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시장 간단 브리핑/상승 종목&하락종목

2023.04.14(금),코스피.코스닥.테마시황,상승종목등...미코바이오메드, 테라사이언스, 케스피온, 박셀바이오, 휴맥스홀딩스, 포스코엠텍, 진매트릭스, 삼아알미늄, 포스코인터내셔널, 큐리언트.....

by goodpoint77777 2023. 4. 14.
728x90
반응형

4월-14일-금요일

 


 

 

- 코스피시장-

4/14 KOSPI 2,571.49(+0.38%) 美 PPI 시장 예상치 하회 등 인플레 둔화 추세 확인(+),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원/달러 환율 이틀째 급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PPI 둔화 및 고용지표 둔화 속 긴축 종료 기대감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상승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580.10(+18.44P, +0.72%)으로 상승 출발.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줄였고, 오전 한때 하락 전환해 2,560.53(-1.13P, -0.04%)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상승 전환해 점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후 들어 2,581.74(+20.08P, +0.78%)에서 장중 고점을형성. 장 막판 으로 갈수록 상승폭을 재차 반납했고, 결국 2,571.49(+9.83P, +0.38%)에서 거래를 마감.

美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 확인 속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6거래일 연속 상승. 기관이 이틀째 순매수, 외국인은 1,800억 넘는 순매수를 기록. 개인은 6거래일 연속 순매도. 원/달러 환율이 금일 11원 넘게 급락, 전일 15.3원 급락에 이어 이틀 연속 급락한 점도 외국인 수급에 우호적인여건을 형성.

지난밤 발표된 미국의 3월 PPI(생산자물가지수)는 계절조정 기준 전월대비 0.5% 하락, 시장 예상치(0.0%)를 하회. 이는 2020년 4월(-1.2%) 이후 최대 하락률. 비계절조정 기준 3월 PPI는 전년동월대비 2.7% 상승, 시장예상치(3.0%)를 하회했고, 전월(4.9%) 수치도 하회. 현지시간으로 12일 美 3월 CPI가 둔화한 데 이어 PPI도 하락하면서 인플레이션 둔화에 힘이 실리는 모습.

美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전주대비 1만1,000명 증가한 23만9,000명을 기록. 이는 시장예상치 23만5,000명을 웃돈 수치로 지난해 1월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 시장에서는 美 IT 업계로부터 촉발된 정리해고 움직임이 각 업계로 확산하는 등 최근 고용시장의 변화가 증가의 배경이된 것으로 분석. 다만, 시장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고용시장 악화의 기준이 27만건으로 아직 고용시장이 악화됐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고 지적.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현지시간으로 13일 美 워싱턴 DC에서 인터뷰를 통해 시장의 피벗 기대가 과하다고 지적. 아울러, 연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전망대로 진행된다고 확신한다면 우리의 태도 변화를 생각하겠지만, 인플레이션 경로를 확신하기에는 여전히 이르다고 밝힘.

일본, 홍콩,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동반 상승.

수급별로는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870억, 2,398억 순매수, 개인은 4,103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개인이 5,679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638계약, 4,164계약 순매도.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11.5원 하락한 1,298.9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1.6bp 상승한 3.215%, 10년물은 전일 대비 1.3bp 상승한 3.286%를 기록.

3년 국채선물은 105.14에서 보합 마감. 외국인이 1,902계약 순매도, 금융투자와 연기금 등을 비롯한 기관은 1,923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5틱 내린 114.48 마감. 금융투자와 은행은 각각 921계약, 730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1,411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포스코퓨처엠(+13.04%), POSCO홀딩스(+6.26%), KB금융(+3.07%), 카카오(+1.68%), NAVER(+1.32%), 신한지주(+1.29%), 삼성물산(+1.01%), SK하이닉스(+0.68%),삼성바이오로직스(+0.25%) 등이 상승. 반면, 셀트리온(-2.22%), 삼성전자(-1.51%), 기아(-1.50%), 현대차(-1.41%), LG(-0.97%), 삼성SDI(-0.91%), LG에너지솔루션(-0.83%), SK이노베이션(-0.68%) 등은 하락. LG화학은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비금속광물(+9.65%), 철강/금속(+4.72%), 건설(+1.89%), 유통(+1.66%), 의료정밀(+1.55%), 금융(+1.40%), 서비스(+1.28%), 기계(+1.24%), 화학(+0.89%), 전기가스(+0.88%), 보험(+0.72%) 등이 상승. 반면, 전기/전자(-0.97%), 운수장비(-0.51%), 의약품(-0.13%), 음식료(-0.02%), 섬유/의복(-0.02%)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571.49P(+9.83P/+0.38%)

 


- 코스닥시장-

4/14 KOSDAQ 903.84(+1.07%) 美 인플레 둔화 추세 확인(+), 기관·외국인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PPI 둔화 및 고용지표 둔화 속 긴축 종료 기대감 등에 상승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902.56(+8.31P, +0.93%)으로 상승 출발. 장 초반 906.69(+12.44P, +1.3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다소 반납. 904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오후 한때 900.70(+6.45P, +0.7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장 후반 재차 상승폭을 다소 키운 끝에 903.84(+9.59P, +1.07%)에서 거래를 마감.

기관과 외국인의 순매수등에 코스닥지수는 이틀째 상승. 코스닥지수는 지난해 5월 초 이후 11개월여 만에 종가기준 900선을 상회. 美 PPI 및 CPI 발표 이후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 확인 속 Fed의 긴축 우려 일부 완화 등이 상승요인으로 작용.

에코프로비엠(+3.35%), 에코프로(+0.66%) 이 사흘만에 반등했고, 엘앤에프(+5.72%)는 현대차그룹 배터리 합작법인(JV) 초기 공급 협력사 선정 소식 등에 상승. JYP Ent.(+5.46%), 에스엠(+3.74%) 등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테마도 상승.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3.75%), HLB(-1.46%), 셀트리온제약(-1.79%) 등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 관련주는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834억, 76억 순매수, 개인은 77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다소 우세. 엘앤에프(+5.72%), JYP Ent.(+5.46%), 더블유씨피(+5.46%), 에스엠(+3.74%), 에코프로비엠(+3.35%), 펄어비스(+1.29%), 알테오젠(+0.96%), 에코프로(+0.66%), 카카오게임즈(+0.48%) 등이 상승. 반면, 케어젠(-6.28%), 삼천당제약(-3.88%), 셀트리온헬스케어(-3.75%), 셀트리온제약(-1.79%), HLB(-1.46%), 레인보우로보틱스(-0.90%), 리노공업(-0.43%)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금속(+5.08%), 기타서비스(+3.37%), 오락문화(+2.72%), 일반전기전자(+2.49%), IT부품(+2.42%), 운송(+2.37%), 컴퓨터서비스(+1.96%), 출판/매체복제(+1.86%), 디지털컨텐츠(+1.70%), 음식료/담배(+1.51%), 방송서비스(+1.38%), 건설(+1.31%) 등이 상승. 반면, 유통(-1.64%), 반도체(-0.86%), 의료/정밀기기(-0.40%)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903.84P(+9.59P/+1.07%)

특징 테마

 

특징테마 이 슈 요 약
테마시황 ▷정부 디지털플랫폼정부 세부 청사진 발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등 테마 상승.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줄기세포, 제약업체, 면역항암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제약/바이오 관련주 테마 상승.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코로나19 테마도 상승.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재정 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비철금속/ 리튬/ 니켈 테마 상승.

▷엔터주 1분기 실적 호조 기대감 지속 등에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 상승.

▷주요 조선사 올해 흑자전환 기대감 지속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정부, 서해 해상 송전망건설 추진 소식에 전선/ 전력설비 테마 상승.

▷애플 북스, 日 '세로 읽기 만화' 서비스 개시 및 누누티비 폐쇄 소식 등에 웹툰/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면세점 매출 급증 소식 등에 면세점 테마 상승.

▷美 은행주 상승 속 은행 테마 상승.

▷美 IRA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 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폐배터리 테마 등도 상승.

▷이 외 증시 상승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캐릭터상품, 북한 광물자원개발, 종합상사, 마리화나(대마), 철강 주요종목, 건설 중소형, 건설기계, 철강 중소형, 셰일가스, 모듈러주택, 제4이동통신, 리비안(RIVIAN), 전자 결제(전자화폐), 강관업체, 풍력에너지, 건설 대표주, 황사/미세먼지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美 8개시, 현대차그룹에 소송 제기 속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지난해 韓 반 도체 장비 매출 전년대비 약 14% 감소 속 반도체 장비 테마 하락. 반도체 재료/부품, 반도체 대표주(생산), 시스템반도체 등 여타 반도체 테마도 하락.

▷이 외 전기자전거, 자전거, CCTV & DVR, 화학섬유,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보안주(물리),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미용기기, 우주항공산업, 스마트카, 마이크로 LED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 챗GPT 등) 등 정부 디지털플랫폼정부 세부 청사진 발표 소식 등에 상승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함께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 보고회를 개최했음. 이번 보고회는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세부 청사진과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보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정부는 챗GPT 등 민간의 인공지능(AI) 인프라에 정부 문서, 보도자료를 학습시켜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 만든다고 밝힘. 이어 정부 서비스에 필요한 첨부서류를 모두 없애 연간 2조원을 아끼고, 공공부문의 종이 사용량을 50% 감축할 계획이라고 설명.

▷아울러 국세는 홈택스, 지방세 위택스, 복지신청은 복지로 등 각각의 공식 사이트를 외우고 찾아다닐 필요 없이, 한 곳에서 하나의 ID로 모든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범정부 통합서비스 창구를 구축할 방침이며, 보도자료와 민원서식 등 정부 문서를 생성 단계부터 AI가 읽을 수있는 방식으로 저장해 공개하고 챗GPT 등 민간의 초거대 AI 인프라에 내부행정시스템 생성문서, 보도자료를 학습시켜 정부 전용 초거대 AI를만든다고 밝힘. 이에 올해 3,901억원의 예산 투입을 시작으로 초거대AI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낼 계획임.

▷이 같은 소식에 뷰노, 모아데이타, 루닛, 플리토, 마음AI, 딥노이드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AI 챗봇(GPT 등) 테마 및 오파스넷, 광무, 데이타솔루션, 포스코DX등 SI(시스템통합)/NI(네트워크통합) 테마가 상승.
엠폭스(원숭이두창)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 상승
▷최근 방역당국이 엠폭스의 위기경보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한가운데, 질병관리청은 이날 대구에 거주 중인 내국인이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 환자가 됐다고 밝힘. 해외여행력은 없지만 잠복기 내 위험노출력이 있고 의심증상도 있어 의사환자로 분류됐고 이후 유전자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설명.

▷한편, 최초 5명 확진자는 모두 해외에서 감염된 채로 들어왔거나 이와 관련된 감염이었는데, 지난 7일 이후 일주일 새 해외여행력 없는 확진자가 5명 잇따라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미코바이오메드, 케스피온, 랩지노믹스, 진매트릭스, 녹십자엠에스 등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관련주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제약/바이오 섹터의 분위기 전환은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며, 코스피 200 헬스케어, 코스닥 150 헬스케어 지수 모두 동반 상승 중이라고 밝힘. 셀트리온의 서정진 회장 복귀, 한올바이오파마의 항FcRn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 HL161 중국 임상 3상성공, 알테오젠·레고켐바이오發 호재 등이 최근 한 달간 상승 반전에 성공했던 이유라고 설명. 여기서 특징적인 것은 가시성이 높은 파이프라인들을 가진 알테오젠, 레고켐바이오, 한올바이오파마의 임상 3상 진척으로 섹터 내 주가가 크게 회복되며,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까지 상승을 이끌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아울러 2분기 집중된 FDA 허가 일정, 최초 승인 약물들의 등장으로 미국도 움직일 준비가 되었다고 밝힘. 2분기부터 ‘23년 FDA로부터 승인을 받을 수 있는 약물 22개가 대기 중이며, 적응증 추가를 기다리는 제품 또한 14개가있다고 설명. PDUFA(처방의약품 신청자 수수료 법)에 따라 일정이 확정된 제품들 중 2분기 주목할 만한 제품들은 6개가 있어 4월부터 중요한시점이 될 것으로 전망.

▷바이오 학회 기대감도 지속되는 모습. 현지시간으로 오는 14~19일까지 美 올랜도에서 미국암학회(AACR)가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한미약품은 연구결과 7건을 포스터로 발표할 예정이며, 바이젠셀, HLB, 유틸렉스 등 다수의 국내 바이오텍이 학회에참여할 예정.

▷한편, 신라젠은 고형암 치료제 국내 1상 IND 승인 소식이 전해졌으며, 박셀바이오는 진행성 간암 치료제 Vax-NK/HCC가 식약처로부터 진행성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았음. EDGC는 제트 스코어 기 반 비침습 산전 검사 관련 국내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고, 현대바이오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CP-COV03'의 임상 2상에서 효능과 안전성을 모두 확인했다고 밝힘.

▷이같은 소식 속 박셀바이오, 신라젠, 메드팩토, 큐리언트, 인트론바이오, EDGC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비철금속/ 리튬/ 니켈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재정 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15∼16일 홋카이도 삿포로에서 열리는 G7 기후·에너지·환경 장관회의에서 중요 광물의 중국 의존을 줄이고자 회원국 7개국이 광산 공동개발 등에 1조엔 이상 재정을 지원하는 행동계획을 마련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행동계획은 올해 G7 의장국인 일본의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이 제안해 G7 환경장관 공동성명과 별도로 채택할 것으로 알려짐.

▷아울러 전기차 배터리 핵심원료인 니켈과 리튬의 연간 수입액이 전체 수입액 중 약 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원자재의 특정국 편중도 도 높아 공급망 다변화를위한 정책적인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포스코엠텍, 삼아알미늄, 포스코인터내셔널, 이엔플러스, 금양 등 비철금속/니켈/리튬 테마가 상승.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엔터주 1분기 실적호조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KB증권은 하이브에 대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658억원(+63.5% YoY, -12.7% QoQ), 영업이익은 503억원(+35.6% YoY, -1.3% QoQ, 영업이익률 10.8%)을 기록하며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417억원을 20.5% 상회할 것으로 전망. 1분기에는 TXT 미니 5집 289만장, 지민 솔로 앨범 157만장, 뉴진스 싱글 1집 131만장 등 사상 최대 앨범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언급.

▷하나증권은 전일 보고서를 통해 기존 아티스트들의 믿기 힘든 수준의 앨범 판매 성장에 더해 올해는 역대 최고 수준인10개의 신인 그룹들이 데뷔하며 기대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SM/JYP/YG 뿐만 아니라 BTS 군입대가 시작되고 있는 하이브 조차 사상 최대였던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실적이 예상된다고 밝힘.

▷지난 11일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Q23 엔터4사의 앨범은 총 1,653만장이판매되면서 역대 분기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밝힘. 주로 기여한 아티스트로는 TXT, 뉴진스, NCT 127, 부석순(세븐틴), 트와이스, 지민(BTS) 등으로 BTS, 블랙핑크 없이도 일궈낸 성과라고 언급했음.

▷전일 언론에 따르면, 큐브엔터 소속 글로벌 대세 아이돌 그룹 '(여자) 아이들'이 오는 5월에 컴백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하이브, JYP Ent., 팬엔터테인먼트, 에스엠 등 엔터테인먼트/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주요 조선사 올해 흑자전환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주요 조선사들이 올해 적자를 벗어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신규 건조 선박 가격을 보여주는 신조선가지수는 지난해 초 155선으로 내려갔다가 이달 들어 166까지 올랐으며, 액화천연가스(LNG)선과 컨테이너선의 수주 잔량 도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실적과 주가 상향 추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아울러 유럽에서 탄소배출량 기준이 신설되는 등 선박 수주와 관련한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점도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형 업체들의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기 때문에대형 조선사들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음.

▷한편, 현대미포조선은 아프리카 소재 선사와 2,308.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21%) 규모공급계약(P/C선 4척) 체결(계약기간:2023-04-13~2026-04-30) 공시.

▷이 같은 소식에 현대미포조선,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태광, 동성화인텍, 동방선기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전선/ 전력설비 정부, 서해 해상 송전망 건설 추진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지방에서 남아도는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해서해안 광역 해상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할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산업통상자원부는 금일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주재로 전력망 혁신 전담팀(TF) 1차 회의를 개최했으며, 회의에서는 지난 1월 발표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한국전력의 전력망 보강 계획인 '제10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을 중심으로 전력계통 관련 현안 및 대응 방안이 논의됐음.

▷특히,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집중된 지역( 호남권)은 봄·가을처럼 전력 소비가 적은 기간에 남는 전력을 전력 수요가 많은 지역(수도권)으로 전송해야 하는 필요성을 파악하고, 서해해상을 활용해 호남권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안이 집중 논의됐음.

▷이 밖에 동해안 지역과 수도권 지역을 잇는 육상 송전선로 준공 시점(1단계 2025년 6월·2단계 2026년 6월)까지 발생할 수 있는 송전 제약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 등도 논의됐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대한전선, 대원전선, 현대일렉트릭, 제룡전기 등 전선/전력설비 테마가 상승.
웹툰/ 영상콘텐츠 애플 북스, 日 '세로 읽기 만화' 서비스 개시 및 누누티비 폐쇄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애플이 13일 일본에서 '세로 읽기 만화' 페이지 서비스를 개시한 것으로 전해짐. '세로 읽기 만화'란 일본 특유의 세로 읽기를 반영, 세로로 스크롤해 읽을 수 있도록 최적화된 웹툰 서비스이며, 애플 북스의 세로 읽기 만화 서비스에는 한국의 케나즈(KENAZ)가 시리즈를 독점 배포하는 것으로 알려짐.

▷한편,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누누티비'가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으로 전해짐. 이러한 결정은 정부의 압박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되고 있으며, 누누티비 측은 트래픽 증가로 인한 비용 문제도 폐쇄 결정의 요인이라고 설명. 시장에서는 누누티비의 폐쇄에 따라 OTT, 콘텐츠 제작업체의 수익 저하가 만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누누티비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비롯해 영화, 방송 프로그램 등 콘텐츠를 불법으로 제공해 왔음.

▷이 같은 소식 속 키다리스튜디오, 디앤씨미디어, 대원미디어, 핑거스토리, 애니플러스, 캐리소프트 등 웹툰,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
면세점 면세점 매출 급증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해외여행이 다시 본격화하면서 올해 1분기 국내 면세점의내국인 매출 신장률이 최대 9배까지 늘어난 것으로 전해짐. 백화점 명품 매출 신장률이 주춤하게 된 주원인으로 해외여행 증가에 따른 소비처 다변화가 꼽혔는데, 면세점으로 구매가 분산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알려짐.

▷전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내국인 매출은 지난해 1분기 대비 롯데면세점이 400%, 신세계면세점이 680%, 현대백화점면세점이 854% 증가. 그 중 루이비통, 샤넬, 에르메스, 구찌, 프라다 등 롯데면세점 패션 카테고리에 속한 상위 20개 브랜드의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90% 늘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글로벌텍스프리, JTC, 신세계, 호텔신라 등 면세점 테마가 상승.
반응형

특징 종목(코스피)

 

특징종목 이슈요약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26,500원
(
+19.10%)
1분기 영업이익 호조 및 전 사업 부문 밸류체인 강화 기대감 등에 급등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매출액은 9.1조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7.8% 감소할 것으로 전망. 철강 부문의 시황 회복 기조가 나타나고 있으며 2022년 냉천 범람 영향의 기저효과로 인해 2분기부터 외형 성장 추세로 복귀가 가능하다고 밝힘. 아울러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3.7% 증가한 2,673억원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부문에서미얀마 가스전은 투자비 회수비율이 가장 낮은 분기이지만 판가가 상승하고 있어 전년동기대비 증익이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친환경’ 가치를 중심으로 전 사업 부문 밸류체인 강화가 기대된다고 밝힘. 에너지 부문은 가스전 추가 확보, 터미널 사업 확대 등의 밸류체인 강화와 함께 재생에너지 및 수소로의 확장을 계획 중이며, 소재는 그린에너지용 제품 Mix 변화와 이차전지소재 조달 및 친환경차 부품 생산 능력을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0,000원[유지]
이엔플러스
(074610)
13,990원
(
+10.07%)
자체 개발 전극 양산품 공급 개시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2차전지 전문 벤처기업 그리너지로부터 최근 전극 제품에 대한 양산 초도품 품질 승인을 획득하고 1차 납품을 시작했다고 밝힘. 지난해 5월 그리너지와 200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올해 1월 양산 승인을 위한 테스트용 샘플을 제공했으며, 지난달까지 약 3개월간의 평가 기간을 거쳐 결과 수령 후 본격 납품을 시작했다고 언급.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동사의 전극을 활용한 2차전지는 충·방전 시험에서 1C(1시간 충전) 기준 99.8%의 충전 효율을 보였으며, 5C 기준 충전 효율은 94.5%를 기록했다고 밝힘. 이와 달리 타사 제품은 1C에서 95.3% 충전율을 기록했으며, 5C에서는 87.5%로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다고 설명.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지난달 방열 소재의 공급 개시에 이어, 이번에 전극 제품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고 납품을 시작했다”며 “두 제품 모두 지속적인 공급이 이어질 예정인 만큼, 올해부터 이차전지 관련 매출 인식 본격화로 본격적인 2차전지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힘.
한신공영
(004960)
8,130원
(
+6.00%)
위례신도시트램 사업 착공 소식 속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 13일 위례 노면전차(트램) 건설공사 착공식을가졌다고 밝힘. 선홍규 대표는 "위례트램선 개통은 지역 교통난을 획기적으로 해소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며, 무공해 저탄소 철도의 도입은 친환경을 추구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고자 하는 동사의 경영철학과도 부합한다"고 밝힘. 이어 "동사가 가진 도시철도건설의 풍부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 모든 과정에서 서울시 최초로 3차원 모델링 검증기법 BIM을 도입하고,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 등 최첨단 안전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덧붙였음.
▷한편, 위례트램 건설사업은 총 사업비 2,614억원을 투입해 연장 5.4km, 정거장 12개소(환승역 3개소)를 트램으로 연결하는 친환경 교통사업으로, 오는 2025년9월 개통·운행 예정임.
현대일렉트릭
(267260)
47,550원
(
+4.51%)
올해 수주 전망치 상향 및 1분기 양호한 실적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연초 제시되었던 2023년 수주 전망치가 기존 19.48억달러에서 26.34억달러로 35.2% 상향되었다고 언급. 2022년 연간 신규 수주 29.6억달러 대비 소폭 감소한 수준이지만 연초 제공한 보수적 시각에서 벗어나 우호적 시황의 흐름을 반영하는 수치를 제시했다는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판단.
▷아울러 1분기 매출액은 5,137억원(yoy +46.0%), 영업이익은 358억원(yoy +114.4%)으로 견조한 매출과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 가 : 48,000원 -> 58,000원[상향]
일성건설
(013360)
2,235원
(
+2.76%)
삼성전자와 277.50억원 규모 공사 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
▷삼성전자 주식회사와 277.5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99%) 규모 공급계약(기흥 남자기숙사 월계수동 환경개선공사) 체결(계약기간:2023-02-14~2023-10-30) 공시.
현대건설기계
(267270)
57,300원
(
+2.50%)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소폭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1조40억원(+8%, 이하 YoY), 영업이익은 614억원(+31.4%), 영업이익률은 6.1%(+1.1%p)로 컨센서스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4%, 15% 상회할 것으로 전망. 중국시장은 여전히 부진하지만 북미시장이 급증했고 유럽시장의 회복, 신흥시장의호조가 지속된 것으로 분석.
▷아울러 글로벌 소싱, 판매망 정비, 라인업 확대 등 성장 포인트가 많고, 계열사 교차판매, 엔진 수급 등 원가 절감 요인들도 있다며, 글로벌 M/S 증가의 여지들이 많다고 언급.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3,000원 -> 68,000원[상향]
GS건설
(006360)
21,800원
(
+2.35%)
1분기 양호한 실적 및 차별적인 분양 성과 달성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분기 매출액은 3.2조원, 영업이익은 1,687억원 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34.1%, +10.1%의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는 시장 컨센서스인 영업이익 1,669억원과 유사한 수치임. 총 매출액은 주택 매출 성장, 신사업 베트남 매출 인식, 자이씨앤에이 연결 편입 효과 등의 영향으로 30%대의 고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되며, 영업이익은 작년 1분기 주택 마진의 베이스부담에도 불구하고 마진이 베트남 개발을 포함한 신사업 부문의 이익 기여 확대로 전년대비 증가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
▷아울러 올해 들어 동사가 분양한 영등포자이 디그니티, 고덕자이 센트로, 휘경자이 디센시아 등의 청약 경쟁률도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면서 공급세대수 뿐만 아니라 분양률에 있어서도 차별적인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31,000원[유지]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이슈요약
테라사이언스
(073640)
4,035원
(
+29.95%)
이차전지 사업목적 추가 기대감 등에 상한가
▷전일 장 마감 후 이차전지 소재 제조·판매, 리튬 생산·판매, 염호개발·추출, 광물 자원개발·판매 등을 사업목적에추가하기 위한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이사회에서 결의했다고 공시.
박셀바이오
(323990)
57,800원
(
+29.89%)
진행성 간암 치료제 치료목적 사용승인 소식 등에 상한가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진행성 간암 치료제 Vax-NK/HCC가 식약처로부터 진행성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목적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치료목적 사용승인 제도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중대한 상황이나 대체치료수단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등에 놓인 환자에게 치료제의 품목허가를 받기 전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제도라고 언급.
▷이와 관련, 이제중 대표는 “치료목적 사용승인 제도를 통해 더 많은 말기암 환자에게 치료기회를 제공하겠다”며 “당사의 주력 파이프라인인 Vax-NK/HCC 치료제 외에 진행성 췌장암, 난치성 소세포폐암 등 신규 임상 역시 준비가 원활히 진행되고 있으며, Vax-NK 플랫폼을 확장하는 데 전념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신라젠
(215600)
6,850원
(
+16.30%)
고형암 치료제 국내 1상 IND 승인에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BAL0891의 단일요법 및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에 대한 국내 제1상 임상시험 계획(IND) 승인 공시. 이번 임상시험의 목적은 진행성 고형암이 있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단일요법 및 카보플라틴 또는 파클리탁셀과의 병용요법으로 투여하는 BAL0891의 안전성 및 내약성 평가와 BAL0891 단일요법 및 BAL0891-카보플라틴/파클리탁셀 병용요법의 최대내약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 및 RP2D(Recommended Phase 2 Dose) 추정 등임.
▷이 같은 소식에 동사의 최대주주인 엠투엔도시장에서 부각.
데브시스터즈
(194480)
65,100원
(
+14.61%)
<쿠키런:킹덤> 중국 흥행에 따른 실적 퀀텀 점프 기대감 등에 급등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월20일 중국 외자판호를 발급받은 <쿠키런:킹덤>은 텐센트와 창유게임즈가 공동 퍼블리싱을 맡는 가운데, 최근 판호를 받은 게임들이 CBT, 사전예약, 출시까지의 기간이 매우 빨라졌고, 2021년 9월 퍼블리싱 계약을 공시 후 현지화 작업이 먼저 진행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이어 지역/유저 가리지 않는 대중성을 보였던 <쿠키런:킹덤>은모바일 캐주얼 게임의 인기가 높아진 중국에서의 큰 성과가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쿠키런:킹덤> 중국 성과는 연평균 일매출 10억원수준으로 추정한 가운데, 퍼블리셔로부터 수취하는 RS를 25% 수준으로 가정했을 때, 출시 후 1년간 동사가 인식하게 될 순매출은 약 1,000억원 수준이라고 밝힘. 또한, <쿠키런:오븐스매시>는 6월 출시를 예상하며 2023년 연평균 일매출은 5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7,000원 -> 100,000원[상향]
위지윅스튜디오
(299900)
17,360원
(
+11.28%)
주당 3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보통주 1주당 3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3-05-03, 상장예정:2023-05-26) 공시.
유안타제8호스팩
(367480)
2,750원
(
+10.00%)
율촌과 소멸합병 상장예비심사 승인 속 거래재개 첫날 급등
▷전일 장 마감 후 (주)율촌과 합병 관련 상장예비심사결과 통지(승인) 공시. 이에 지난해 11월부터 거래가 정지됐던 동사의 주권매매거래가 금일 재개됨.
▷한편, 동사는 지난해 11월 강관의 조관 및 정밀 인발 가공 업체 (주)율촌에 피흡수합병(SPAC 소멸합병)키로 결정된 바 있음.
랩지노믹스
(084650)
6,810원
(
+9.13%)
美 시장 진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미국 클라이랩 인수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지난 1월 루하프라이빗에쿼티로 경영진이 교체된 후 미국 클리아랩(CLIA LAB) 인수를 통해 미국 진출 청사진을 그리고 있으며, 이를 위해 미국 현지에 법인을 설립하고 인수전담팀을 구성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국내의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갖춘 제품 및 서비스를 미국으로 공급해 한국 진단의 미국 진출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미국 진단시장에서 머니타이징이 가능한 유일무이한 한국기업으로 올라설 것”이라고밝힘.
▷아울러 동사는 에이비온이 발행한 전환사채를 인수한다고 밝힘. 동사는 최근 노보믹스의 유상증자에 참여한 것에 이어 에이비온의 전환사채를 인수함으로서 미국 진출 파트너들과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뛰어난 기술력과 성장성을 가진 에이비온에 투자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향후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
코아스템켐온
(166480)
8,550원
(
+8.92%)
루게릭병 줄기세포치료제 ‘뉴로나타-알주’, 기존 치료제 대비 생존기간 우월 확인 소식에 강세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시판중인 루게릭병 줄기세포치료제 ‘뉴로나타-알주’의 시판 후 관찰데이터(PMS)를 활용한 생존 기간 분석 논문을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Frontiers)에 등재했다고 밝힘. 이번 논문은 동사가 현재 진행 중인 임상 3상의 환자요건과 유사한 157명을 추출해 추가 분석한 결과를 등재한 것으로, 해당 논문에서 적용된 임상통계분석방법은 대상환자들의 중간값을비교해 추가생존기간을 분석하는데 무치료 환자군의 중간값인 79번째 환자의 생존기간은 24개월인 반면, 뉴로나타-알주를 투여한 환자군의 79번째 환자는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다고 설명.
▷이번 보고된 추가생존기간은 지난해 FDA의 승인을 받은 아밀릭스사의 렐리브리오(Relyvrio)의 추가생존기간인 10.5개월보다 우월한 결과로, 임상 성공시 현재까지 FDA 승인된 치료제 중 가장 우수한 효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밝힘.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번 논문에 등재된 내용을 오는 9월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는 국제신경학회에서 발표해 뉴로나타-알주의 국제적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라며, “이번 추가생존기간 분석결과는 현재 진행 중인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 3상 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의미있는 결과”라고 밝힘.
메드팩토
(235980)
28,350원
(
+7.18%)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요법 글로벌임상 3상 기대감 등에 강세
▷최근 머크(MSD)와 에자이가 전이성 직장결장암(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한 키트루다-렌비마 병용요법 임상 3상을 중단한 가운데, 경쟁 약물의 임상 3상이 중단되면서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동사의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요법 임상시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한편, 동사 관계자는 "전이상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순조롭게 준비하고 있다"며 "올해 상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글로벌 임상 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밝힘.
코윈테크
(282880)
32,500원
(
+6.38%)
2차전지 자동화시스템 공급계약 체결 등에 강세
▷260.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2.93%) 규모 공급계약(2차전지 자동화시스템) 체결(계약기간:2023-04-13~2025-10-12)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2차전지 시장이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2차전지 소재 뿐만 아니라 장비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면서 당사의 수주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공장 증축과 올해 2월 신규 공장 취득을 마무리 하면서 생산능력이최대 5,000억원까지 늘어난 만큼 증가하고 있는 수주 물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역대급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엘앤에프
(066970)
314,000원
(
+5.72%)
현대차그룹 배터리 합작법인(JV) 초기 공급 협력사 선정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현대자동차그룹 배터리 합작법인(JV)에 초기 공급 협력사로 선정됐다며, 현대차그룹이 합작을고려하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JV용 양극재를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해짐. 이에 따라 동사는 총합 55~65GWh에 이르는 북미 배터리 법인의 초기 양극재 공급을 전담할 예정이라고 알려짐.
▷한편, 동사의 최대주주인 새로닉스도 시장에서 부각.
엘오티베큠
(083310)
15,320원
(
+5.58%)
올해 사상 최대 실적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은 4,645억원(+24% YoY), 영업이익은 507억원(+70% YoY)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파운드리 및 연결 법인의 실적 호조가 메모리 부문의 부진을 상쇄하고, '태양광 부문의 실적 급증' 및 '일회성 비용 개선'이 사상 최대 연결 실적으로 이어질 것 이라고밝힘. 아울러 분기 실적은 1Q23부터 3Q23까지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줄 것으로 전망.
▷또한, 분기 실적 호조, 태양광 부문의 실적 급증,삼성전자향 메모리 점유율 상승과 파운드리 신규 진입, EUV용 진공펌프 국산화 등이 동사의 주가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이녹스첨단소재
(272290)
46,500원
(
+4.49%)
1분기 저점 통과 후 실적 반등 전망 등에 상승
▷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고객사의 재고조정 여파로 상반기의 전년대비 매출 하락은 불가피할 전망이지만, 작년 매출비중의 59%를 차지했던INNOLED 사업부는 고객사의 재 고조정이 완료된 이후 빠른 실적 반등을 보일 것으로 전망. 특히, 현재 고객사의 재고조정 상황은 이미 주가에 반영되었으며, 전방산업 확장기에 진입할 것으로 판단되어 적용 밸류에이션 상향 조정함.
▷아울러 하반기에는 성수기 효과와 함께 폴더블 스마트폰과 아이폰 신규 모델 출시 효과가 존재하므로 하반기 실적은 상반기 대비 고정비 부담 감소와 함께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9,000원 -> 56,000원[상향]
JTC
(950170)
4,210원
(
+3.95%)
22년(2월결산) 실적 적자폭 축소, 올해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22년(02월결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57.93억원(전년대비 +156.27%), 영업손실 151.63억원(전년대비 적자폭 축소), 순손실 146.98억원(전년대비 적자폭 축소).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10월 일본 내 무비자 입국이 허용되며 한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했고 직전연도 대비 영업손실 폭이 크게 줄었다"며, "매출액과 이익 모두 빠르게 회복되고 있어 올해는 확실한 실적 턴어라운드 및 관리종목 해제를 기대한다"고 설명.
아이큐어
(175250)
3,485원
(
+3.87%)
국소마취제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 해외 공략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전문의약품인 국소마취제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의 해외 공략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밝힘. 특히, 리도카인 카타플라스마를 4년 간 130만달러(약 17억원) 규모로 칠레의 발마(Valma)社에 공급키로 했으며, 최근 3개년 동사의 평균 해외 매출이 1억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이 계약만으로 400% 이상 매출이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짐.
SBI인베스트먼트
(019550)
1,140원
(
+3.45%)
트위터, 이토로와 협력 소식 속 SBI그룹 이토로 투자 이력 부각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트위터가 주식·암호화폐(코인) 거래 사이트 ‘이토로’(eToro)와 손잡고 투자정보 제공 기능을 확대했다고 전해짐. 트위터는 전일(현지시간)부터 ‘캐시태그’(cashtags) 기능에서 이토로 사이트의 투자 정보를 보여주기 시작했다며, 트위터 이용자는 이를 통해 해당주식 등 금융자산에 곧바로 투자를 할 수 있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SBI그룹이 이토로에 투자한 바 있다는 사실이 시장에서 부각.
범한퓨얼셀
(382900)
28,150원
(
+2.93%)
울산에 국내 최초 화물차용 대용량 수소충전소 준공 소식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최근 울산 상개화물자동차휴게소가 국내 최초로 화물차용 대용량 수소충전소를 준공해 14일부터 SK에너지가 정식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힘. 지난 2021년 하반기 계약 이후 약 1년 반 만에 완공된 울산상개 수소충전소는 국비 40억원을 포함해 총 57억원이 투입된 프로젝트이며, 시간당 80kg의 대용량 수소 충전이 가능한 시설로, 이는 시간당 20대의 수소 승용차와 하루 48대의대형 화물차를 충전할 수 있는 규모임.
▷동사 관계자는 “구축 이력들을 바탕으로 올해에도 예상되는 수십 건의 수소충전소 사업에 적극수주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올해는 상용차용 액화수소충전소로도 사업을 다각화하여 국내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밝힘.
골든센츄리
(900280)
255원
(
-2.30%)
200억원 규모 CB 발행 결정 철회 속 소폭 하락
▷전일 장 마감 후 200.00억원 규모 4회차 전환사채 발행결정 철회 공시. 이와 관련, 전환사채 인수 대상자인 "(유)인피니티그룹코리아"에서 납입이 불가능하다는 의사를 통보해왔으며, 이에 이사회에서 전환사채 발행결정 철회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전환사채 발행결정을 철회하기로결정했다고 밝힘.

 


 



특징 상한가 및 급등종목

 

종 목 상한가
일수
사유
미코바이오메드
(214610)

8,710원
(+30.00%)
1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테라사이언스
(073640)

4,035원
(+29.95%)
1 이차전지 사업목적 추가 기대감 등에 상한가
케스피온
(079190)

1,085원
(+29.94%)
1 국내 10번째 엠폭스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박셀바이오
(323990)

57,800원
(+29.89%)
1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진행성 간암 치료제 치료목적 사용승인소식 등에 상한가
휴맥스홀딩스
(028080)

7,550원
(+24.59%)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 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포스코엠텍
(009520)

28,400원
(+23.48%)
  포스코 그룹주 상승 및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재정 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비철금속/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진매트릭스
(109820)

5,640원
(+22.08%)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급등
삼아알미늄
(006110)

96,600원
(+20.45%)
  2차전지 및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26,500원
(+19.10%)
  포스코 그룹주 상승 및 니켈 테마 상승 속 1분기 영업이익 호조 및 전 사업 부문 밸류체인 강화 기대감 등에 급등
큐리언트
(115180)

11,500원
(+17.23%)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스씨엠생명과학
(298060)

12,660원
(+16.90%)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네이처셀
(007390)

11,970원
(+16.67%)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신라젠
(215600)

6,850원
(+16.30%)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고형암 치료제 국내 1상 IND 승인에 급등
셀리드
(299660)

10,850원
(+16.17%)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윤성에프앤씨
(372170)

150,900원
(+16.17%)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비앤지스틸
(004560)

19,110원
(+15.47%)
  비철금속/니켈 및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이엘피
(063760)

6,570원
(+14.86%)
  차세대 롤러블 OLED디스플레이 대응 검사장비 선제적 개발완료 사실 재부각에 급등
포스코스틸리온
(058430)

46,500원
(+14.81%)
  포스코 그룹주 상승 속 급등
뷰노
(338220)

22,400원
(+14.70%)
  정부 디지털플랫폼정부 세부청사진 발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데브시스터즈
(194480)

65,100원
(+14.61%)
  <쿠키런:킹덤> 중국 흥행에 따른 실적 퀀텀 점프 기대감등에 급등
에스코넥
(096630)

1,926원
(+14.57%)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 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포스코퓨처엠
(003670)

342,500원
(+13.04%)
  포스코 그룹주 상승 및 2차전지, 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대양금속
(009190)

4,270원
(+11.78%)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재정 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비철금속/니켈 테마 상승 속 급등
하이스틸
(071090)

4,710원
(+11.74%)
  글로벌 철강 시장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비온
(203400)

10,000원
(+11.48%)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랩지노믹스,동사 전환사채 인수를 통한 美 임상서비스 사업 협력 도모 소식에 급등
위지윅스튜디오
(299900)

17,360원
(+11.28%)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주당 3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급등
피플바이오
(304840)

13,560원
(+11.06%)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이지트로닉스
(377330)

12,970원
(+10.85%)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재정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니켈 테마 상승 속 급등
신풍제약
(019170)

21,500원
(+10.65%)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스모신소재
(005070)

179,000원
(+10.43%)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 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이엔플러스
(074610)

13,990원
(+10.07%)
  2차전지 및 리튬 테마 상승 속 자체 개발 전극 양산품 공급 개시 소식에 급등
조일알미늄
(018470)

3,455원
(+10.03%)
  2차전미 및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유안타제8호스팩
(367480)

2,750원
(+10.00%)
  율촌과 소멸합병 상장예비심사승인 속 거래재개 첫날 급등
세토피아
(222810)

2,800원
(+9.80%)
  희토류 네오디뮴 분말 제조 업체 KCM인더스트리 주식 신규 취득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금비
(008870)

130,400원
(+9.58%)
  한동훈 법무부장관, 총선 출마 기대감 등에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금강철강
(053260)

7,470원
(+9.53%)
  글로벌 철강 시장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TCC스틸
(002710)

42,800원
(+9.46%)
  2차전미 및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애니플러스
(310200)

4,215원
(+9.34%)
  애플 북스, 日 '세로 읽기 만화' 서비스 개시 및 누누티비 폐쇄 소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랩지노믹스
(084650)

6,810원
(+9.13%)
  제약/바이오 관련주 및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美 시장 진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엠투엔
(033310)

5,520원
(+9.09%)
  계열사 신라젠, 고형암 치료제 국내 1상 IND 승인에 급등

미코바이오메드
(214610)

8,710원
(+30.00%)

1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테라사이언스
(073640)

4,035원
(+29.95%)

1

이차전지 사업목적 추가 기대감 등에 상한가


케스피온
(079190)

1,085원
(+29.94%)

1

국내 10번째 엠폭스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박셀바이오
(323990)

57,800원
(+29.89%)

1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진행성 간암 치료제 치료목적 사용승인소식 등에 상한가


휴맥스홀딩스
(028080)

7,550원
(+24.59%)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 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테마 상승


포스코엠텍
(009520)

28,400원
(+23.48%)

포스코 그룹주 상승 및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재정 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비철금속/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진매트릭스
(109820)

5,640원
(+22.08%)

국내 10번째 엠폭스 확진자 발생 소식 등에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급등


삼아알미늄
(006110)

96,600원
(+20.45%)

2차전지 및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26,500원
(+19.10%)

포스코 그룹주 상승 및 니켈 테마 상승 속 1분기 영업이익 호조 및 전 사업 부문 밸류체인 강화 기대감 등에 급등


큐리언트
(115180)

11,500원
(+17.23%)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에스씨엠생명과학
(298060)

12,660원
(+16.90%)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네이처셀
(007390)

11,970원
(+16.67%)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신라젠
(215600)

6,850원
(+16.30%)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고형암 치료제 국내 1상 IND 승인에 급등


셀리드
(299660)

10,850원
(+16.17%)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윤성에프앤씨
(372170)

150,900원
(+16.17%)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비앤지스틸
(004560)

19,110원
(+15.47%)

비철금속/니켈 및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이엘피
(063760)

6,570원
(+14.86%)

차세대 롤러블 OLED디스플레이 대응 검사장비 선제적 개발완료 사실 재부각에 급등


포스코스틸리온
(058430)

46,500원
(+14.81%)

포스코 그룹주 상승 속 급등


뷰노
(338220)

22,400원
(+14.70%)

정부 디지털플랫폼정부 세부청사진 발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데브시스터즈
(194480)

65,100원
(+14.61%)

<쿠키런:킹덤> 중국 흥행에 따른 실적 퀀텀 점프 기대감등에 급등


에스코넥
(096630)

1,926원
(+14.57%)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 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포스코퓨처엠
(003670)

342,500원
(+13.04%)

포스코 그룹주 상승 및 2차전지, 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대양금속
(009190)

4,270원
(+11.78%)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재정 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비철금속/니켈 테마 상승 속 급등


하이스틸
(071090)

4,710원
(+11.74%)

글로벌 철강 시장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비온
(203400)

10,000원
(+11.48%)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랩지노믹스,동사 전환사채 인수를 통한 美 임상서비스 사업 협력 도모 소식에 급등


위지윅스튜디오
(299900)

17,360원
(+11.28%)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주당 3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급등


피플바이오
(304840)

13,560원
(+11.06%)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이지트로닉스
(377330)

12,970원
(+10.85%)

G7, 중요 광물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재정지원 행동계획 마련 소식 등에 니켈 테마 상승 속 급등


신풍제약
(019170)

21,500원
(+10.65%)

제약/바이오 섹터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코스모신소재
(005070)

179,000원
(+10.43%)

美 IRA 수혜 기대감 지속, 현대차그룹 전기차 24조원 투자 모멘텀 지속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이엔플러스
(074610)

13,990원
(+10.07%)

2차전지 및 리튬 테마 상승 속 자체 개발 전극 양산품 공급 개시 소식에 급등


조일알미늄
(018470)

3,455원
(+10.03%)

2차전미 및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유안타제8호스팩
(367480)

2,750원
(+10.00%)

율촌과 소멸합병 상장예비심사승인 속 거래재개 첫날 급등


세토피아
(222810)

2,800원
(+9.80%)

희토류 네오디뮴 분말 제조 업체 KCM인더스트리 주식 신규 취득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금비
(008870)

130,400원
(+9.58%)

한동훈 법무부장관, 총선 출마 기대감 등에 정치/인맥(한동훈)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금강철강
(053260)

7,470원
(+9.53%)

글로벌 철강 시장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TCC스틸
(002710)

42,800원
(+9.46%)

2차전미 및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애니플러스
(310200)

4,215원
(+9.34%)

애플 북스, 日 '세로 읽기 만화' 서비스 개시 및 누누티비 폐쇄 소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랩지노믹스
(084650)

6,810원
(+9.13%)

제약/바이오 관련주 및 엠폭스(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속 美 시장 진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엠투엔
(033310)

5,520원
(+9.09%)

계열사 신라젠, 고형암 치료제 국내 1상 IND 승인에 급등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피)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대한전선(001440) 하이브(352820) 현대비앤 지스틸(004560)
한미글로벌(053690)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금비(008870)
대양금속(009190) 진양폴리(010640) HDC현대산업개발(294870) 대원강업(000430)

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포스코퓨처엠(003670) 이엔플러스(074610) 삼아알미늄(006110) 현대일렉트릭(267260)
두산밥캣(241560) 풍산(103140) 미래산업(025560) 키움증권(039490)
금호타이어(073240)  

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

진양폴리(010640)      

4. 연속 상한가 종목

없음      

5. 당일 거래 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포스코퓨처엠(003670)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애경케미칼(161000) 대한전선(001440)
삼아알미늄(006110) 현대비앤지스틸(004560) 한미글로벌(053690) 카카오페이(377300)
카카오뱅크(32341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삼성중공업(010140) 신풍제약(019170)

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없음      

7. 보조지표① 단기골든 크로스 MA(5,20)

LG전자(066570) 하나금융지주(086790) 삼성물산(028260) HMM(011200)
키다리스튜디오(020120) 금비(008870) 삼성생명(032830) 일동제약(249420)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한신공영(004960) 하이스틸(071090) 코웨이(021240)

② 중기 골든 크로스 MA(20,60)

현대건설(000720) 유한양행(000100) LG유플러스(032640) 녹십자(006280)
대한유화(006650) KCC글라스(344820) 대원화성(024890) 대성산업(128820)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현대차(005380) 한미약품(128940) 한미사이언스(00893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

신풍제약(019170) 하나금융지주(086790) 우리금융지주(316140) GS건설(006360)
키다리스튜디오(020120) 한전기술(052690) 아남전자(008700) LX인터내셔널(001120)
제일기획(030000) CJ대한통운(000120) 파미셀(005690) 롯데쇼핑(023530)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돌파

삼아알미늄(006110) 카카오(035720) 카카오페이(377300) 신세계(004170)
삼성화재(000810) 에이프로젠(007460) 하이스틸(071090) 도화엔지니어링(002150)
대한해운(005880) 자이에스앤디(317400) 풍산홀딩스(005810) 롯데정보통신(28694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포스코퓨처엠(003670)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LG에너지솔루션(373220) 이구산업(025820)
KB금융(105560) 씨에스윈드(112610) 카카오뱅크(32341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TCC스틸(002710) 엔씨소프트(036570) LG디스플레이(034220) HD현대중공업(329180)

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이엔플러스(074610) NAVER(035420) 조일알미늄(018470) 이구산업(025820)
한미글로벌(053690) 씨에스윈드(11261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한국전력(015760)
현대건설(000720) GS건설(006360) 삼성화재(000810) DI동일(001530)

⑧ CCI(9) 0선 상향돌파

NAVER(035420) 카카오(035720) 이구산업(025820) KB금융(105560)
후성(093370) 카카오페이(377300) 카카오뱅크(32341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삼성전기(009150) 신한지주(055550) LG이노텍(011070) 엔씨소프트(036570)

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POSCO홀딩스(005490) 포스코퓨처엠(003670) SK하이닉스(000660) 조일알미늄(018470)
이구산업(025820) 후성(093370) 카카오뱅크(323410) 포스코스 틸리온(058430)
삼성전기(009150) 경동인베스트(01232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고려아연(010130)

* 적출빈도 6회 : 포스코스틸리온(058430)
* 적출빈도 4회 : 포스코퓨처엠(003670) 카카오뱅크(323410) 이구산업(025820)
* 적출빈도 3회 :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삼아알미늄(006110) 한미글로벌(053690) 카카오페이(37730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피)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없음      

2. 저점하회 종목(1년 기준)

쌍방울(102280)      

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4. 연속하한가 종목

없음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이엔플러스(074610) 코스모신소재(005070) TCC스틸(002710) 다이나믹디자인(145210)
DB(012030)  

6. 보조지표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한농화성(011500) 강원랜드(035250) GS리테일(007070)  

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LX홀딩스(383800) 남양유업(003920)    

③ 장기 데드 크로스 MA(60,180)

없음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DI동일(001530) 현대백화점(069960)    

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LG에너지솔루션(373220) DB하이텍(000990)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020150) 유니드(014830)
그린케미칼(083420) 코리아써키트(00781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DB(012030) KR모터스(000040) 팜젠사이언스(004720) 한올바이오파마(009420)
한솔케미칼(014680) 덴티움(145720) 해성디에스(195870) 케이카(381970)
녹십자(006280) SK네트웍스(001740) 그린케미칼(083420) 롯데지주(004990)

⑦ 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삼성SDI(006400) 현대차(005380) 기아(000270) LG전자(066570)
한화솔루션(009830) 크래프톤(259960) LG디스플레이(034220) 현대제철(004020)
S-Oil(010950) KG스틸(016380) CJ(001040) 한전기술(052690)

⑧ CCI(9) 0선 하향돌파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한국ANKOR유전(152550) 명신산업(009900) 유니온(000910)
농심(004370) 코리아써키트(007810) 롯데웰푸드(280360) 일신방직(003200)
대성산업(128820)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삼성전자(005930) 현대엘리베이(017800) LX세미콘(108320) 한올바이오파마(009420)
에스엘(005850) 넷마블(251270) 알루코(001780) 대덕전자(353200)
한화시스템(272210) 효성첨단소재(298050) 덕양산업(024900) 성안(01130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닥)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박셀바이오(323990) 미코바이오메드(214610) 메드팩토(235980) 진매트릭스(109820)
한일화학(007770) 이녹스첨단소재(272290) 세토피아(222810) 레고켐바이오(141080)
파마리서치(214450) 영풍정밀(036560) 녹십자엠에스(142280) 아모센스(357580)

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포스코엠텍(009520) 포스코DX(022100) 오파스넷(173130) 테라사이언스(073640)
JYP Ent.(035900) 오리콤(010470) 휴맥스홀딩스(028080) 뷰노(338220)
더블유씨피(393890) 휴비츠(065510) 영신금속(007530) 제룡전기(033100)

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

박셀바이오(323990) 케스피온(079190)    

4. 연속 상한가 종목

엠피대산(065150) 2일      

5. 당일 거래 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포스코엠텍(009520) 네이처셀(007390) 박셀바이오(323990) 오파스넷(173130)
신라젠(215600) 미코바이오메드(214610) 테라사이언스(073640) 원익피앤이(217820)
모아데이타(288980) 데브시스터즈(194480) 메드팩토(235980) 휴마시스(205470)

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없음      

7. 보조지표① 단기 골든 크로스 MA(5,20)

위지윅스튜디오(299900) 코아시아(045970) 한국선재(025550) 카카오게임즈(293490)
영풍정밀(036560) 아모센스(357580) 케스피온(079190) 노터스(278650)
텔레칩스(054450) 부방(014470) 금강철강(053260) 안랩(053800)

② 중기 골든크로스 MA(20,60)

우리이앤엘(153490) 삼화네트웍스(046390) 우리기술(032820) 티움바이오(321550)
코미팜(041960) 에스트래픽(234300) 옵티코어(380540) 테고사이언스(191420)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광무(029480) 서울반도체(046890) 베노홀딩스(206400)  

④ 일목균형표(9,26)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

미스터블루(207760) 피플바이오(304840) HK이노엔(195940) 영풍정밀(036560)
케스피온(079190) 네오위즈(095660) 노을(376930) 차바이오텍(085660)
툴젠(199800) 아난티(025980) 유신(054930) 한국파마(032300)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돌파

SAMG엔터(419530) 켐트로닉스(089010) 영신금속(007530) 기가레인(049080)
텔레칩스(054450) 안트로젠(065660) 부방(014470) 엠게임(058630)
샤페론(378800) 이랜텍(054210) 에이비온(203400) 자이언트스텝(28922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박셀바이오(323990) 신라젠(215600) 모아데이타(288980) 데브시스터즈(194480)
미스터블루(207760) 차백신연구소(261780) 애니플러스(310200) SAMG엔터(419530)
영신금속(007530) 대명에너지(389260) 케스피온(079190) 에스코넥(096630)

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에코프로비엠(247540) 포스코엠텍(009520) 박셀바이오(323990) 메드팩토(235980)
윤성에프앤씨(372170) 크리스탈신소재(900250) 강원에너지(114190) 셀바스AI(108860)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에이비엘바이오(298380) 한주라이트메탈(198940) 솔트룩스(304100)

⑧ CCI(9) 0선 상향돌파

포스코엠텍(009520) 모아데이타(288980) 카나리아바이오(016790) 미스터블루(207760)
새로닉스(042600) 애니플러스(310200) SAMG엔터(419530) 삼보산업(009620)
핑거스토리(417180) 영신금속(007530) 네오크레마(311390) 케스피온(079190)

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포스코엠텍(009520) 박셀바이오(323990) 레이크머티리얼즈(281740) 모아데이타(288980)
카나리아바이오(016790) 윤성에프앤씨(372170) 크리스탈신소재(900250) 피플바이오(304840)
넥슨게임즈(225570) 상신이디피(091580) 하이딥(365590) 마음AI(377480)

* 적출빈도 6회 : 박셀바이오(323990)
* 적출빈도 5회 : 포스코엠텍(009520) 케스피온(079190)
* 적출빈도 4회 : 영신금속(007530) 모아데이타(288980)
* 적출빈도 3회 : 메드팩토(235980) 영풍정밀(036560) 미스터블루(207760) SAMG엔터(41953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닥)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골프존(215000) 현대이지웰(090850)    

2. 저점하회 종목(1년 기준)

엑스게이트(356680) 코드네이처(078940) CNT85(056730) 디지털대성(068930)

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

없음      

4. 연속 하한가 종목

없음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카나리아바이오(016790) 지엔원에너지(270520) 새로닉스(042600) 하이드로리튬(101670)
제이스코홀딩스(023440) 미래반도체(254490) 오가닉티코스메틱(900300) 슈프리마아이디(317770)
중앙디앤엠(051980) 엔투텍(227950) 진시스템(363250) CJ 바이오사이언스(311690)

6. 보조지표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미래나노텍(095500) 광무(029480) 이오플로우(294090) 에코앤 드림(101360)
인텔리안테크(189300) 에치에프알(230240) 서울반도체(046890) 티쓰리(204610)
지아이텍(382480) 씨티씨바이오(060590) 제주반도체(080220) 동화기업(025900)

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코난테크놀로지(402030) 인크로스(216050)    

③ 장기 데드 크로스 MA(60,180)

현대에버다임(04144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HLB(028300) 코미코(183300) 한글과컴퓨터(030520)  

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나노신소재(121600) 에스피시스템스(317830) 하나마이크론(067310) 골프존(215000)
두산테스나(131970) SFA반도체(036540) 루트로닉(085370) 미래반도체(254490)
하림지주(003380) 앱클론(174900) KBG(318000) 에프에스티(036810)

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에코프로비엠(247540) 삼천당제약(000250) 한일화학(007770) 현대바이오(048410)
에스피지(058610) 녹십자웰빙(234690) 하나마이크론(067310) 케어젠(214370)
에스앤에스텍(101490) 티이엠씨(425040) 하나머티리얼즈(166090) 엔젯(419080)

⑦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포스코DX(022100) 삼천당제약(000250) 바이오니아(064550) HLB(028300)
알테오젠(196170) 제이스코홀딩스(023440) 넥슨게임즈(225570) 오스코텍(039200)
지투파워(388050) 케어젠(214370) 에스앤에스텍(101490) 컴투스(078340)

⑧ CCI(9) 0선 하향돌파

엘컴텍(037950) HB테크놀러지(078150) 솔브레인(357780) 파크시스템스(140860)
스맥(099440) GST(083450) 테크엘(064520) HRS(036640)
인바디(041830) 젠큐릭스(229000) 골든센츄리(900280) 한양디지텍(078350)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삼천당제약(000250) 제이스코홀딩스(023440) 인탑스(049070) 오스코텍(039200)
케어젠(214370) 저스템(417840) 동진쎄미켐(005290) 골프존(215000)
티이엠씨(425040) 루트로닉(085370) 레이(228670) 덕산테코피아(317330)

* 적출빈도 3회 : 골프존(215000) 삼천당제약(000250) 제이스코홀딩스(023440) 케어젠(214370)
*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반응형

댓글