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마 전체 정리(총 2,000개 예정)/**관련주, **테마(일반)...

통신장비관련주, 37종목 NO.203

by goodpoint77777 2020. 12. 1.
728x90
반응형

203번 통신장비관련주입니다.

 

 

 

통신용 시험 및 계측장비, 중계기, 기지국안테나,

각종 관련 부품 등의 유무선 통신장비 관련 업체군들.

통신장비산업의 업황은 관련 서비스 사업자들의

네트워크 투자 추이와 스마트폰 등 기술 진화에 큰 영향을 받음.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투자 및 스마트폰 활성화에 따른

관련투자 확대로 수혜가 예상됨.

 


 

  • 동사는 1996년 6월 17일에 설립되었으며 2006년 8월 8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주식 상장함.
  • 동사는 LED 소자를 비롯하여 LED 소자를 이용한 BLU일반조명군, 모듈제품군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생산 판매하고 있음.
  • 종속법인인 곤산류명광전유한공사, Lumens VINA, 엘이디라이텍(주)등은 대부분 지배회사의 생산을 담당하고 있어 지배회사의 사업내용과 일치함.

 

 

 

 

 

  • 2000년 10월에 설립된 이동전화중계기와 휴대인터넷중계기, 광전송장비 및 조명장치 관련제품의 제조, 판매 전문기업으로 2007년 5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통신장비 사업부문, 에너지사업부문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통신장비 부문은 광중계기, 인빌딩 중계기 등을 판매하고 에너지사업 부문은 LED조명을 주요 사업으로 함.
  • 당기말 현재 미국과 일본 현지법인 등 총 2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함.

 

 

 

 

 

 

  • 동사는 2000년 1월 5일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개발 및 제조 등의 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 동사 및 종속회사는 이동통신망의 액세스 망 장비영역에 속해 있으며, 무선통신 분야의 전송장비와 인빌딩 장비(디지털광분산장비)를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음
  • 국내의 경우 기간통신사업자가 주요 고객사이며 해외시장은 미국, 일본의 경우 현지 통신장비벤더를 경유하며 합작법인 등을 설립함.

 

 

 

 

 

  • 동사는 1998년 11월 5일에 설립되어 이동통신 및 유선통신 관련 네트워크 장비의 제조 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국내 이동통신 3사를 모두 고객으로 확보하고 유무선 통신의 액세스 및 코어 영역에 속하는 장비인 중계기와 유선전송장비를 주로 공급함.
  • 주력 수출 품목인 DAS의 시장 규모는 2016~2026년 사이 CAGR 12.1%의 견조한 성장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 1991년 1월에 설립되어 1994년 법인전환 후 2000년 3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무선통신장비 전문 제조 기업임.
  • 동사 및 종속회사는 무선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 및 부품류 등을 생산, 판매하는 RF사업과 스포츠조명, 실외조명, 실내조명등을 생산, 판매하는 LED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당기말 현재 12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중이며 RF사업은 5G 투자에 따른 수주 선점, LED사업은 경영 정상화를 목표함.

 

 

 

 

 

  • 동사는 2004년 설립되었으며, 해상 환경에서 데이터 통신서비스 및 위성 방송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해상용 위성 통신 안테나 및 위성 방송 수신안테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 동사는 전 세계60여 개국에 자체 브랜드로 수출하고 있으며, 550개 이상의 Dealer 및 고객을 확보하고 있음.
  • 현재 동사의 제품은 해상용에 집중되어 있으며, 적용 범위를 해상용에서 육상용,항공용 및 국방 관련사업으로 확대하고 있음.

 

 

 

 

 

 

  • 1999년 설립된 동사는 RF중계기, 광중계기 등 통신장비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통신 음영지역에서 미세한 기지국 신호를 증폭하여 재 방사하는 이동통신중계기와 휴대인터넷(WiBro) 중계기, 디지털방송통신 시스템 등을 국내외 이동통신사업자 등에 공급하고 있음.
  • 당기말 현재 CS JAPAN 등 2개사를 연결대상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동사는 1999년 설립되어 201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 이동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각종 장비 및 부품류 등을 생산, 판매하는 RF 부문과 신약개발 및 액상, 타정, 환제, 캅셀 등 다양한 제형의 제품을 생산, 판매 하는 제약ㆍ바이오 부문으로 구성됨.
  • 동사는 2015년부터 5G시장을 목표로 정밀급 고주파 커넥터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5G 관련 FTTA Solution 개발 및 영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음.

 

 

 

 

 

 

  • 동사는 2007년 10월 설립되어 2017년 3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통신부품 제조업.
  • 주요사업은 금속가공 기술 및 시스템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각종 통신장비, 핸드폰, 반도체장비 등의 함체, 구조물, 전기구동장치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음.
  • 종속회사를 통하여 베트남 공장 및 설비 투자로 인해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 부품을 일부 양산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개발 및 양산을 준비중.

 

 

 

 

 

  • 2009년 설립된 동사는 그룹웨어, 협업 솔루션 등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소프트웨어 사업부문과 유무선네트워크 장비 및 네트워크솔루션을 공급하는 네트워크 사업 부문으로 나뉘어짐.
  • 단, 2020년 1월 20일 이사회에서 네트워크 사업 중단을 결의하였고, 결의 이후 협의를 통해 계약 이관, 자회사 지분 및 자산 매각 등 후속조치를 완료함.
  • 경쟁업체 대비 최신의 IT 트렌드를 반영한 기능 추가 및 UI/UX를 개선함.

 

 

 

 

 

  • 동사는 공용 무선기지국(중계망) 전문 업체로서 지상, 지하철 및 각종 터널 구간의 공용 무선기지국(중계망)을 시공, 판매, 운용 및 유지 보수 사업을 영위함.
  •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지국(중계망) 공용화를 위한 기지국(중계망) 시설을 구축하고 각 사업자가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용 유지보수하고 있음.
  • 통신 품질을 유지 또는 일부 개선하는 정도의 안정적인 운용을 하는 추세이고, 일부 지역에서 신규수요가 예상됨

 

 

 

 

 

  • 동사는 유무선 통신용 Power Transistor 및 방산용 Power Amplifier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9년 8월 20일에 설립됨.
  • 주력 제품은 GaN 트랜지스터와 GaN 전력증폭기이며, 동사 매출액의 90% 이상 차지함. 동사의 가장 큰 경쟁력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GaN 트랜지스터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임.
  • GaN on Diamond 소자를 사용한 고출력 반도체 전력증폭기를 개발하여 사업영역 확대하고 있음.

 

 

 

 

 

  • 동사는 2007년 2월 14일 설립되었으며, 광융착 접속기를 제조, 판매, 수출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현재 주요 제품군인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필두로, 광통신 전 부문의 제품군을 개발하여 광통신 토털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중장기 계획을 갖고 있음.
  • 광통신산업과 전기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OTDR과 PA제품군 개발을 지속적으로 해 오고 있으며, Power Analyzer의 경우 2020년 영업활동을 계획하고 있음.

 

 

 

 

 

  • 동사는 초고속통신망 광 가입자 망의 핵심부품인 PLC 광 파워 분배기와 PLC 광 파장 분배기를 미국, 일본, 중국시장과 국내 KT, SK broadband 그리고 LG U+에 공급함.
  • 주력 제품 사업부문은 데이터센터용 AWG, 통신용 AWG, 스플리터, 광 파장 파워 계측기로 분류되며, 상품으로는 5G MUX를 판매.
  • 데이터 센터 내부 트랜시버에 장착되는 AWG 제품과, PLC 칩을 사용한 광 파장/파워 측정기를 개발.

 

 

 

 

 

  • 정보통신장비(AP, 광케이블 등)를 개발, 생산, 판매하며 국내 3대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가정 내 단말장비의 제조, 공급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 통신용 광케이블을 유럽, 아프리카 등 해외시장에도 지속 판매 중이며 기존 유선전화 교환기를 IP화한 TDXAGW 및 군위성통신장비 사업을 수행함.
  • 4차산업혁명을 주도하게 될 핵심인프라인 무선 5G와 10기가급 인터넷의 구축 확대에 따라 통신장비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