을 16.7% 하향 조정하고, 목표배수는 동사 분할 전 기준 역사적 밸류에이션 하단인 0.5X로 설정하여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85,000원 → 55,000원[하향]
GS건설
(006360)
28,850원
(-8.41%)해외 플랜트 비용 반영 가능성 확대 우려에 급락▷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분기 영업이익이 1,61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9.0% 증가, 컨센서스 영업이익 2,221억원 대비 27.5% 하회하는 아쉬운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2분기 특정 해외 플랜트 현장의 코로나19로 인한 추가 원가 반영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한편, 주택의 경우는 예정원가 미확정 현장들의 순차적 확정으로 점진적 정상화 구간에 진입할 것으로 가정했다며, 2분기 주택 정상화 구간에서 해외 비용 반영이 발생할가능성이 확대된 점은 아쉽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0,000원 → 48,000원[하향]
이화전기
(024810)
1,330원
(+29.76%)배터리 시장 진출 추진 소식에 상한가▷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달 27일 한국을 방문한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이사회 의장을 만나 사업 협력의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힘. 에너테크의 대주주는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인 로사톰으로, 국가 차원의 첨단 전기차 배터리 제조 사업진출을 위해 4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을 에너테크와 준비 중이며, 현재 자체 공장에서 러시아 전기차와 전기버스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에너테크가 동사에 배터리 셀을 공급하고, 동사가 배터리 모듈, 팩 제조시설을 구축해 생산하는 방식으로 사업협력이 진행될 것"이라면서 "이와 관련해 에너테크는 배터리 모듈, 팩 제조에 대한 자문도 맡아해당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 개발을 진행할 계획으로 본계약 체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힘.
아이에이
(038880)
802원
(+11.23%)전력 반도체 선제적 투자 등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확보 기대감에 급등▷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반 전력 반도체 연구개발(R&D) 강화, 양산에 도전하겠다고 밝힘. 이와 관련, 김동진 동사 대표는 "매년 매출 대비 4% 이상을 R&D에 투자하고, 전체 인력의 약 15%가 연구개발 인력으로 구성됐다"라며 "차량용 반도체는 향후 300조원 이상의 거대 시장으로 성장될 것으로기대되는 만큼 선제적 투자 등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나설 것”이라 밝힘.
바디텍메드
(206640)
11,450원
(+10.10%)융복합 호흡기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정부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중인 연구개발 과제가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도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고 밝힘. 주관기관인 라이센텍, 공동 연구기관인 분당서울대병원·시드니대·오성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함께 흡입형 신규 엔도리신 항생제의 개발을 목표로 하며, 동사는 상용 흡입형 기기 구현을 맡을 예정.
▷이와 관련 동사의 대표는 "흡입형 치료제는 특허 장벽은 없으나 기술 장벽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이 진입하지 못한 분야"라며, "이번 국가과제 참여를 통해 흡입형 치료제의 기술 장벽을 허물고 의료기기의 국산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힘.
서한
(011370)
1,440원
(+9.51%)2,911.1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코리아신탁(주)과 2,911.1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7.82%) 규모 공급계약(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봉산리 1530번지 공동주택 신축사업) 체결(계약기간:2022-07-04~2025-04-25) 공시.
피씨엘
(241820)
16,000원
(+9.22%)NHN 클라우드와 환경부 국책사업 참여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강남세브란스병원 안철우 교수팀과 60억원 규모의 환경 RND 사업 신규 정부과제에 NHN 클라우드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다고 밝힘. 안철우 교수팀은 최근 환경부가 발주한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핵심 기술개발사업을 수주, 앞으로 5년간(2026년 12월까지) 연구 개발을 진행하며, 동사는 NHN 클라우드가 보유한 광주 인공지능센터에 설치되는 HPC(High Performance Computer)의 세계 5개 컴퓨팅 파워를 이용해 유전체기반 환경성질환 예측모델 알고리즘개발과 질환감수성 진단키트개발을 맡은 것으로 전해짐.
파인디지털/모바일어플라이언스/팅크웨어
EU 판매 차량 블랙박스 장착 의무화 소식속 차량용 블랙박스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일부 외신에 따르면, 현지시간 6일부터 EU 내에서 판매되는 차량에 블랙박스 장착이 의무화되는 것으로 전해짐. 이번 시행령은 단계적으로 시행되며 2024년 5월에는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량에 블랙박스가 장착될 것으로 전해짐. EU는 블랙박스 장착 의무화 시행령이 자동차 사고를 줄이기 위함이라며 의무화 시행시 자동차 사고율은 2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러한 소식 속 차량용 블랙박스 사업을 영위하는 파인디지털, 모바일어플라이언스, 팅크웨어 등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 파인디지털, 팅크웨어,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에스티팜
(237690)
91,800원
(+5.40%)에이즈치료제 'STP0404' 임상 1상 시험 결과보고서 수령에 상승▷동사는 공시를 통해 에이즈치료제 STP0404 프랑스 임상 1상 시험 결과보고서를 수령했다고 밝힘. 1상은 건강한 남성 지원자를 대상으로 단회투여용량증가, 반복투여용량증가, 음식물영향평가 시험을 통해 STP0404의 안전성과 내약성 및 약동학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됐으며, 1상 결과 약물과 관련된 심각한 이상반응 및 임상적으로 유의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고 설명.
▷한편, 현재 임상2상의 Pre-IND(사전 임상시험계획) 미팅이 진행중이며, HIV-1에 감염되고 처방을 받지 않은 성인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임상 2a상을 진행할 예정라고 밝힘.
제룡전기
(033100)
7,250원
(+4.62%)532.82억원 규모 美 주상 변압기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와 532.8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09.2%) 규모 공급계약(미국 PUBLIC SERVICE ELECTRIC AND GAS COMPANY 주상 변압기) 체결(계약기간:2022-07-01~2023-12-31) 공시.
전진바이오팜
(110020)
4,410원
(+4.38%)10억원 규모 반려동물용 기능성 사료 및 용품류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주)포파코와 10억원(최근 매출액대비31.11%) 규모 공급계약(반려동물용 기능성 사료 및 용품류) 체결(계약기간:2022-07-04~2023-07-03) 공시.
에스엠
(041510)
64,600원
(+4.36%)향후 3년간 연평균 영업이익 23% 성장 전망 등에 상승▷KB증권은 동사에 대해 향후 3년간(2022E~2024E) 연평균 영업이익 성장률이 22.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아이돌의 역사를 써 온 회사로 충성도가 높은 팬덤을 보유하고 있고(높은 음반 판매량 보유), 그룹 내 유닛 활동뿐만 아니라 그룹 간 유닛 활동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며, 자회사 비욘드 라이브와 디어유를 통해 플랫폼 비즈니스를 영위하면서 콘텐츠 수익을 다각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
▷또한,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본업과 플랫폼 사업 등 자회사들이 기업가치 증대에 기여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밸류에이션 멀티플이 디스카운트 받아 왔던 배경에는 최대주주의 거버넌스 이슈가 있었지만, 최근 얼라인파트너스가 추천한 감사위원이 선임되면서 기업 경영에 투명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목표주가 : 100,000원[유지]
나이벡
(138610)
23,650원
(+4.19%)펩타이드 기반 조직재생 바이오 소재 하반기 임상 본격화 소식에 상승▷이날 동사는 언론을 통해 펩타이드 기반 조직재생 바이오 소재가 하반기 본격적인 임상에 진입할 계획이라고 밝힘. 이는 4차 혁명 및 미래의료 선도과제를 골자로 하는 범부처사업단과 1차, 2차, 3차년도 협약에 선정된 결과로 동사는 50억원 규모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서울대 치과병원, 한국광기술연구원과 함께 조직재생 기능성 바이오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짐.
▷동사 관계자는 범부처사업단으로부터 3차년도 협약에 성공하지 못한 기업들도 상당하기 때문에 이번 조직재생 바이오 소재에 대한 3차년도 협약성공은 기술이전을 비롯한 제품 상용화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미글로벌 판매처로부터 기술이전을 비롯한 구매의사 확인을 받은 상태로 올해 하반기 임상시험에 진입해 빠른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힘.
디앤씨미디어
(263720)
20,100원
(+4.15%)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제작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나 혼자만 레벨업'의 애니메이션 제작을 공식화한다고 밝힘. 이번 애니메이션은 소니그룹에 소속된 영상기획 전문그룹인 애니플렉스 산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에이원픽쳐스(A-1 Picutres)’에서 제작할 예정이며, 글로벌 론칭 예정 시점은 내년임.
▷동사 관계자는 "웹툰의 새역사를 써 나가는 ‘나 혼자만 레벨업’의 애니메이션 제작에 기대가 매우 크다"며, "향후 신작 출시 확대, 강력한 지적재산권(IP)를 활용한 스핀오프 작품 제작 및 게임 사업 등 원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힘.
프리시젼바이오
(335810)
6,920원
(+2.82%)1,182.07억원 규모 검사기 및 카트리지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Antech Diagnostics, Inc.와 1,182.07억원(최근 매출액대비 744%) 규모 공급계약(검사기 및 카트리지) 체결(계약기간:2022.07.04~2037.12.31) 공시.
유일에너테크
(340930)
13,200원
(+2.72%)271.00억원 규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소폭 상승▷271.00억원(자기자본대비 58.56%) 규모 신규시설(공장신축) 투자 결정 공시.
유틸렉스
(263050)
8,480원
(+2.42%)EU204, 美 FDA 희귀의약품 지정 신청 완료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엡스타인바바이러스(EBV) 양성 암 대상 킬러T세포치료제 'EU204'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희귀의약품 지정(ODD)을 신청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최수영 동사 대표는 "미국 FDA의 희귀의약품 지정이 승인되면 임상시험 기간 동안 세금 감면 및 연구 보조금 혜택을 받게 되며, 임상 2상 이후 조건부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희귀의약품 지정을 통해 임상 진행 및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빠른 상용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EU204'는 현재 국내에서 EBV 양성 림프종 및 고형암(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2a상을 진행 중이며, 연초 NK·T세포림프종 환자에게 치료제 1회투약만으로 완전관해(CR)를 확인했다고 발표한 바 있음.
테라사이언스
(073640)
1,960원
(-6.67%)테라테크노스 지분 전량 양도 결정 속 약세▷지난 1일 장 마감 후 경영효율성의 재고 및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테라테크노스 지분 전량(3,320,956주)을 478.00억원에 양도 결정(양도예정일:2022-07-05) 공시.
위메이드 그룹주
보수적인 접근 필요 분석 및 미르M 실망감 등에 급락
▷상상인증권은 위메이드에 대해 불안한 시황 등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에 대한 보수적 시각이 반영될 가능성이 더 높다며, 모멘텀의 가속력을 점검해 접근하는 보수적인 투자스탠스가 유효한 시점이라고 밝힘. 이어 현재 주가는 미르의전설4의 실적하향세, 위믹스 플랫폼 매출이 시장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하향세를 나타냈다고 언급.
▷다만, 향후 주가를 리레이팅 시킬 원동력인 신작출시와 신규플랫폼의 성공적인 런칭을 통해 펀더멘탈 회복이 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단기주가박스권[유지], 목표주가 : 75,000원[유지]
▷한편, 언론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선보인 신작 게임 '미르M: 뱅가드 앤 배가본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전해짐. 미르M은 엔씨소프트의 '리니지' 시리즈와 게임 구조가 유사하고, 유료 결제를 유도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알려짐.
[종목] :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
청담글로벌
(362320)
9,500원
(-15.56%)보호예수물량 출회 우려 속 급락▷상장 1개월을 맞아 동사 주식 3,149,380주(15.33%)가 금일 보호예수에서 해제됨.
삼성스팩6호
(425290)
8,780원
(↑29.88%)3신규상장 사흘째 상한가
에스와이
(109610)
3,835원
(↑30.00%)1우크라 부총리, 모듈러주택 직접 지원 요청 소식 속 모듈러 건축물의 중요 자재중 하나인 구조용 단열패널을 판매중인 점이 부각되며 상한가
공구우먼
(366030)
32,950원
(↑29.98%)1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수젠텍
(253840)
13,250원
(↑29.90%)1국내 신규코로나19 확진자 반등 추세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상한가
이화전기
(024810)
1,330원
(↑29.76%)1배터리 시장 진출 추진 소식에 상한가
페이퍼코리아
(001020)
1,800원
(+21.62%)매각 본격화 소식에 급등
휴마시스
(205470)
18,850원
(+18.55%)원숭이두창 및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랩지노믹스
(084650)
6,620원
(+14.73%)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반등 추세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GH신소재
(130500)
4,225원
(+13.73%)국내 신규코로나19 확진자 반등 추세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아이에이
(038880)
802원
(+11.23%)전력 반도체선제적 투자 등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확보 기대감에 급등
바디텍메드
(206640)
11,450원
(+10.10%)원숭이두창 및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융복합 호흡기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정부과제 선정 소식에 급등
서한
(011370)
1,440원
(+9.51%)2,911.10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팅크웨어
(084730)
13,450원
(+9.35%)EU 판매 차량 블랙박스 장착 의무화 소식 속 차량용 블랙박스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피씨엘
(241820)
16,000원
(+9.22%)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NHN 클라우드와 환경부 국책사업 참여 소식에 급등
파인디지털
(038950)
5,770원
(+8.87%)EU 판매 차량 블랙박스 장착 의무화 소식 속 차량용 블랙박스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나노씨엠에스
(247660)
22,000원
(+8.64%)세계 최초 개발 코로나19 사멸램프 부각에 급등
바이오스마트
(038460)
3,905원
(+8.47%)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반등 추세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모바일어플라이언스
(087260)
3,100원
(+8.20%)EU 판매 차량 블랙박스 장착 의무화 소식 속 차량용 블랙박스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