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6일 토요일
1. 엠투엔 보호예수 해제
11월 7일 일요일
1. 美 서머타임 해제(현지시간)
2. 원준 보호예수 해제
3. 中) 10월 무역수지
4. 中) 10월 외환보유액
5. EPL) 에버턴 VS 토트넘
* 야구 일정
준플레이오프 3차전
11월7일(일) 14시, 잠실
두산 VS LG
11월 8일 월요일
1. 美 정부, 여행제한 해제 예정(현지시간)
2. 中 공산당, 19기 6중전회 개최
3. 뉴로사이언스 2021 개최(현지시간)
4. 美 GM 부사장 방한 예정
5. 현대그린푸드 실적발표 예정
6. SK네트웍스 실적발표 예정
7. CJ제일제당 실적발표 예정
8. 현대홈쇼핑 실적발표 예정
9. CJ대한통운 실적발표 예정
10. 메리츠증권 실적발표 예정
11. 현대리바트 실적발표 예정
12. GS 실적발표 예정
13. 트윔 공모청약
14. FSN 변경상장(주식병합)
15. 한국코퍼레이션 변경상장(감자)
16. 아시아경제 추가상장(BW행사)
17. 동성화인텍 추가상장(CB전환)
18. 상상인증권 추가상장(CB전환)
19. KH E&T 추가상장(CB전환)
20. 美) 징가(Zynga) 실적발표(현지시간)
21.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요약본
22. 日) 10월 외환보유액
23. 日) 9월 경기동향지수(예비치)
[선 구분없이.. 전체 내용입니다]
11월 6일 토요일
1. 엠투엔 보호예수 해제
11월 7일 일요일
1. 美 서머타임 해제(현지시간)
2. 원준 보호예수 해제
3. 中) 10월 무역수지
4. 中) 10월 외환보유액
5. EPL) 에버턴 VS 토트넘
* 야구 일정
준플레이오프 3차전
11월7일(일) 14시, 잠실
두산 VS LG
11월 8일 월요일
1. 美 정부, 여행제한 해제 예정(현지시간)
2. 中 공산당, 19기 6중전회 개최
3. 뉴로사이언스 2021 개최(현지시간)
4. 美 GM 부사장 방한 예정
5. 현대그린푸드 실적발표 예정
6. SK네트웍스 실적발표 예정
7. CJ제일제당 실적발표 예정
8. 현대홈쇼핑 실적발표 예정
9. CJ대한통운 실적발표 예정
10. 메리츠증권 실적발표 예정
11. 현대리바트 실적발표 예정
12. GS 실적발표 예정
13. 트윔 공모청약
14. FSN 변경상장(주식병합)
15. 한국코퍼레이션 변경상장(감자)
16. 아시아경제 추가상장(BW행사)
17. 동성화인텍 추가상장(CB전환)
18. 상상인증권 추가상장(CB전환)
19. KH E&T 추가상장(CB전환)
20. 美) 징가(Zynga) 실적발표(현지시간)
21.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요약본
22. 日) 10월 외환보유액
23. 日) 9월 경기동향지수(예비치)
https://news.v.daum.net/v/20211105112214135
https://news.v.daum.net/v/20211106114003816
https://news.v.daum.net/v/20211106073001450
https://news.v.daum.net/v/20211106071501275
https://news.v.daum.net/v/20211106090305345
https://news.v.daum.net/v/20211106090033260
https://news.v.daum.net/v/20211106080030702
https://news.v.daum.net/v/20211106111500626
- 코스피시장 -
11/5 KOSPI 2,969.27(-0.47%) 美 고용지표 경계감 속 기관 순매도(-), 개인/외국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OMC 안도감지속 속 차익실현 매물 등에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FOMC 안도감 속 BOE 기준금리 동결 소식 등에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3,003.53(+20.31P, +0.68%)으로 상승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축소하다 이내 하락 전환. 오전 중 낙폭을 키워 2,953.96(-29.26P, -0.98%)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 이후 일부 낙폭을 만회해 정오 무렵 2,975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오후 들어재차 낙폭을 키우는 모습. 오후 장 내내 2,965선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간 지수는 결국 2,969.27(-13.95P, -0.47%)로 장을 마감.
FOMC 안도감 지속, BOE 기준금리 동결 속 장초반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던 지수는 美 10월 고용동향보고서를 앞둔 경계감 속 기관 매도 물량에 하락 전환하며 장을 마감. 원/달러 환율 상승 속 외국인이 선물시장에서 3,200계약 넘게 순매도한 점도 부담으로 작용. 아울러 中 부동산 개발 업체 유동성 위기 확산 속 아시아 주요국 증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인 점도 부담으로 작용.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2,344명(국내 발생 2,324명, 해외 유입 20명)으로 집계됐음. 사흘째 2,000명대를 기록했으며, 전일에 이어 국내 감염 중 수도권 비중이 80%를 넘어섰음. 일일 사망자 수는 20명으로 이틀 연속 20명대를 기록. 코로나19 백신 1 차 접종자는 인구 대비 80.6%를 기록, 2차 접종 완료자는 76.1%를 기록.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대만이 상승한 반면, 중국, 일본, 홍콩은 하락하는 등 대체로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4,457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867억, 564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외국인이 3,209계약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2,169계약, 558계약 순매수.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6원 상승한 1,185.2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9.6bp 하락한 1.944%,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7.8bp 하락한 2.350%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24틱 상승한 108.50으로 마감. 금융투자가 11,309계약 순매수, 은행은 9,704계약 순매도. 10년물 국채선물은전거래일 대비 69틱 상승한 123.23으로 마감. 외국인, 은행이 766계약, 704계약 순매수, 금융투자는 1,375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카카오뱅크(-4.67%), 크래프톤(-3.63%), SK아이이테크놀로지(-4.28%)가 다음주 보호예수 해제를 앞두고 하락했으며, POSCO(-4.20%), SK이노베이션(-2.51%), KB금융(-1.61%), 카카오(-1.15%), 삼성전자(-0.57%), LG화학(-0.51%), 삼성물산(-0.43%), NAVER(-0.24%), 삼성바이오로직스(-0.12%) 등이 하락. 반면, 기아(+1.15%), SK하이닉스(+0.94%), 카카오페이(+0.59%), 삼성SDI(+0.53%), 현대차(+0.47%), 셀트리온(+0.24%), 현대모비스(+0.2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은행(-3.90%), 철강금속(-3.01%) 업종의약세가 두드러졌으며, 건설업(-1.39%), 금융업(-1.12%), 유통업(-1.10%), 화학(-1.08%), 보험(-1.06%), 종이목재(-1.03%), 음식료업(-0.97%), 운수창고(-0.71%), 증권(-0.61%), 의료정밀(-0.61%)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섬유의복(+3.94%), 운수장비(+0.36%), 비금속광물(+0.19%) 등 일부 업종만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969.27P(-13.95P/-0.47%)
- 코스닥시장 -
11/5 KOSDAQ 1,001.35(-0.01%) 개인 순매도(-), 외국인/기관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FOMC 안도감 지속 속 차익실현 매물등에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1,006.04(+4.61P, +0.46%)로 상승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오전 중 하락 전환하며 995.35(-6.08P, -0.61%)에서 저점을 형성. 이후 서서히 낙폭을 만회했고, 오후 장중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 결국 1,001.35(-0.08P, -0.01%)로 장을 마감.
최근 美 증시 사상 최고치 행진에도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던 지수는 이날도 개인 순매도와 외국인/기관 순매수가 엇갈리며 상승과 하락을 거듭하다 약보합 마감. 사흘째 하락. 개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거래일 연속, 2거래일 연속순매수.
한편, 금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최종 확정된 가운데, 아이크래프트, NE능률, 위즈코프 등 정치/인맥(윤석열) 테마가 강세를 보인 반면, 삼일, 경남스틸, 한국선재 등 정치/인맥(홍준표) 테마는 급락 마감.
수급별로는 개인이 1,529억 순매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88억, 57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다소 우세. 에코프로(+10.57%), 에코프로비엠(+9.48%)이 호실적 모멘텀 지속 등에 연일 강세를 이어갔으며, 카카오게임즈(+7.35%), 펄어비스(+6.78%), 에이치엘비(+2.71%), 스튜디오드래곤(+2.56%), 엘앤에프(+2.05%), 아프리카TV(+1.90%), 셀트리온헬스케어(+0.71%), 천보(+0.67%), CJ ENM(+0.48%) 등이 상승. 반면, 원익IPS(-1.62%), 휴젤(-1.36%), 알테오젠(-1.23%), 위메이드(-1.20%), SK머티리얼즈(-0.97%), 씨젠(-0.93%), 솔브레인(-0.72%), 셀트리온제약(-0.42%) 등이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비금속(-2.97%), 금속(-2.43%), 방송서비스(-1.39%), 의료/정밀 기기(-1.30%), 출판/매체복제(-1.28%), 운송(-1.15%), 제약(-1.14%), 통신방송서비스(-1.12%), 음식료/담배(-1.08%), 화학(-1.04%), 컴퓨터서비스(-0.93%), 섬유/의류(-0.81%)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일반전기전자(+3.95%), 디지털컨텐츠(+2.41%), 기타 제조(+1.61%), IT S/W & SVC(+1.26%), IT 부품(+0.88%), 운송장비/부품(+0.55%) 업종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1,001.35P(-0.08P/-0.01%)
'이슈 테마 스케쥴 > 이슈.테마.스케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1.10(수)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1.09 |
---|---|
2021.11.09(화)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1.08 |
2021.11.05(금)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1.04 |
2021.11.04(목)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1.04 |
2021.11.03(수), 이슈 테마 스케쥴 (0) | 2021.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