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개종목은 공모청약 철회하였습니다.
(관련 기사 링크)
5월 12일 목요일
1. 원스토어 공모청약
>>>https://www.fnnews.com/news/202205111538089206
[단독]원스토어, 상장 철회키로 최종 결정
[파이낸셜뉴스]원스토어가 지난 9일부터 이틀간 진행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저조한 기록을 내자 결국 상장을 철회키로 했다. 원스토어는 공모가를 낮춘 후 상장을 강행하려고 했으나 결국
www.fnnews.com
2. 美) 4월 생산자물가지수(현지시간)
3.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옵션만기일
5. MSCI 반기 리뷰(현지시간)
6. 美·아세안 정상회담 개최 예정(현지시간)
7. 美 코로나 정상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8. 핀란드, 나토(NATO) 가입 신청 결정 예정(현지시간)
9. G7 외무부 장관 회담 예정(현지시간)
10. 윤석열 정부 첫 국무회의 개최 예정
11. 권영세 통일부 후보자 인사청문회
12. 웹젠 노사 국회 간담회
13. SSG닷컴‧지마켓글로벌 통합 유료 멤버십 출시 예정
14. 이마트페이, 공식 서비스 개시 예정
15. 게임쇼 "플레이엑스포(PlayX4)" 개최 예정
16. 현대중공업 노사, 2차 합의안 찬반 투표 예정
17. 1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18. 3월 통화 및 유동성동향
19. 4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20. 산업부, 22년4월 ICT 수출입 동향
21. LG 실적발표 예정
22. KT 실적발표 예정
23. SK바이오팜 실적발표 예정
24. 삼성화재 실적발표 예정
25. 넷마블 실적발표 예정
26. 크래프톤 실적발표 예정
27. 펄어비스 실적발표 예정
28. 지역난방공사 실적발표 예정
29. 네오위즈 실적발표 예정
30. 파라다이스 실적발표 예정
31. 현대그린푸드 실적발표 예정
32. 현대리바트 실적발표 예정
33. KT&G 실적발표 예정
34. 하이딥, 스팩합병 상장 예정
https://www.news1.kr/articles/?4677368
거래소 "하이딥, 12일 코스닥시장 상장"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35. 가온칩스 공모청약
종목명 | 가온칩스 | 진행상황 | 공모주 |
시장구분 | 코스닥 | 종목코드 | 399720 |
업종 | 반도체 제조업 |
총공모주식수 | 2,000,000 주 | 액면가 | 500 원 |
상장공모 | 신주모집 : 2,000,000 주 (100%) | ||
희망공모가액 | 11,000 ~ 13,000 원 | 청약경쟁률 | |
확정공모가 | 14,000 원 | 공모금액 | 28,000 (백만원) |
주간사 | 대신증권 | 주식수: 500,000~600,000 주 / 청약한도: 25,000~30,000 주 |
수요예측일 | 2022.05.02 ~ 2022.05.03 | ||
공모청약일 | 2022.05.11 ~ 2022.05.12 | ||
배정공고일(신문) | 2022.05.13 (주간사 홈페이지 참조) | ||
납입일 | 2022.05.16 | ||
환불일 | 2022.05.16 | ||
상장일 | 2022.05.20 |
- 당사는 반도체소자의 설계 및 제조업(ASIC)을 주 사업으로 영위
- 당사는 삼성 파운드리의 공식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SAFE-DSP)로서 삼성 파운드리 공정을 사용하여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하고자 하는 팹리스(Fabless) 고객사에 당사의 다양한 시스템 반도체 설계 경험을 통해 축적한 전문성과 숙련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 파운드리 공정에 최적화된 시스템 반도체 디자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그 솔루션을 바탕으로 개발된 웨이퍼 형태의 반도체 칩(Chip)을 삼성 파운드리에 위탁 생산하여 팹리스(Fabless) 고객사에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
- 당사는 2012년 8월 설립 이후 다양한 응용 분야의 시스템 반도체 제품 개발 프로젝트 수행과정을 통해 확보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4년 4월 삼성전자와 ASIC Design Service Partner 계약을 체결하여 본격적인 영업 활동을 시작
36. 태림페이퍼 공모청약
투자자 울렸던 태림페이퍼… 시장 외면에 재상장 철회
투자자 울렸던 태림페이퍼 시장 외면에 재상장 철회
biz.chosun.com
37. 마스턴프리미어리츠1호 공모청약
종목명 | 마스턴프리미어리츠1호 | 진행상황 | 공모주 |
시장구분 | 거래소 | 종목코드 | 357430 |
업종 | 비주거용 부동산 관리업 |
공모주식수 | 11,860,000 주 | 액면가 | 1,000 원 |
상장공모 | 신주모집 : 11,860,000 주 (100%) | ||
희망공모가액 | 5,000 ~ 5,000 원 | 청약경쟁률 | |
확정공모가 | 5,000 원 | 공모금액 | 59,300 (백만원) |
주간사 | 삼성증권 | 주식수: 3,558,000 주 / 청약한도: 1,760,000 주 |
수요예측일 | 2022.05.02 ~ 2022.05.03 | ||
공모청약일 | 2022.05.12 ~ 2022.05.13 | ||
배정공고일(신문) | 2022.05.17 (주간사 홈페이지 참조) | ||
납입일 | 2022.05.17 | ||
환불일 | 2022.05.17 | ||
상장일 | 2022.05.31 |
38. 소니드 거래정지(주식병합)
- 현재 OLED 및 LCD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정밀화학소재와 IoT에 적용되는 무선전자 태그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 2010년 10월 30일에 코스닥 상장법인인 주식회사 SC팅크그린과 합병함.
-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NFC 안테나 생산 및 성능향상에 매진하고 있으며,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와 안정적인 공급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베트남에 제조공장을 설립하여 빠른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음.
39. 티웨이항공 추가상장(유상증자)
40. 제이스코홀딩스 추가상장(BW행사)
41.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추가상장(CB전환)
42. 네오셈 추가상장(CB전환)
43. 우리넷 추가상장(CB전환)
44. 서울식품 추가상장(CB전환)
45. 대동 추가상장(CB전환)
46.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47. 유로존) 4월 장기금리통계(현지시간)
48. 영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 예비치(현지시간)
49. 영국) 3월 무역수지(현지시간)
50. 영국) 3월 산업생산(현지시간)
51.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요약본
52. 日) 3월 경상수지
53. 日) 4월 은행대출
54. 日) 4월 경기관측보고서
55. 日) 4월 기업도산
* 야구 일정
18시30분
한화 VS LG <잠실>
KT VS KIA <광주>
NC VS 롯데 <사직>
두산 VS 키움 <고척>
SSG VS 삼성 <대구>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5월 12일 목요일
1. 원스토어 공모청약
2. 美) 4월 생산자물가지수(현지시간)
3.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4. 옵션만기일
5. MSCI 반기 리뷰(현지시간)
6. 美·아세안 정상회담 개최 예정(현지시간)
7. 美 코로나 정상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8. 핀란드, 나토(NATO) 가입 신청 결정 예정(현지시간)
9. G7 외무부 장관 회담 예정(현지시간)
10. 윤석열 정부 첫 국무회의 개최 예정
11. 권영세 통일부 후보자 인사청문회
12. 웹젠 노사 국회 간담회
13. SSG닷컴‧지마켓글로벌 통합 유료 멤버십 출시 예정
14. 이마트페이, 공식 서비스 개시 예정
15. 게임쇼 "플레이엑스포(PlayX4)" 개최 예정
16. 현대중공업 노사, 2차 합의안 찬반 투표 예정
17. 1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18. 3월 통화 및 유동성동향
19. 4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20. 산업부, 22년4월 ICT 수출입 동향
21. LG 실적발표 예정
22. KT 실적발표 예정
23. SK바이오팜 실적발표 예정
24. 삼성화재 실적발표 예정
25. 넷마블 실적발표 예정
26. 크래프톤 실적발표 예정
27. 펄어비스 실적발표 예정
28. 지역난방공사 실적발표 예정
29. 네오위즈 실적발표 예정
30. 파라다이스 실적발표 예정
31. 현대그린푸드 실적발표 예정
32. 현대리바트 실적발표 예정
33. KT&G 실적발표 예정
34. 하이딥, 스팩합병 상장 예정
35. 가온칩스 공모청약
36. 태림페이퍼 공모청약
37. 마스턴프리미어리츠1호 공모청약
38. 소니드 거래정지(주식병합)
39. 티웨이항공 추가상장(유상증자)
40. 제이스코홀딩스 추가상장(BW행사)
41. 포커스에이치엔에스 추가상장(CB전환)
42. 네오셈 추가상장(CB전환)
43. 우리넷 추가상장(CB전환)
44. 서울식품 추가상장(CB전환)
45. 대동 추가상장(CB전환)
46.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47. 유로존) 4월 장기금리통계(현지시간)
48. 영국) 1분기 국내총생산(GDP) 예비치(현지시간)
49. 영국) 3월 무역수지(현지시간)
50. 영국) 3월 산업생산(현지시간)
51.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요약본
52. 日) 3월 경상수지
53. 日) 4월 은행대출
54. 日) 4월 경기관측보고서
55. 日) 4월 기업도산
* 야구 일정
18시30분
한화 VS LG <잠실>
KT VS KIA <광주>
NC VS 롯데 <사직>
두산 VS 키움 <고척>
SSG VS 삼성 <대구>
- 코스피시장 -
5/11 KOSPI 2,592.27(-0.17%) 반발매수세 유입(+), Fed 긴축 및 경기 둔화 우려 지속(-), 美 4월 CPI 발표 경계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혼조 마감, 유럽 주요국 증시는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586.52(-10.04P, -0.39%)로 하락 출발. 장 초반 상승 전환해 2,599.11(+2.55P, +0.10%)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후 재차 하락 전환하며 2,579.09(-17.47P, -0.67%)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낙폭을 줄였고, 장중 내내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한 끝에 결국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감, 7거래일 연속 하락.
美 4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 코스피지수는 약보합 마감. 주요 연준 인사들의 긴축 기조 관련 발언과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위험 회피 심리,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이 코스피지수에 부담으로 작용. 다만, 중국의 물가 지표가 발표된 가운데, 중국증시가 상승세를 보인 점과 최근 하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 등은 지수의 낙폭을 제한.
지난밤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는 오는 6월과 7월 FOMC에서 50bp 금리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으며,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인터뷰를 통해 다음 두 번의회의에서 50bp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아주 타당하다" 고 언급.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경제가 감당할 수 있는 지금이 금리 인상을 할때라며 "경제가 강할 때 금리를 더 많이 인상하는것이 낫다"고 밝힘. 다만, 향후 금리 인상폭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음.
금일 발표된 중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1%로 시장 예상치와 전월의 수치를 모두 상회. 이는 지난해 11월 2.3%를 기록한이후 5개월래 최고치이나 중국 정부가 연초에 정한 관리 목표인 3% 이내에 머무르는 수준임.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은 8.0%로 시장예상치를 상회했으나 전월의 8.3%는 하회.
한편, 금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4만3,925명, 위중증 383명, 사망자 29 명을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홍콩이 상승했고, 대만은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891억, 902억 순매도, 개인은 3,453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843계약, 157계약 순매도, 기관은 4,082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1원 하락한 1,275.3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1.8bp 하락한 2.928%, 10년물은 전일 대비 13.4bp 하락한 3.269%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43틱 오른 105.57 마감. 은행이 5,726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2,963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37틱 오른 114.49 마감. 은행이 576계약 순매수, 보험은 213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LG전자(-2.24%), KB금융(-1.90%), 신한지주(-1.58%), 삼성SDI(-1.52%), SK(-1.01%), 삼성바이오로직스(-0.63%), POSCO홀딩스(-0.54%), LG에너지솔루션(-0.51%), SK이노베이션(-0.50%), 삼성물산(-0.45%) 등이 하락. 반면, LG화학(+3.79%), 기아(+2.38%), 카카오(+2.15%), 현대차(+1.39%), NAVER(+1.09%), SK하이닉스(+0.45%)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이 다소 우세. 보험(-2.54%), 증권(-2.25%), 금융(-1.64%), 기계(-1.61%), 비금속광물(-1.54%), 전기가스(-1.47%), 건설(-1.31%), 철강/금속(-1.12%), 통신(-0.63%), 은행(-0.46%) 등이 하락. 반면, 운수창고(+2.59%), 종이/목재(+1.94%), 의료정밀(+1.41%), 서비스(+0.87%), 화학(+0.69%), 섬유/의복(+0.68%), 유통(+0.26%)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592.27P(-4.29P/-0.17%)
- 코스닥시장 -
5/11 KOSDAQ 866.34(+1.19%) 기관 순매수(+), 美 나스닥 상승(+), 美 4월 CPI 경계감
지난밤 뉴욕증시가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등으로 혼조 마감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853.73(-2.41P, -0.28%)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852.23(-3.91P, -0.46%)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후 상승 전환했으나 상승폭을 줄였고, 오전중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였음. 이후 재차 상승했고, 오후 들어 상승폭이 다소 둔화되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확대해 장 막판 866.81(+10.67P, +1.25%)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한 끝에 866.34(+10.20P, +1.19%)에서 거래를 마감.
美 4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둔 경계감 속 지난밤 나스닥지수의 1% 가까운 상승 영향 및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매수세 유입 등에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상승. 기관이 5거래일만에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셀트리온헬스케어(+3.40%), HLB(+7.27%), 셀트리온제약(+2.42%) 등 제약/바이오, 엘앤에프(+3.26%), 에코프로(+1.18%) 등 2차전지/전기차, 동진쎄미켐(+4.82%), 리노공업(+4.88%), 원익IPS(+4.82%)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이 922억 순매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02억, 240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HLB(+7.27%), 씨젠(+4.89%), 리노공업(+4.88%), 동진쎄미켐(+4.82%), 원익IPS(+4.82%), 솔브레인(+3.65%), 셀트리온헬스케어(+3.40%), 엘앤에프(+3.26%), 알테오젠(+2.57%), 셀트리온제약(+2.42%), 카카오게임즈(+1.76%), 에코프로(+1.18%) 등이 상승. 반면, 천보(-1.56%), JYP Ent.(-0.35%), 에코프로비엠(-0.10%) 등은 하락. 펄어비스, 위메이드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운송(+6.92%), 종이/목재(+4.20%), 운송장비/부품(+2.45%), 제약(+2.34%), 반도체(+2.17%), 기타서비스(+1.95%), 유통(+1.65%), IT H/W(+1.60%), 비금속(+1.42%), 섬유/의류(+1.40%) 등이 상승. 반면, 건설(-0.81%), 출판/매체복제(-0.56%), 인터넷(-0.48%), 금속(-0.42%)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866.34P(+10.20P/+1.19%)
테마시황
▷아모레퍼시픽상하이 공장 재가동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엔데믹 기대감에 따른 소비심리 증가 속 호실적 지속 전망 등에 백화점 테마 상승.
▷민간 수소기업 협의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펀드 조성 예정 소식에 일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BDI(건화물선 운임지수) 올해 최고치 기록에 해운/종합 물류 테마 상승.
▷영풍제지 매각 흥행 기대감 등에 제지/골판지 제조 테마 상승.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전쟁 확대 가능성 부각에 일부 사료/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도시가스 요금 인상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도시가스 테마 상승.
▷이 외 코로나19(렘데시비르), 면역항암제, 마리화나(대마),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슈퍼박테리아,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LED장비, 줄기세포, 터치패널, 보톡스(보툴리눔톡신), 3D 낸드, DMZ 평화공원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RBC비율 악화 우려 등에 손해/생명보험 테마 하락. 아울러 10년물 美 국채 수익률 3% 하회 속 은행 등 금융 관련 테마도 하락.
▷비트코인 3만 달러 붕괴 영향에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 관련주 하락.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전쟁 확대 가능성 속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 약화에 건설기계 테마 하락.
▷최근 정책 수혜 기대감에 강세를 보였던 원자력발전,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등이 차익 실현 매물 등에 하락.
▷이 외 자전거/전기자전거, 전선, 항공기부품, 야놀자 관련주, 건설, 조선/조선기자재, 전력설비, 종합상사, 철강/강관업체, 우주항공산업, 증권, 정유,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IT 대표주, 일자리( 취업)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화장품아모레퍼시픽 상하이 공장 재가동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코로나19 봉쇄로 인해 중단되었던 아모레퍼시픽의 상하이 공장이 최근 재가동에 나선 것으로 전해짐. 지난 3월 말 중국 당국의 코로나19 확산 방지 정책으로 상하이를 봉쇄하면서 아모레퍼시픽 공장이 중단된 바 있음. 상하이 공장은 이니스프리·마몽드·에뛰드 등의 제품을 연간 1억개 생산해 중국 소비 물량의 40%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이날CJ올리브영은 언론을 통해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4월18일부터 5월10일까지 매출을 분석한 결과 색조화장품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56% 증가했다고 밝힘. 사적 모임 인원 제한 해제 등으로 유동인구가 증가하면서 같은 기간 오프라인 매장 매출도 28% 증가한 것으로 알려짐. 올리브영관계자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엔데믹 특수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힘.
▷이러한 소식에 씨티케이, 바이온, 엘앤씨바이오, 토니모리, 코리아나 등 화장품 테마가 상승.
백화점엔데믹 기대감에 따른 소비심리 증가 속 호실적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업계에 따르면,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 기대감에 따른 소비심리 폭발 영향에 백화점 업계가 올해 1 분기 기대 이상의 성적표를 받아 들고 있다고 전해짐. 지난달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마진율이 높은 패션 수요 급증세가 이어져 2분기 역시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업계 관계자는 "본격적으로 해외 여행 회복 이후에도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업황에 대한 우려도 해소될 것"이라며 "오히려 해외 여행 관련 상품 소비가 백화점에서 일어날 수 있다"고 밝힘.
▷신세계, 연결기준 매출액 1.76조원(전년동기대비 +33.83%), 영업이익 1,636.44억원(전년동기대비 +32.41%), 순이익 1,509.27억원(전년동기대비 +69.15%). 또한, 2022년4월 매출액 1,537.84억원(전년동월대비 +15.26%) 공시. 현대백화점, 전일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343.86억원(전년동기대비 +36.76%), 영업이익 888.72억원(전년동기대비 +36.73%), 순이익 754.26억원(전년동기대비 +35.05%). 롯데쇼핑도 지난 9일 장 마감 후 호실적을 발표.
▷한편, NH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패션카테고리 중심의 백화점 실적 개선은 2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같은 소식 속 롯데쇼핑, 신세계, 현대백화점 등 백화점 테마가 상승.
해운BDI(건화물선 운임지수) 올해 최고치 기록에 상승
▷전일(현지시간) 기준 BDI(건화물선 운임지수)는 지난 9일(현지시간) 대비 3.81% 상승한 2,939p를 기록.이는 올해 최고치로 지난 1월 1,296포인트로 저점을 찍은 뒤 3개월 만에 2배 이상 상승한 수치임. 일각에서는 최근 브라질의 철광석 수출 규모가 확대되고 유럽이 러시아에서 수입하던 석탄을 다른 국가로부터 해상 운송을 통해 공급받는 모습을 보이며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분석.
▷팬오션, 이날 1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44조원(전년동기대비 +111.91%), 영업이익 1,691.06억원(전년동기대비 +245.83%),순이익 1,628.71억원(전년동기대비 +198.18%).
▷이 같은 소식 속 대한해운, 흥아해운, 팬오션, HMM 등 해운 테마가 상승.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민간 수소기업 협의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펀드 조성 예정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SK, 한화 등이 설립한 민간 수소기업 협의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은 오는 7월 초중순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인베스터 데이' 행사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짐.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17개 회원사는 글로벌 수소 펀드 약정식을 하고 출자자(LP)를 모집할 계획으로 전해짐.
▷인베스터 데이에는 14개 글로벌 자산운용사와 벤처캐피털(VC) 등이 참석해 계획하고 있는 투자 규모와 원칙에 관해 설명할 예정이며, 수소 및 탄소중립과 관련한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는 투자기관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블랙스톤, 빌 게이츠가 설립한 브레이크스루에너지벤처스 등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세계 주요 에너지 기업 12곳도 참가할 것으로 알려짐.
▷한편, 업계에서는 국내 수소 기업들의 신사업 진출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이는 수소 경제의 근간이 되는 수소법 개정안(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소위를 통과하는 등 걸림돌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 등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와 관련,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5월4일 국내 수소법개정안이 국회의 법안소위를 통과했다며, 정권 교체와 맞물린 금번 법안소위 통과 소식이 수소 기업들에 대한 투자 심리를 반전시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 아울러 향후 차기 정부의 탈원전 폐기 방침에 따라 원전 연계 수소생산 기술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두산퓨얼셀, 국일제지, 에스퓨얼셀, 동양피스톤등 일부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가 상승.
제지/골판지 제조
영풍제지 매각 흥행 기대감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큐캐피탈파트너스가 삼일PwC를 주관사로 영풍제지 매각을 추진하는 가운데, 영국계 인프라 투자 기업인 IPM코리아도 실사에 참여하며 인수 의사를 피력했다고 전해짐. 다만, IPM 등은 제지 사업의 경험이 거의 없어 실사 이후에도인수 컨소시엄 결성을 위해 제지 업체 등과 전략적 제휴 등을 논의해온 것으로 파악됐다고 알려짐. 공장 및 부지 방문 일정 등을 고려해 인수 후보들에 충분한 실사 기간을 부여할 예정이며, 이달 말에는 본 입찰을 진행해 매각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
▷한편, 최근연간 7,000만톤 이상의 제지를 생산하는 세계 2위 종이산업대국인 미국에서 종이 대란이 발생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주 ERA Forest Products Research에 따르면, 지난해 북미 제지 생산능력은 약 250만톤 감소했으며, 2019년과 비교하면 20% 급감한 수준. 시장 진입 문턱이 큰 제지산업 특성 및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택배물량 증가 등으로 골판지 수요 증가 등이 제지 수급 차질에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영풍제지, 신풍제지, 무림페이퍼, 한창제지, 대림제지 등 제지/골판지 제조 테마가 상승. 영풍제지 매각 관련 영풍제지 최대주주인 그로쓰제일호투자목적주식회사(PEF)를 운영하고 있는 큐캐피탈도 시장에서 부각.
손해보험/생명보험
RBC비율 악화 우려 등에 하락
▷주요 보험사들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이번 주 잇따라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금리 상승으로 보험사들의 RBC(지급여력)비율이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일부 언론에 따르면, 한화생명, KB손해보험, 신한라이프, 푸르덴셜생명 등이 RCB비율이 금융당국 권고수준을 넘겼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 나빠졌으며, RBC비율이 200%를 살짝 상회했던 현대해상(203.5%), DB손해보험(203.1%), 메리츠화재(207.5%), 미래에셋생명(204.9%) 등의 RBC비율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특히, 지난해 말 기준 150%를 소폭 상회했던 일부 중소형사들의 RBC 비율이 금융당국 기준인 150%에 미치지 못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 금리가 올라 매도가능증권 평가익이 줄다보니 대다수 보험사 RBC비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메리츠화재, 현대해상, 한화생명, 동양생명 등 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가 하락. 한편, 메리츠화재는 이번 코스피200 정기변경에서 새롭게 편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공매도 우려가 커진 점도 주가 하락에영향을 미침.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비트코인 3만 달러 붕괴 영향에 일부 관련주 하락
▷전일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7월 이후 처음으로 3만 달러선이 붕괴됐으며, 지난해 11월 기록했던 최고점 대비 약 50% 이상 폭락한 수준임.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금일 15시 기준 3만1,450달러 부근에서 거래중이며, 업비트에서는4,220만원 부근에서 거래중.
▷이 같은 소식 속 비덴트, 에이티넘인베스트 등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CJ대한통운(000120)
127,000원(+4.53%)
네이버와 물류 협업 강화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네이버와의 협업 속도를 높여 풀필먼트 서비스를 한층 더 강화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양사는 네이버쇼핑 판매자 중심의 풀필먼트(물류대행) 센터를 더욱 빠르게 확대할 예정이며, 지난해에는 곤지암·용인·군포, 올해 상반기 용인 남사·여주에 이어 6월 중 이천에도 1개 센터를 추가 오픈할 것으로 알려짐. 하반기에도 3개 이상의 풀필먼트 센터 오픈도 계획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은 757억원, 당기순이익은 315억원으로 컨센서스를 부합했으며, 2~4분기 M/S 회복이 기대된다고 밝힘.
롯데쇼핑(023530)
96,800원(+4.09%)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전사 영업이익은 4,408억원으로 전년대비 112.3%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는 연간 롯데온 영업적자(-404억원 YoY) 확대를 추정치에 반영한 수치로, 롯데온의 영업적자 확대를 가정해도 실적이 좋을 것으로 분석.
▷아울러 1분기에는 2년간 지속된 백화점과 할인점의 점포 구조조정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힘.
대양금속(009190)
4,540원(+3.89%)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689.51억원(전년동기대비 +74.24%), 영업이익 101.88억원(전년동기대비 +669.82%), 순이익 94.58억원(전년동기대비 +408.68%).
현대백화점(069960)
77,500원(+3.20%)
1분기 호실적 및 백화점 실적 개선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전일 1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343.86억원(전년동기대비 +36.76%), 영업이익 888.72억원(전년동기대비 +36.73%), 순이익 754.26억원(전년동기대비 +35.05%).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면세점 부문의 아쉬움을 상쇄할 만큼 백화점 실적이 크게 개선되며, 1분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밝힘. 패션카테고리 중심의 백화점 실적 개선은 2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
▷또한, 면세점 사업에 이어 소비재 기업인 지누스 경영권을 인수해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으로 신규 사업들의 손익 안정화 및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가 나오고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과거 본업인 백화점에만 집중하는다소 보수적인 모습을 보였던 점을 감안하면 긍정적인 변화로 판단된다고 분석.
SK가스(018670)
122,000원(+2.52%)
한국석유공사, UAE 에드녹과 수소/암모니아 복합터미널 건설 타당성 조사 착수 소식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한국석유공사, UAE 1위 정유회사 에드녹(ADNOC)과 함께 수소/암모니아 복합터미널 건설을 추진하고 타당성 조사를위한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 1월 동사는 한국석유공사, 에드녹과 저탄소 수소/암모니아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타당성 조사는 협약 이후 본격적으로 복합터미널 건설을 위한 첫 단계인 것으로 알려짐. 해당 타당성 조사는 14주 가량 소요될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올해 말까지 공동 연구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동사는 이날 언론을 통해 전일 비와이엔블랙야크, 산수음료와 에코(Eco) LPG와 함께하는 자원순환 프로젝트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힘. 동사는 이달 15일부터 연말까지 전국 201개 LPG 충전소에서 에코 포인트Re: 프로모션을 진행할 예정이며, 산수음료는 저탄소 인증 제품인 아임에코 생수 공급과 폐 PET 회수를 담당하고 블랙야크는회수한 PET를 활용해 친환경 패션 의류를 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짐.
NHN(181710)
30,450원(-2.40%)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및 올해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영업이익이 155억원(전년동기대비 -38.2%)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 인건비 인상과 마케팅 비용 증가 때문이라고 밝힘.하반기 다수의 모바일 게임 출시가 예상되어 있지만, 최근 국내 IT업계의 인건비 인상과 웹보드 사업 확장 및 페이코 사업의 오프라인 확대등으로 인한 마케팅 비용 인상이 올해 연간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이에 올해 이후 실적 추정치를 하향 조정해 목표주가도 하향 조정했다고 밝힘.
한전기술(052690)
76,200원(-5.34%)
1분기 적자전환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29.36억원(전년동기대비 +15.38%), 영업손실 44.7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16.6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씨에스윈드(112610)
48,450원(-6.65%)
1분기 실적 부진에 약세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098.07억원(전년동기대비 +27.94%), 영업이익 84.55억원(전년동기대비 -73.20%), 순손실 46.65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는 "지난해인수한 미국, 포르투갈 법인의 실적이 반영되며 매출액은 지난해보다 늘었으나, 신규 법인 인수 시점 이전 수주액이 무형자산이 되면서 상각비용이 추가로 발생해 영업이익률이 떨어졌다"고 밝힘.
태웅로직스(124560)
12,500원(+29.53%)
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상한가
▷보통주 1주당 1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2-05-26, 상장예정:2022-06-20) 공시.
박셀바이오(323990)
51,500원(+19.21%)
'Vax-NK/HCC' 간암 대상 1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채택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Vax-NK/HCC' 임상1상 결과 논문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이뮤놀로지'에 채택됐다고 밝힘. 이 논문은 동사가 진행성 간암을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1상 연구 결과이며, 총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고, 자가 자연살해(NK) 세포와 간동맥주입화학요법(HAIC)과의 병합 치료로 수행됐음. 임상 결과 심각한 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4명의 완전반응(CR)을 포함해 9명에서 안정병변(SD) 이상의 판정을 받아 81.8%의 질병 조절률(DCR)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짐.
티엘비(356860)
45,500원(+13.18%)
1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18.24억원(전년동기대비 +22.18%), 영업이익 90.60억원(전년동기대비 +413.71%), 순이익 77.35억원(전년동기대비 +282.65%).
아바코(083930)
12,100원(+11.52%)
이차전지 롤프레스 등 2차전지 장비 분야 진출 소식에 급등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롤프레스'를 비롯한 이차전지(배터리) 장비 분야에 진출할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는 최근 이차전지 롤프레스 장비를 개발한 뒤 국내 유수 이차전지 대기업과 양산 검증을 진행 중이라고 밝힘. 이어 다음 달까지 롤프레스 장비 양산 검증을 마친 뒤 올 하반기 중 납품을 위한 공식 계약을 체결한다는목표라고 설명.
▷또한, 올 하반기 중 반도체 계측장비도 출시하는 등 장비 분야에서 사업 영역을 공격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으로 전해짐.
▷한편, 동사는 지난해 4월 얼티엄셀즈(LG에너지솔루션·GM 합작사)가 미국 오하이오주에 건설 중인 이차전지 공장에 371억원 규모로 물류장비(스토커)를 공급하기로 계약하면서 이차전지 장비 수주에 물꼬를 트기 시작했으며, 지난해 12월에도 얼티엄셀즈에 물류장비를 추가로 282억원 규모로 납품하기로 계약한 바 있음.
마이크로디지탈(305090)
14,750원(+10.07%)
1분기 사상 첫 영업이익 흑자 달성 및 올해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급등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38억원(+178%, YoY), 영업이익은 1.5억원(흑자전환 YoY)으로 상장 이후 첫 영업이익 흑자 달성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2019년6월 기술특례 기업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동사는 상장 이후 지금까지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전일 공시한 1Q22 실적을 통해 이제는 기술특례 기업이 아닌 이익 창출 기업으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올해 연간 매출액은 160억원(+272%, YoY), 영업이익은 20억원(흑자전환 YoY, OPM +12.5%)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올해 실적 성장 주요 포인트는 상반기 CELBIC(일회용 세포배양장비), 하반기 MDGen 공급이 주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하반기 CELBIC의 추가 공급 계약이 확인 될 경우 국내 바이오 소부장 대표기업으로 멀티플 프리미엄 부여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제이시스메디칼(287410)
8,370원(+6.08%)
1분기 실적 호조에 강세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53.34억원(전년동기대비 +46.79%), 영업이익 85.48억원(전년동기대비 +73.31%), 순이익 65.12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에이비엘바이오(298380)
21,750원(+5.84%)
신약 개발 순항 소식에 상승
▷동사는 홈페이지를 통해 "사노피측에서 기술이전에 대해 소송을 준비한다는 증권시장 루머는 사실 무근"이라고 밝힘. 이어 현재 ABL301은 사노피와 함께 조인트 협의회를 설립해 성공적인 임상1상 진행을 위한 논의를 차질없이 계획대로 진행중이라고 설명.
▷한편, 전일 동사는 사노피 등 악성 루머 등에 전일 12.74% 급락한 바 있음.
압타바이오(293780)
17,550원(+5.72%)
바이오코리아 참가 예정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바이오코리아 2022(BIO KOREA 2022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가한다고 밝힘. 바이오코리아 2022는 바이오헬스 관련 기업들과 학계 및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국내 최대 규모 바이오 컨퍼런스로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릴 예정이며, 동사는 행사 셋째 날 인베스트 페어의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트렌드 앤 라이센스 아웃 전략(Microbiome Global Trend and Licence Out Strategy)' 세션에서 플랫폼과 사업 전략에대해 발표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이수진 대표는 "이번 컨퍼런스 참여는 국내외 바이오 기업에 동사를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현재 임상 2상 중인 치료제의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술 이전 또는 기술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힘.
에스씨엠생명과학(298060)
11,500원(+5.50%)
바이오코리아 참가 및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소개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11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되는 바이오 코리아 2022에 참가해 층분리배양법 및 현재 임상시험 중인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을 소개한다고 밝힘. 동사는 이번행사의 비즈니스 포럼 가운데 바이오라이브를 통해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중간엽줄기세포의 기초연구 및 치료적용’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며, 제약사들과의 미팅을 통해 후속 임상, 라이선싱, 인허가 및 사업화,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등에 대한 전략적 제휴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한다는 계획임.
에스티큐브(052020)
6,000원(+4.90%)
바이오 USA서 기술이전 파트너링 미팅 진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오는 6월13~16일(현지시간)까지개최되는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콘퍼런스 ‘2022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에서 다국적 제약사들과 기술이전 등을 위한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한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BIO USA에서 30여개 다국적 제약사로부터 ‘파트너링 미팅’을 제안받았고 그 중 10여개 기업과 ‘1대1 미팅’이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면역항암제 혁신신약 ‘hSTC810’과 전임상을 진행 중인 ‘PD-1/PD-L1’ 파이프라인을 홍보하고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파트너십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도출에 대해 협의할예정”이라고 밝힘.
동진쎄미켐(005290)
42,400원(+4.82%)
1분기 호실적에 상승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480.94억원(전년동기대비 +38.32%), 영업이익 471.32억원(전년동기대비 +64.77%), 순이익 378.60억원(전년동기대비 +55.29%).
토비스(051360)
9,310원(+4.72%)
347.80억원 규모 공장신설 투자 결정에 상승
▷347.80억원(자기자본대비 17.5%) 규모 신규시설(공장신설) 투자결정 공시. 투자목적은 국내 전장용 디스플레이 모듈 생산을 위한 신규 공장 건립으로 투자기간은 2022년05월11일에서 2023년12월31일까지임.
휴젤(145020)
120,000원(+4.35%)
1분기 사상 최대 매출 기록에 상승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48.99억원(전년동기대비 +1.68%), 영업이익 249.87억원(전년동기대비 -15.17%), 순이익 157.56억원(전년동기대비 -18.92%). 다만, 전분기대비로 매출은 6.37%, 영업이익은 26.46%, 당기순이익은 256.87% 증가한 수치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역대 1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힘.
메드팩토(235980)
28,400원(+4.22%)
김성진 대표, 바이오코리아서 '백토서팁' 치료효과 소개 예정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금일부터 13일까지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바이오코리아 2022 인터내셔널 컨벤션’에서 김성진 대표가 항암 신약 ‘백토서팁’의 효과를 소개한다고 밝힘. 기존에 공개됐던 백토서팁 전임상에서의 항암 효과 및 면역항암제와 병용 시 면역 회복 및 치료 효과를 설명한다고 언급.
▷한편, 백토서팁은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저해하는 주요 기전으로 알려진 형질전환증식인자 TGF-β의 기능을 저해하는 TGF-β 신호 억제제로, 암 주변 미세 환경을 조절해서 다양한 암 치료제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돕고 암의 증식과 전이를 저해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
제놀루션(225220)
13,000원(+4.00%)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46.29억원(전년동기대비 +18.18%), 영업이익 152.92억원(전년동기대비 +15.74%), 순이익 122.63억원(전년동기대비 +6.75%).
대봉엘에스(078140)
9,370원(+3.77%)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226.58억원(전년동기대비 +21.65%), 영업이익 29.48억원(전년동기대비 +39.66%), 순이익 28.19억원(전년동기대비 +20.49%).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불확실한 외부 환경 속에서도 분기 사상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며 "특히 화장품소재와 원료의약품 사업 부문이 골고루성장한 것이 큰 성과이며 매출액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증가했다"라고 밝힘.
현대바이오(048410)
30,250원(+3.77%)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CP-COV03 임상 2상 절차 개시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로나19를 비롯해 범용치료제로 개발한 먹는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인 CP-COV03의 코로나19 환자모집 공고 등 임상2상 절차를 개시했다고 밝힘. CP-COV03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면 세포가 그 바이러스를 이물질로 인식하고 스스로 제거하는 자가포식 작용을 촉진해 세포가 모든 바이러스를 제거하도록 하는 약리작용을 지닌 범용 항바이러스제로 알려짐.
▷임상을 통해 코로나19에 유효성이 확인될 경우 코로나19와 그 변이뿐만 아니라독감, 간염, 에이즈, 에볼라, 헤르페스 등 모든 바이러스에 적용 가능한 범용적 항바이러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파멥신(208340)
5,100원(+3.66%)
제프리스 헬스케어 컨퍼런스 초청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내달 8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되는 '제프리스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초청을 받아 참석한다고 밝힘. '제프리스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글로벌 투자은행인 제프리스가 글로벌 제약, 생명공학, 의료기기 기업들을 초청해 기업설명회를 개최하는 행사로, 3,000명 이상의 주요 경영진과 다양한 투자 전문가들이 장단기 투자 기회와미국 및 국제적 헬스케어 분야의 현재 동향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동사는 연이어 진행되는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 2022'에도 참석해 올린베시맙, PMC-309, 403 등 회사의 신약 후보물질을 홍보하고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논의를 추진할 예정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유진산 대표이사는 "제프리스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매년 500개 이상의 제약바이오 기업이 참여하지만 한국기업의 참여는 매우 드물다"며 "이번 행사참여는 동사에게 새로운 투자자 발굴 및 해외 네트워크 확장의 의미가 있다"고 밝힘.
더네이쳐홀딩스(298540)
33,250원(+3.42%)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분기보고서를 통해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922.58억원(전년동기대비 +41.56%), 영업이익 148.82억원(전년동기대비 +56.20%), 순이익 134.10억원(전년동기대비 +79.50%).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통해 성인 및 키즈 백팩을 비롯한 신학기 용품 판매가 전년동기대비 125% 증가하며 영업이익에 기여했으며, 의류 매출도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등 주요 브랜드의 호실적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23.5% 증가했다고 밝힘.
액토즈소프트(052790)
10,950원(+3.30%)
파이널판타지14 신규 확장팩 V6.0 효월의 종언 출시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PC온라인게임 '파이널판타지14'에서 대규모 신규 확장팩 V6.0 '효월의 종언'을 출시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메인 시나리오와 함께 신규 직업 2종, 신규 도시, 필드, 신규 인스턴스 던전, 토벌전 등 새 콘텐츠가 추가됐음.
▷한편, '파이널판타지14'의 신규 확장팩 '효월의 종언'은 세계 최대 콘텐츠 리뷰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평점 92점을 달성하며 'MUST-PLAY' 타이틀을 2회 연속으로 획득해 게임성을 입증한 바 있음.
네오이뮨텍(950220)
6,290원(+3.28%)
키트루다 병용 재발 교모세포종 임상 2상 美 FDA 승인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뇌암의 일종인 재발교모세포종(GBM)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와 동사의 T세포 증폭제 'NT-I7'의 병용 임상 2상(NIT-120)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이번 임상은 뇌암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메이요 클리닉의 지안 캠피안교수가 주도하는연구자 임상(IIT)으로, 머크(Merck)는 무상으로 키트루다를 공급하고, 동사는 NT-I7을 공급해 진행하는 임상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의 양세환 대표이사는 "교모세포종은 1년 이상 생존율이 25%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좋지 못한 대표적인 난치암"이라며 "고무적인 결과를확인했던 신규 교모세포종에 이어 이번 재발 교모세포종에서는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 임상을 통해 교모세포종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힘.
삼강엠앤티(100090)
20,600원(+3.26%)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709.84억원(전년동기대비 +59.34%), 영업이익 170.67억원(전년동기대비 +48.00%), 순이익 105.15억원(전년동기대비 +1.18%).
케이티알파(036030)
6,370원(+3.24%)
1분기 실적 호조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1분기 실적 발표,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319.65억원(전년동기대비 +40.74%), 영업이익 62.36억원(전년동기대비 +656.79%), 순이익 68.15억원(전년동기대비 +4,911.02%).
국일제지(078130)
2,915원(+3.00%)
자회사 국일그래핀, 그래핀 펠리클 부품 개발 추진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국일그래핀이 국내외 업체와 협업을 통해 현재 그래핀 기반 펠리클(Pellicle) 부품 개발에 나선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EUV펠리클 소재 요구 특성이 매우 까다로워 국내외에서 실리콘 소재, 은나노,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 여러 신소재와 복합물질을 펠리클 소재로 응용하고자 연구개발 되고 있다”며, “그 중 그래핀은 높은 투광성과 강도 등으로 EUV펠리클에 유용한 재료다”라고 설명.
에코마케팅(230360)
16,800원(-5.88%)
1분기 실적 부진에 하락
▷22년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35.13억원(전년동기대비 +42.39%), 영업이익 70.60억원(전년동기대비 -9.47%), 순이익 63.82억원(전년동기대비 -19.05%).
▷22년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03.87억원(전년동기대비 -2.11%), 영업이익 39.58억원(전년동기대비 -16.39%), 순이익 40.58억원(전년동기대비 -17.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