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테마 스케쥴

2022.03.24(목), 신규상장(세아메카닉스), 아래스 상호변경(에스에이치엔엘),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출시 예정

by goodpoint77777 2022. 3. 24.
728x90
반응형

목요일-이슈-테마

 

3월 24일 목요일


1. 세아메카닉스 신규상장 예정

시장구분   코스닥 종목코드   396300
업종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대표자   김찬한 기업구분   중소일반
총공모주식수   6,650,000 주 액면가   100 원
상장공모   신주모집 : 4,450,000 주 (66.92%)  /   구주매출 : 2,200,000 주 (33.08%)
희망공모가액   3,500 ~ 4,000 원 청약경쟁률   2475.87:1 (비례 4952:1)
확정공모가   4,400 원 공모금액   29,260 (백만원)
주간사   신한금융투자 주식수: 1,662,500~1,995,000 주   /   청약한도: 55,000~65,000 주
수요예측일   2022.03.10  ~   2022.03.11
공모청약일   2022.03.15  ~   2022.03.16
배정공고일(신문)   2022.03.18 (주간사 홈페이지 참조)
납입일   2022.03.18
환불일   2022.03.18
상장일   2022.03.24

 

- 당사는 알류미늄 다이캐스팅(알류미늄 합금 주물 가운데 금속제의 주형을 사용하여 용융 금속을 고압 사출 주조한 것) 전문회사, OLED Display device 등 TV 거치 장치 및  전기차, 수소차, ESS 등의 제조에 필요한 친환경 부품과 그 외 자동차 내연기관 부품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

- 당사는 LG전자 1차협력사로서 전자부품을 생산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찾아내어 선진적이고 성공적으로 미래자동차시장에 진출하여 현재도 새로운 기술 확보에 전념, 기존 고객의 신규 아이템에 대한 지속적인 수주 노력과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한 발로 뛰는 영업 마케팅을 적극 추진

- 당사는 LG전자, 현대캐피코, 보쉬, DTR, LG에너지솔루션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지속 공급



2. 바이든 美 대통령, 나토(NATO) 특별 정상회의 참석 예정(현지시간)


3.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4.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EU 정상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7.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출시 예정



8. 아래스 상호변경(에스에이치엔엘)

  • 동사는 전산기기 판매 및 시스템통합 사업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5년 8월 9일에 설립되었으며, 2002년 1월 15일자로 코스닥 시장에 주권이 상장되었음.
  • 2020년 06월 22일 지속가능한 미래부가가치 사업인 반도체 시설 공급 회사와 합병함으로써회사의 중점사업 전환함.
  • 삼성전자와 연계되는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과, SK하이닉스, LG화학, 동진하이텍과의 협력업체로서의 안정적인 거래를 진행 중에 있음.


9. 파세코 추가상장(무상증자)

 



10. 폴라리스웍스 추가상장(CB전환)


11. 도이치모터스 추가상장(CB전환)


12. 머큐리 추가상장(CB전환)



13. 하이소닉 보호예수 해제


14. 제노코 보호예수 해제


15. 자이언트스텝 보호예수 해제


16. 브이씨 보호예수 해제


17. SNK 보호예수 해제


18. 글로벌텍스프리 보호예수 해제



19. 美) 2월 내구재주문(현지시간)


20. 美) 3월 제조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21. 美) 3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22. 美) 3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3. 美) 3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4. 美) 4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25.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6. 유로존) 3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7.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경제보고서(현지시간)


28. 독일) 3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9. 영국) 3월 CIPS / 마킷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30.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의사록


31. 日) 가타오카 고시 일본은행(BOJ) 위원 연설


32. 日) 3월 제조업 PMI 예비치


33. 축구) 대한민국 vs 이란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3월 24일 목요일


1. 세아메카닉스 신규상장 예정
2. 바이든 美 대통령, 나토(NATO) 특별 정상회의 참석 예정(현지시간)
3.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4.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EU 정상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7.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출시 예정
8. 아래스 상호변경(에스에이치엔엘)
9. 파세코 추가상장(무상증자)
10. 폴라리스웍스 추가상장(CB전환)
11. 도이치모터스 추가상장(CB전환)
12. 머큐리 추가상장(CB전환)
13. 하이소닉 보호예수 해제
14. 제노코 보호예수 해제
15. 자이언트스텝 보호예수 해제
16. 브이씨 보호예수 해제
17. SNK 보호예수 해제
18. 글로벌텍스프리 보호예수 해제
19. 美) 2월 내구재주문(현지시간)
20. 美) 3월 제조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21. 美) 3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22. 美) 3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3. 美) 3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4. 美) 4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25.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6. 유로존) 3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7.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경제보고서(현지시간)
28. 독일) 3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29. 영국) 3월 CIPS / 마킷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30.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의사록
31. 日) 가타오카 고시 일본은행(BOJ) 위원 연설
32. 日) 3월 제조업 PMI 예비치
33. 축구) 대한민국 vs 이란



- 코스피시장 -

3/23 KOSPI 2,735.05(+0.92%) 美 증시 상승(+),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공격적 긴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저가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727.12(+17.12P, +0.63%)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742.27(+32.27P, +1.1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줄여나갔음. 오후 들어 2,720.83(+10.83P, +0.4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장 후반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재차 확대했고, 결국 2,735.05(+25.05P, +0.92%)에서 거래를 마감.

美 증시 상승 및 기관과 외국인 순매수 등으로 코스피지수는 이틀째 상승. 주요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지속되면서 美 국채수익률이 급등했으나 美 주요기술주들이 상승하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됐음. 금융투자를 중심으로한 기관의 순매수가 코스피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연기금 등도 순매수. 외국인도 이틀째 순매수를 기록.

현지시간으로 21일 파월 의장이 매파적인 발언을 내놓은데 이어 현지시간으로 22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빠른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며, 올해 금리를 3%까지 올릴 경우 이는 "약간 제약적인 수준(mildly restrictive)일 것"이라고 발언. 아울러, "이는 인플레이션을 전환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힘. 비둘기파로 평가되는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완화정책을 거둬들일 시기"라고 발언. 이에 美 10년물 국채금리가 장중 2.39%선을 넘어서기도 하는 등 2019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유럽 최대의 철강 공장 피격 및 러시아 최대 철강기업 부도 위기 등에 포스코강판(+17.28%), 현대제철(+6.72%), POSCO홀딩스(+4.61%) 등 철강주들이 큰 폭으로 상승. LG에너지솔루션(+2.39%), 삼성SDI(+2.16%) 등 2차전지 테마도 상승. 美 국채수익률 급등 속 KB금융(+4.27%), 신한지주(+2.58%), 메리츠화재(+5.14%), DB손해보험(+3.70%) 등 은행/보험 테마도 상승.

금일 0시 기준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49만881명으로 역대 두번째 규모를 기록. 위중증 1,084명, 사망자 291명을 기록. 방역 당국은 거리두기 완화 조치 및 스텔스 오미크론 확산 등으로 확진자가 감소세로 전환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동반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2,360억, 598억 순매수, 개인은 3,01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도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050계약, 406계약 순매수, 개인은 1,043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4.3원 하락한 1,213.8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7bp 상승한 2.426%, 10년물은 전일 대비 0.4bp 하락한 2.828%를 기록.

3년국채선물은 전일대비 3틱 내린 106.97 마감. 금융투자가 4,597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4,078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15틱 오른 118.61 마감. 금융투자와 은행이 각각 1,634계약, 1,420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4,543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상승. POSCO홀딩스(+4.61%), KB금융(+4.27%), LG화학(+3.25%), 카카오뱅크(+2.75%), 신한지주(+2.58%), LG에너지솔루션(+2.39%), 삼성SDI(+2.16%), NAVER(+1.77%), 현대차(+1.44%), 현대모비스(+1.43%) 등이 상승. 반면, SK이노베이션(-0.94%), LG전자(-0.81%), 삼성바이오로직스(-0.12%) 등은 하락. SK하이닉스, 삼성물산, 카카오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철강/금속(+4.23%), 은행(+2.07%), 보험(+2.03%),비금속광물(+1.78%), 금융(+1.61%), 통신(+1.47%), 건설(+1.16%), 화학(+1.03%), 운수장비(+0.93%), 서비스(+0.92%) 등이 상승. 반면, 운수창고(-0.31%), 섬유/의복(-0.16%)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735.05P(+25.05P/+0.92%)

반응형

 


- 코스닥시장 -

3/23 KOSDAQ 930.57(+0.64%) 美 증시 상승(+),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공격적 긴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저가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29.35(+4.68P, +0.51%)로 상승 출발. 장 초반 933.27(+8.60P, +0.93%)에서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줄여나갔음. 오후 들어 927.02(+2.35P, +0.2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재차 상승한 끝에 결국 930.57(+5.90P, +0.64%)에서 거래를 마감.

주요 연준 인사들의 잇따른 매파적 발언 및 美 국채수익률 급등에도 불구하고, 나스닥지수가 2% 가까이 급등한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면서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상승. 외국인은 이틀째순매수, 기관은 6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

지난밤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및 니켈가격 안정 등으로 에코프로비엠(+7.95%), 엘앤에프(+2.47%), 에코프로(+1.74%), 천보(+1.19%)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 카카오게임즈(+2.68%), 펄어비스(+1.03%) 등 게임 테마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81억, 484억 순매수, 개인은 91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에코프로비엠(+7.95%), LX세미콘(+4.10%), 카카오게임즈(+2.68%), 엘앤에프(+2.47%), 동진쎄미켐(+2.39%), 에코프로(+1.74%), JYP Ent.(+1.24%), 천보(+1.19%), 펄어비스(+1.03%), 셀트리온제약(+0.41%) 등이 상승. 반면, 알테오젠(-4.75%), HLB(-1.39%), 에스티팜(-0.73%), 셀트리온헬스케어(-0.15%)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종이/목재(+4.23%), 일반전기전자(+3.36%), 금속(+3.03%), 소프트웨어(+2.70%), 컴퓨터서비스(+1.66%), IT S/W & SVC(+1.57%), 비금속(+1.51%), 건설(+1.43%), IT부품(+1.21%), 음식료/담배(+1.00%), 디지털컨텐츠(+0.92%), 기타제조(+0.85%) 등이 상승. 반면, 의료/정밀기기(-0.60%), 기타서비스(-0.57%), 기계/장비(-0.42%), 운송장비/부품(-0.28%)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30.57P(+5.90P/+0.64%)


테마 시황

 

▷유럽 최대 철강 공장 피격 소식 및 러시아 최대 철강기업 부도 위기 소식, 열연·냉연강판 가격 인상 소식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강관업체 등 테마 상승.

▷美 국채금리 급등세 지속, 은행 대출 성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은행, 손해보험, 생명보험 등 테마 상승.

▷英 원전비중 확대 소식 및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원전 공약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강세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러시아 주요 송유관 폐쇄 우려 속 LPG, 도시가스 테마 상승.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게임 규제 완화 기대감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안철수 인수위원장, 화이자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 복제약 국내 생산 필요성 언급 속 일부 코로나19(화이자) 테마 상승.

▷퀄컴 1억 달러 규모 메타버스 펀드 조성 소식, 美 로블록스 주가 급등, 삼성전자 메타버스 사업 기대감 지속 속 일부 메타버스 테마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지속 속 곡물 가격 상승세장기화 전망 등에 일부 사료/비료/농업 테마 상승.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기대감 지속 등에 건설, 리모델링/인테리어, 시멘트/레미콘 등 테마 상승.

▷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수소에너지 산업 발전 계획 발표 속 일부 수소차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상승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남-북-러 가스관사업, 해저터널, 자전거, 전선, 아스콘, NI(네트워크통합), 희귀금속(희토류 등), 클라우드 컴퓨팅, 비철금속, 수자원(양적/질전 개선), 보안주(정보), 전력설비, 마이데이터, 탄소나노튜브, 철도, 온실가스(탄소배출권)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코로나19 재확산 속 여행, 카지노, 면세점, 항공/저가 항공사 등의 테마가 하락.

▷안철수 인수위원장 전국민 대상 항체 양성율 조사 시행 언급 소식 등에 전일 강세를 나타냈던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 차익실현 매물 속 하락.

▷이 외 마리화나(대마), 터치패널, 국내 상장 중국기업, CCTV & DVR, 카메라모듈/부품, 해운, 그래핀, 음원/음반, 수산,주류업, 제대혈, 바이오인식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철강/강관업체(Steel pipe)

유럽 최대 철강 공장 피격 및 러시아 최대 철강기업 부도 위기 소식 등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항구도시 마리우폴을 포위하면서 유럽 최대의 철강 공장 중 하나인 아조브스탈(Azovstal)이 심각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전해짐. 레시아 바실렌코 우크라이나 국회의원은 최근 트윗을 통해 "유럽에서 가장 큰 철강 공장이 파괴되었고 우크라이나의 경제적 손실은 매우 크며, 환경이 파괴되고 있다"고 밝힘.

▷또한,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최대 철강기업인 세베르스탈이 달러화 채권에 대한 이자 지급을 제때 하지 못해부도 위기에 몰렸다고 전해짐. 세베르스탈은 지난주 미국 시티그룹의 계좌에 1,260만 달러(한화 약 153억원)를 이체했지만, 금융제재 탓에 채권 보유자에게 전달되지 못했다고 알려짐. 이에 따라 세베르스탈은 이자 지급 만기일에서 5영업일이 지나는 금일(현지시간) 자로 법적인 부도 상태가 된다고 전해짐.

▷한편, 지난 21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4월 열연강판과 냉연강판 가격을 톤(t)당 10만원 인상키로 결정. 가격 인상은 4월 주문 투입분부터 적용될 예정. 양사는 이달에도 열연강판 가격을 t당 5만원을 올렸지만, 두달 연속 가격인상을 단행하며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포스코강판, 현대제철, 금강철강, 부국철강, 문배철강, 동일제강 등 철강 테마 및 하이스틸, 동양철관 등 강관업체(Steel pipe)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은행/손해보험/생명보험

美 국채수익률 강세 및 은행 대출 성장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영향이 지속되면서 현지시간 22일 美 국채수익률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뉴욕증시에서 뱅크오브아메리카(+3.13%), 웰스 파고(+4.40%) 등 은행주와 메트라이프(+2.25%) 등 보험주가 상승세를 기록했음.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8.47bp 상승한 2.379%를 기록했으며, 2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전거래일보다 3.01bp 상승한 2.153%를 기록.

▷최근 우리은행에 이어 신한은행, 하나은행, 카카오뱅크 등이 전세자금대출 한도 제한 등의 규제를 5개월 만에 완화했으며, 기타 은행들도 지난해 10월 은행권 자율규제로 도입한 전세대출 규제를 정상화할 것으로 알려짐. 또한, 시장에서는 윤석열 대통령당선인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완화 공약에 따라 은행 대출 성장률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KB금융, 신한지주 등 은행, 한화손해보험, DB손해보험, 삼성생명 등 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원자력발전英, 원전비중 확대 소식 및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원전 공약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21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원전 업계와 만나 영국 전체 에너지 수요 중 원자력 비중을 25%로 올리기 위해 자금 조달과 원전 신설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짐.

▷존슨 총리는 새로운 원전 건설 비용을 조달하고 건설하는 과정에서 관료 행정을 빨리 건너뛸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으며,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석유·천연가스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 비중을 줄이는 등 에너지 안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음. 한편, 현재 영국 전력 수요에서 원전 비중은 약 15%이며, 현재 가동 중인 원전들이 노후해 2030년까지 1기를 제외한 상당수가 폐기될 예정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원전 공약 수혜 기대감도 지속되는 모습. 앞서 尹 당선인은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즉시 재개하겠다고 밝힌바 있음.

▷이에 금일 한신기계, 보성파워텍, 일진파워, 우진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2차전지/전기차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 주가 강세 등에 상승

▷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밤 美 증시가 저가 매수세 유입 등으로 반등한 가운데, 테슬라 등 美 전기차 업체들의 주가도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테슬라 주가는 전거래일대비 7.91% 급등한 993.98달러로 마감하며 1,000달러 선에 근접했음. 리비안과 루시드 그룹 주가도 전거래일대비 각각 7.74%, 4.96% 상승세를 보였음.

▷특히, 테슬라는 전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의 기가팩토리에서 생산을 시작했고, 첫 차량을 고객에게 인도했다고 밝힘. 테슬라는 이 공장에서 연간 최대 5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으로 지난해 독일 폭스바겐의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인 45만대를 앞지른 수치임. 이에 따라 테슬라의 유럽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것으로 보이며, 유럽 현지에도 생산 기지를 갖추며 관세나 물류 비용이 크게 줄어 가격 경쟁력이 올라갈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에 에코프로비엠, EMW, 엘엔에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LPG(액화석유가스)/도시가스

러시아 주요 송유관 폐쇄 우려 등에 상승

▷전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美 바이든 대통령의 유럽 순방을 앞두고 러시아 에너지부 차관이 중앙아시아에서 흑해로 연결되는 카스피 파이프라인 컨소시엄의 송유관 가동을 최대 2개월 동안 중단할 수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일각에서는 EU 국가들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해 러시아의 원유 부문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미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금지한 데에 따른 보복 조치일 것으로 분석하는 모습.

▷해당 송유관은 카자흐스탄의 텡기즈 유전에서 러시아 노보로시스크항까지 1,500㎞를 연결하며, 이 경로를 따라 러시아산 원유가 공급되고 미국의 쉐브론, 엑손모빌이 생산하는 원유도 포함된다고 전해짐. 또한, 용량은 하루 140만배럴로 카자흐스탄 원유수출의 3분의2를 차지하며, 이번달 바이든 행정부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했지만 해당 송유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유는 카자흐스탄에서 오는 것으로 인증, 제재 대상에서 제외했었음.

▷이 같은 소식에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등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및 지에스이, 대성에너지 등 도시가스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게임 규제 완화 기대감등에 상승

▷SK증권은 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이 게임 유저에게 친화적인 만큼 게임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이에 최근 게임사들이 비즈니스 모델을 P2W에서 P2E로 전환하기 위해 추진 중인 NFT 및 P2E 서비스에 대한 규제 완화도 기대된다고 밝힘.

▷예상되는 규제 완화로는 17년 금융위가 전면금지한 국내 ICO(가상화폐공개) 전면 허용, e스포츠지역 연고제를 통한 e스포츠 문화 활성화, 청소년 게임 접속을 제한하는 셧다운제 등을 추진한 여성가족부 폐지 등이 있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에 액션스퀘어, 넥슨지티,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등 게임/모바일게임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특히, 카카오게임즈는 오딘 안정화·블록체인 사업 구체화 평가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코로나19(화이자)안철수 인수위원장, 화이자 코로나19 경구치료제 팍스로비드 복제약 국내 생산 필요성 언급 속 상승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은 금일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경구치료제인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에 대해 제약사에 요청해 특허 로열티를 내고 국내 복제약 제조 가능성을 타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안철수 위원장은 경구치료제 확보에 최선을다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팍스로비드 등 경구치료제는 지금 굉장히 모자라다”며, “아마도 4월달 되면 완전히 동이 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한편, 이날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팍스로비드 계약 물량은 76만2,000만명분으로 현재까지 16만3,000명분(21.4%)이 들어왔으며 그중 20일까지 8만7,000명분이 사용돼 7만6,000명분이 재고로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KPX생명과학, 우리바이오, 제일약품 등 일부 코로나19(화이자)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메타버스(Metaverse)퀄컴, 1억 달러 규모 메타버스 펀드 조성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모바일통신칩 업체인 퀄컴이 1억 달러(약 1,222억원) 규모 메타버스 펀드를 조성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해당 펀드는 '스냅드래곤 메타버스 펀드'라는 이름으로 퀄컴의 벤처캐피털 자회사 퀄컴벤처스가 운용하며 XR(확장현실)과 AR(증강현실), AI(인공지능) 등 메타버스 기술 생태계를 키울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 지난밤 美 증시에서 로블록스(+8.34%)는 급등세를기록.

▷아울러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메타버스 콘텐츠 및 생태계의 주요 트렌드와 향후 변화를 조망하기 위한 '2022 앨리스콘(ALL Immersive Content create new Experiences Conference 2022)'을 오는 25일 개최한다는 소식도 전해짐. 해당 행사에서는 '메타버스, 콘텐츠로 새 시대를 열다'를 주제로 게임,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장르와 결합해 새로운 콘텐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가 소개될 것으로 알려짐.

▷한편, 삼성전자의 메타버스 사업 기대감도 지속. 지난 16일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주총에서 "메타버스와 로봇 등 신사업 발굴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대하겠다"며, "고객이 언제 어디서든 메타버스 경험을 할 수 있게 최적화된 디바이스와 솔루션을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에 엔피, 선익시스템, 덱스터 등 일부 메타버스(Metaverse)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한편, 엔피는 언론을 통해 확장현실(XR), 메타버스 비즈니스 확대를 목적으로 미국 멀티미디어 솔루션 기업 디버시파이드(Diversified)와 비즈니스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힘.


사료/비료/농업

곡물 가격 상승세 장기화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곡물 가격 상승세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음.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006~2008년 애그플레이션과 현재를 비교할 때 표면적인 차이점은 수요발과 공급발이나, 이번 공급 감소의 범위(원재료, 중간재, 비료, 곡물)가 전 밸류체인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각 분야의 10~40%의 차질이 발생하고 현재 비료 부족이 6~18개월 후 곡물 생산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 사이클보다 더 크고 길게 유지될 수 있다고 밝힘.

▷이번 애그플레이션은 지난해 하반기 중국 석탄/에너지 규제에 따른 비료 수출 제재, 글로벌 암모니아/요소 부족, 미국의 곡물 사고(허리케인/한파/화재)로 인한 부족을 시작으로 올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비료 직접 수출 제재, 비료 중간재 수출 중단에 따른 글로벌 비료업체들의 가동률축소, 러/우 농산물 수출에 대한 우려가 가세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현대사료, 한일사료, 남해화학 등 일부 사료/비료/농업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화성산업
(002460)

28,800원
(+20.25%)
3,764,706주(8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및 경영권 분쟁 이슈 지속 등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보통주 3,764,706주(8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2-03-23~2022-06-22) 공시.
▷한편, 동사의 경영권을 둘러싼 창업주 2세 형제 중 장남인 이인중 명예회장과 차남인 이홍중 대표이사 회장 간 경영권 분쟁도 지속되고 있음.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155,000원
(+6.90%)
코로나19 백신 GBP510, 부스터샷 제3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에 강세
▷전일 장 마감 후 COVID-19 백신 GBP510의 부스터샷 제3상 임상시험계획(IND) 신청 공시. 이번 임상은 만 18세 이상의 성인 750명을 대상으로 면역증강제 AS03을 이용한 SARS-CoV-2 재조합 단백질 나노입자 백신(GBP510)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평행 비교, 관찰자 눈가림, 활성 대조, 무작위배정, 2단계, 제3상 임상시험임.
▷이와 관련, GBP510은 면역증강제 AS03을 사용한 SARS-CoV-2재조합 단백질 나노입자 백신으로, 기초접종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면역반응을 부스터샷을 통해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높은 안전성이 기대되며 오미크론 등 변이주에 대해서도 부스터샷을 통한 예방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
진원생명과학
(011000)

16,200원
(+5.88%)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국내 임상 2상 착수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GLS-1027'의 글로벌 임상 2상 시험이 약 90%의 임상시험 대상자를 모집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임상 2상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힘. 동사는 현재 132명의 임상 2상 대상자 가운데 116명을 등록했으며, 87명의 대상자는 임상연구를 완료했고 29명의 대상자는 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동사 박영근 대표이사는 'GLS-1027'은 항바이러스 작용이 아닌 항염증 반응에 의한 중증폐렴으로의 악화 과정을억제하기 때문에 변이에 관계가 없으며, 간에서 약물 대사에 관련된 시토크롬 P450 3A4 동질효소 등에 영향을 주지 않아 다른 약물과 병용에대한 제한이 없는 우수한 안전성을 가질 것이라고 밝힘.
DB
(012030)

964원
(+5.13%)
지주회사 전환 요건 충족 가능성 부각 등에 상승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DB하이텍의 장부금액이 4,008억원으로 별도 기준 자산총계의 65.7%에 해당해 동사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성립 요건을 충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 동사측에서는 지주회사 전환에 대해 어떠한 것도 정해진 바가 없다는 입장이나 당사는 동사가 지주회사 성립요건 자체를 해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한다며, 만약지주회사가 된다면 17.6%의 지분을 추가 취득하는 방법 외에 12.4%의 지분을 매각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고 분석. 만약 지분 12.4%를 매각하게 된다면 대규모 매각 자금이 동사에 유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저평가 매력이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의 NAV대비 할인율은 DB하이텍에 대한 경영권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61%로 지주회사 평균 45%에 비해 높은 편이나 DB하이텍 지분매각으로 동사의 순자산이 대부분 현금으로 구성된다면 더욱 높은 할인율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을 가질 만하다고 설명.
일동제약
(249420)

51,700원
(+4.13%)
시오노기제약과 공동개발 중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품목 승인 시 국내 매출로 1,500억원 가능 전망 등에 상승
▷한화투자증권은 동사가 日 시오노기제약과 공동개발 중인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S-217622) 품목 승인 시 국내 매출로 1,500억원은 가능할 것으로 전망. 특히, 원 개발사인 시오노기제약 품목승인 전이라 내부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판매가격을 알수 없지만, 90만원과 60만원으로측정된 경쟁제품대비 저렴한 30만원으로 책정된다는 가정으로 50만명분이 공급된다면 동사는 1,500억원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
▷아울러 현재 국내 식약처에 승인되어 유통되고 있는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가 유일하지만,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자가 급증해 국내 활용가능 물량이 제한적이고, 병용금지 성분이 많아 의료현장에서 처방이 불편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직접 생산, 판매가 가능한 S-217622에게 우호적인 시장환경으로 품목 승인 획득 시 큰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망.
SK스퀘어
(402340)

55,700원
(+3.72%)
암호화폐 발행 추진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SK그룹의 투자전문기업인 동사가 암호화폐 발행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짐. 이는 메타버스·이커머스 등의 신사업의 기반이 되는 자체 암호화폐를 바탕으로 'SK ICT(정보통신기술) 패밀리'의 블록체인 가상경제 생태계 확장에 나선다는 전략임.
▷동사 측은 "관계사들과 혁신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며, "암호화폐 발행은 구체화되는 시점에 시장과 투명하게 소통하겠다"고 밝힘.
▷내부적으로 발행 목표 시점을 연내로 잡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실제 암호화폐가 발행된다면 국내 10대 그룹 계열사 중에선 첫 사례가 될 것으로 알려졌음.
CJ제일제당
(097950)

365,500원
(+3.54%)
1분기 실적 호조 기대감 및 저평가 분석 등에 상승
▷하나금융투자는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각각 6조6,622억원(YoY +7.8%), 4,030억원(YoY +4.7%)으로 시장 기대치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최근 원부자재 급등에 따른 원가 부담은 불가피 하겠으나 견조한 탑라인 및 바이오 시황 호조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글로벌 업체로의 도약 감안시 12개월 Fwd PER 8배에 거래되고 있는 현 주가는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620,000원[유지]
LG화학
(051910)

508,000원
(+3.25%)
국민연금 반대에도 주총 안건 모두 통과 소식 속 상승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2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상정한, 재무제표 승인의 건, 신학철 부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의 건, 권봉석 LG 부회장의 기타비상무이사 신규선임의 건, 이현주·조화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의 건,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 안건 모두를 원안대로 통과한 것으로 전해짐.
▷앞서 국민연금은 동사 산하 전지사업부문이 LG에너지솔루션으로 물적분할한 뒤 상장하면서 기업가치가 훼손되고 주주권익이 침해됐다며, 신부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음.
▷한편, 신 부회장은 이날 주주총회에서 "미래 성장동력 사업인 전지 재료, 글로벌 신약, 생분해성·신재생에너지 소재를 중심으로 성장해나갈 계획"이라며 "매년 4 조원 이상의 투자를 집행하고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에 매년 1조원 수준의 자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힘. 이어 "3대 신사업의 예상 매출은 2030년 약 30조원 수준으로, 연평균 30%성장해 향후 9년간 10배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언급했음.
삼성에스디에스
(018260)

133,500원
(+2.69%)
오너일가 블록딜 펀더멘탈 무관 속 저가 매수 기회 분석 등에 소폭 상승
▷SK증권은 동사에 대해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이 지분 3.9%를 블록딜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전일 주가가 약세를 보였다며, 이는 예정됐던 블록딜로 단기적으로 불확실성 제거요인이나 추가적인 지분매각 가능성도 여전하다고 분석.
▷다만, 오너일가의 지분매각은 동사의 펀더멘탈과는무관하고 지배구조에도 변화가 없다며, 1분기 수익성 개선이 예상되는 만큼 장기 성장스토리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돼 과도한 주가하락은 매수 기회로 판단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00,000원[유지]
태광산업
(003240)

1,057,000원
(+2.42%)
트러스톤자산운용, 주주가치 제고 등 요구 소식에 소폭 상승
▷트러스톤자산운용은 이날 동사에 주식 유동성 확대와 합리적인 배당정책 등을 요구하는 주주 서한을 보냈다고 밝힘. 이를 통해 1조2,000억원에 달하는 현금성 자산을 활용할 방안을 제시할것과 주식 유동성 확대, 합리적인 배당정책 수립 등을 요구했음. 또한, 일반 주주들을 상대로 하는 공식적인 기업설명회(IR)를 지난 10년 간진행하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주주 및 시장과의 구체적인소통 계획과 방안을 공개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음.
삼일제약
(000520)

8,670원
(+2.00%)
식약처 차장 방문 소식 속 어린이감기약 공급 독려 소식에 소폭 상승
▷김진석 식품의약품안전처 차장은 전일최근 어린이를 포함한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감기약과 해열진통제 수요가 급증하면서 생산량 증대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위해 어린이 해열진통제 생산 업체인 동사를 방문해 생산 현황을 점검했음.
▷김 차장은 현장에서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린이가 주로 사용하는 시럽형 해열진통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는 동사의 노고에 감사하다"고 밝힘. 이어 "식약처는 감기약·해열진통제 제조업체를 행정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겠다"며, "업체도 앞으로 의약품의 생산량 증대 노력을 이어 가주길 바란다"고 언급.
풍산
(103140)

33,550원
(+1.98%)
구리가격 랠리 수혜 및 미국 중심 방산수출 호조세 지속 전망에 소폭 상승
▷키움증권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침공 이후 올해 3월 역사상 고점을 약 10개월만에 갈아치운 구리가격이 올해 유럽 전력난에 따른 비철금속 생산차질과 수요대국 중국의 경기모멘텀 회복으로 작년 하반기 주춤했던 상승랠리를 재개할 것으로 전망. 또한, 올해 중국의 경기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최소 3분기까지 구리가격도 추세적인 상승을 이어가며 동사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동사의 2021년 방산수출액은 4,023억원(+68%YoY)으로 2년 연속 폭발적 성장세를 보이는 등 사상 처음으로 내수비중을 앞질렀다며, 올해도 미국과 중동을 중심으로 방산 수출호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LG유플러스
(032640)

13,950원
(+1.82%)
탈통신 사업 부각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B2C 콘텐츠, B2B 인프라 등으로 탈통신사업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 동사의 탈통신 전략은 B2C 콘텐츠와 B2B 인프라 서비스이며, 콘텐츠 사업은 키즈 콘텐츠 특화 서비스인 아이들나라를 구심점으로 하고 있다고 밝힘. 현재 MAU는 200만명 이상으로 추정되며 TV MAU의 앱 MAU로의 전환이 성공할 경우 키즈/교육/패밀리에특화된 탑티어 OTT로 자리매김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또한, 모바일을 통해 서비스하는 XR 콘텐츠에서도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다고 밝힘.
▷아울러 5G 부문의 경우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5G 점진적 보급 및 효율적 비용 집행에 따라 증익 싸이클이 지속될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7,000원[유지]

 


서울옥션
(063170)

25,350원
(+8.10%)
3월 경매 낙찰률 90% 이상 기록 소식 등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일 오후 강남센터에서 열린 3월 경매는 낙찰총액 약 165억원, 낙찰률 91%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번 경매는 미술품의 뜨거운 구매열이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국내 작가뿐만 아니라 힐러리 페시스, 조나스 우드, 에밀리 메이 스미스, 샤라 휴즈 등 최근 해외시장에서 활발히 거래중인 작가들의 작품이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고 언급. 이어 올해 1분기 오프라인 경매 낙찰총액이 약 399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5% 증가했다고 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경매에서 스스무 카미조, 조르디 커윅, 제이미 홈즈 등의 작가를 국내 경매사에 처음으로 소개해 모두 낙찰되는결과를 얻었다"며, "국내 미술 경매시장으로의 첫 진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밝힘.
유앤아이
(056090)

25,850원
(+7.04%)
쌍용차 인수자금 조달 중추 역할 담당 소식 속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변경 예정 최대주주인 에디슨EV의 관리종목 지정 우려에 투자 유치가 어려워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재무적투자자(FI)를 통한 쌍용자동차 인수자금 등의 조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힘.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 인수컨소시엄의 주요 주체를 에디슨EV에서 동사로 변경할 예정이며, 에디슨EV는 올해 관리종목 탈피 및 에디슨모터스와의 영업 시너지에 집중하고 동사는 인수자금 조달의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해짐.
▷한편, 동사는 최근 사명을 에디슨이노로 변경하고 쌍용자동차 인수를 위한 컨소시엄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는 에디슨모터스를 주축으로하는 에디슨 그룹의 일원으로 CI를 통합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짐.
유니테크노
(241690)

9,210원
(+6.35%)
지난해 실적 발표 속 강세
▷사업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실적 발표. 21년 연결기준 매출액 798.62억원(전년대비+5.88%), 영업이익 74.38억원(전년대비 +23.83%), 순이익 94.69억원(전년대비 -3.85%).
로보티즈
(108490)

30,300원
(+4.66%)
한국호텔업협회와 인공지능(AI) 호텔 서비스 로봇 보급 관련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
▷동사는 금일 언론을통해 한국호텔업협회와 인공지능(AI) 호텔 서비스 로봇 보급 및 확산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은 호텔 서비스 로봇 도입을 통해 코로나19로 위축된 국내 호텔업계의 효율적 운영과 첨단 이미지를 제고하고 더불어 국산 로봇 시장 확대에 기여하기 위해 추진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김병수 동사 대표는 "2022년에 들어서면서 정부와 주요 대기업이 미래 먹거리로 서비스 로봇 산업을 주목하며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이제는 산업용 로봇보다 서비스 로봇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해 우리 실생활 곳곳에서 편리함을 더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동사는 토종 자율주행 로봇 기업으로서 국내 호텔 환경에 최적화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은 호텔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리는 데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밝힘.
에이치피오
(357230)

12,600원
(+4.56%)
프리미엄 분유 '하이앤고고 덴마크 오가닉 밀크파우더', 中 인기 소식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는 지난 2019년 당시 중국엔 없던 3~14세 성장기 아동 특화 제품 '하이앤고고 덴마크 오가닉 밀크파우더'를 출시해 젊은 층 부모들의 구매 1순위제품이 된 것으로 전해짐. 특히, 제품 출시 2년만인 지난해 상반기 현지법인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6% 신장하는 등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 내 직구 수요도 늘고 있어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한편, 중국은 40년만에 '한 자녀 정책'을 폐지했으며, 영유아용품 시장은 2024년까지 1,300조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바이오플러스
(099430)

26,950원
(+3.65%)
올해 가파른 성장과 높은 수익성 유지 전망 등에 상승
▷교보증권은 동사에 대해 22년 실적은 매출 583억(YoY +56%), OP 285억(OPM 49%)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과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특히, 동 실적 추정에는 지정학적 위기에 따른 불확실성을 고려해 보수적으로 고려했다며, 향후 수출 안정화 추이에 따라 추가적인 실적 추정 상향도 가능하다고 설명.
▷한편, 현재 HA필러인 SkinPlus-Hyal의 경우 국내외에서 빠르게 판매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후 동일한 HA 기반의 생체재료인 유착방지제 InterBlock, 관절 활액Synofil, 방광염치료제 Blad-Care 등의 매출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32,000원[신규]
고바이오랩
(348150)

18,500원
(+3.06%)
셀트리온과 마이크로바이옴 공동연구 및 제휴계약 체결에 상승
▷주식회사 셀트리온과 마이크로바이옴 공동연구 및 제휴계약 체결 공시.
▷계약목적은 과민성대장증후군(IBS)/아토피피부염(AD) 치료 후보물질 발굴 목적 공동연구임. 계약기간은 2022년3월23일(계약체결일)~ 공동연구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이며, 합의로 연장이 가능하다고 밝힘.
엔젠바이오
(354200)

12,250원
(+2.94%)
대용량 종양 NGS 진단제품 '온코아큐패널' 국내 품목허가 신청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대용량 고형암 정밀진단 제품인 ‘온코아큐패널’의 체외진단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신청했다고밝힘. 온코아큐패널이 식약처로부터 체외진단 의료기기로 허가받으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해 NGS검사건수가 급격히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내달 유럽 인증을 받아 본격적인 해외 공급에도 나설 예정.
카카오게임즈
(293490)

80,500원
(+2.68%)
오딘 안정화·블록체인 사업 구체화 평가 등에 소폭 상승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연결영업실적은 매출 2,703억원(qoq -5.7%), 영업이익 467억원(qoq +2.7%)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은 소폭 감소하나,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하는 등 qoq flat 수준의 무난한 성적을 예상한다고 밝힘. 이는 오딘의 1분기 매출이 트래픽 호조 및 몇 차례 컨텐츠 업데이트 효과 등을 바탕으로 qoq -3.5% 정도로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분석.
▷또한, 국내 3대 코인 거래소에 상장된 보라코인을 기축통화로 활용해 P2E 게임을 공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경쟁력이 있다며, 카카오 공동체가 엔터, 커머스, 모빌리티, 페이 등 다양한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는점에서 NFT 디지털자산 거래소 사업 및 메타버스 사업 관련 기초 지식사업권(IP) 경쟁력은 국내 최상위 수준이라고 밝힘. 올해부터는 블록체인 사업 성장전략을 구체화함은 물론 적극적인 어필도 병행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그중 우선은 P2E 게임 전략의 구체화 가능성을주목하고 있다고 분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0,000원 → 105,000원[상향]
▷한편, 동사는 전일 블루홀스튜디오에서개발한 PC MMORPG ‘엘리온(Elyon)’의 2022년 개발 로드맵 영상을 발표했음.
이녹스첨단소재
(272290)

47,850원
(+2.68%)
올해 사상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
▷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대비 19.1%, 31.6% 증가한 5,806억원, 1,273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OLED TV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고, Fold 시장에도 진입해서 향후 추가 성장 동력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설명.
▷한편, 1분기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7.5% 감소한 1,31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이는 NOLED와 INNOSEM 사업부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감소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
▷투자의견 :매수[유지], 목표주가 : 60,000원 → 70,000원[유지]
셀리버리
(268600)

31,150원
(+2.30%)
AD·PDTM서 퇴행성뇌질환 치료신약 뇌전송능력 발표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15일부터 20 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국제학술대회(AD/PDTM 2022)에 참석해 퇴행성뇌질환 치료신약 iCP-Parkin 및 '약리물질 세포 내 전송기술인 TSDT 플랫폼기술'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밝힘. 특히, 이번 컨퍼런스에서 총 세 건의 치매치료신약 iCP-Parkin 관련 발표를 했으며, 핵심내용은 iCP-Parkin을 정맥으로 주입할 시 뇌혈관장벽(BBB)을 투과한다는 증거(투과율 5.6%)를 제시한 것으로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바이오기업들에게 iCP-Parkin의 공동개발 제의를 받았다고 설명.
에이루트
(096690)

535원
(-3.08%)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에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한편, 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 통제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힘. 이어 지난 사업년도 감사보고서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의견을 받은 것에 대해 내부통제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 지난해 말 감사인이 제시한 기준에 일부 미충족 요건이 발생한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
공구우먼
(366030)

20,000원
(-7.41%)
신규 상장 첫날 약세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20,000원을 상회한 21,6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약세 마감했음. 한편, 동사는 플러스 사이즈 여성 의류 전문업체로 플러스 사이즈 여성을 위한 의류, 잡화 등을 제조 및 매입하여 자체 온라인 몰을 중심으로 판매 활동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중임.
뉴파워프라즈마
(144960)

5,630원
(-9.19%)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 공시.
오성첨단소재
(052420)

2,150원
(-10.42%)
감사보고서 감사의견 '한정' 속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관계기업의 감사가 지연돼 최종 재무제표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밝힘. 이어 감사인에게 2021년도에 대한 감사 일정 연장을 요청했다며,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보고서를 수령하는 즉시 공시하겠다고 언급.
▷금일 감사범위제한으로 인한 감사의견 '한정' 감사보고서 제출 속 상장폐지사유 발생으로 주권매매거래정지 공시.
에디슨EV
(136510)

19,900원
(-15.32%)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및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등에 급락
▷전일 장 마감 후 내부결산시점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공시. 이와 관련, 최근 4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 사유가 감사보고서에서 확인될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될수 있다고 밝힘.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 이와 관련, 2021년12월31일로 종료되는 사업연도의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감사인의 감사절차가 완료되지 않아 금일 감사보고서 제출 및 공시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